# web application
[논문 소개]마이크로서비스의 자동 식별을 위한 효과적인 재사용 기반 접근 방법
Software Engineering 랩실에서 생활을 하면서 2022년 7월부터 내가 구상한 아이디어로 실험을 진행했다. 바로 TF-IDF(Text Mining 기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모노리식 애플리케이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식별하는 연구이다. 최근 소프트웨어 아키텍

Web application 구현하기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prediction model (python으로 구현)을 web application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상황이었다. 기존의 논문에서 개발된 모델의 경우에는 다른 dry lab의 협업(?)을 통해서 간단히 홈페이지를 제작했는데, 아무래도 같은 연구
Week2 - Day2 (REST API)
api: 프로그램들끼리 상화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체rest api: 웹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아키텍쳐로, 웹 서버의 방법론 중 하나이다. \- 특별히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개발자끼리의 약속이다. \- 자원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자

🌏 웹 사이트 Website와 웹 애플리케이션(=웹 앱) Web application의 차이점
웹 사이트(Website)와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의 차이점. 뭐가 다르지?🤔

React | Why React? (리액트란)
요새는 웹 페이지보다 웹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말이 더 어울리다. 이런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동 시키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톰캣(tomcat) 컨테이너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컨테이너에 웹 Application 등록 등록은 두가지가 방법이 있습니다. %CATALINA_HOME%webApp 디렉터리에 application 저장 sever.xml에 직접 web application 등록 > CATALINA_HOME은 tomcat의 root directory를 의미합니다. 1. Root directory에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