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owacourse

🤔 우아한테크코스 돌아보기
2021년 10월부터 시작된 우아한테크코스 지원부터, 2022년 11월말의 수료까지 우아한테크코스와 함께한 2022년 1년이 끝이 났다. 수료하고 미뤄뒀던 소감과 회고, “우아한테크코스 이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와 “앞으로는 무엇을 해나갈 것인가?

우아한테크코스 4주차 회고
목차요구사항을 보고 느낀 지금까지의(1, 2, 3주차) 나의 코드자바 언어의 특징인 객체지향적인 코드 활용 (캐스팅)스프링에서 활용되는 3대 개념 (IOC, AOP, PSA)기능 단위 테스트 (테스트가 중요한 이유)도메인(역할) 별 코드 분리지금까지 구현했던 코드는 4
3주차
3주차 To Do List > void형 메서드에서 Syste.out.println 의 출력값을 확인할 수 있는 test code 작성하기 자바 스트림 MVC 패턴 3주차 미션 목표 > 클래스(객체)를 분리하는 연습 도메인 로직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는 연습
우테코 프리코스 2주차를 마치며
*볼과 스트라이크 count 방법 > 이번 숫자 야구 게임 구현 미션의 핵심인 ball, strike 개수를 어떻게 count할지에 대해서 가장 오래 고민했습니다. depth가 2가 넘어서는 안되기에, 2중 for문 안에 if를 삽입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stri

📉 Github Actions CI 프로세스 개선
저번에 레벨로그의 타입스크립트 -컴파일 전략- 에서 dev와 prod의 빌드 속도를 개선하는 결과를 얻었다. Github Actions CI prod build 기준으로 약 "32초"에서 "14초" 정도로 개선을 했었다.하지만 이건 레벨로그의 CI build 타임을 보

🎨 레벨로그의 UI/UX 개선기
나는 3차 데모가 끝나고, 늘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밀려 버려져있던 UI/UX를 스프린트4 때 꼭 개선해서 방학이 끝나고 딱 레벨 인터뷰를 하게될 때 우리의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하기로 마음 먹었다.지금까지 데모에서 쌓인 UI/UX에 대한 피드백, 기능추가보다 사용성 개선

🎧 레벨로그 프로젝트 회고
레벨 3,4기간동안 우아한테크코스의 모의면접 레벨인터뷰를 편리하게 진행하기 위한 "레벨로그" 프로젝트 기간이 10/21을 마지막 끝이 났다. 사실 더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 크루들은 놓아주고 취업를 위한 준비를 하러 떠날 모양인 듯 싶었다.나는 약간

🔵 레벨로그의 타입스크립트 -1-
저번에 말했던 “레벨로그의 타입스크립트”의 변천사를 다루어 볼텐데 오늘은 1편이다.주제는 “타입스크립트 컴파일 전략” 이고, webpack과 함께 빌드 환경에 따라 타입스크립트를 어떻게 컴파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혹시 기존의 레벨로그의 타입스크립트 컴파일 전략을 모

🥀 레벨로그의 리액트 쿼리 도입기
먼저 리액트 쿼리가 뭐하는 라이브러리인지를 가볍게 설명하자면, 데이터 Fetching, 캐싱, 동기화, 서버 쪽 데이터 업데이트 등을 쉽게 만들어 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이전에 내가 다뤄봤던 Redux와는 다르게 클라이언트 데이터가 아니라 서버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쉽게

🔵 레벨로그의 타입스크립트
얼마 전에,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타입과 타입스크립트 코드의 이유와 기준에 대해서 정리하고 발표까지 하는 시간이 있었다. 이번 글은 그 때 정리된 레벨로그(나의 팀 프로젝트)의 타입스크립트 기준에 대해 적어보겠다.이 글을 적은 이유는 곧 있을 6차 데모에서 타입스크립트

우테코 프리코스 및 최종 코딩테스트 후기
3주간의 프리코스를 마치고 최종 코딩테스트를 봤다. 이번 테스트에서 만족스러웠던 점은 dto객체를 사용해본 것이다. 저번 미션을 MVC패턴으로 구현하던 중에 View클래스에서 도메인 객체에 의존성을 가지는 것에 의구심이 들어서 찾아본 결과 해결책으로 dto객체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처음 시도해봤을 때는 DTO(Data Transfer Object)는 흔히 ...

우테코 프리코스 3주차 회고
이번 3주차 미션을 시작하기 전에 2주차 미션에 대한 피드백 받은 부분을 중심으로 자동차 경주 게임을 다시 구현해봤다. 피드백 받은 부분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고민하다 구글링을 통해 MVC 패턴과 만나게 됐다. MVC 패턴에 관해서 공부하고 다시 미션을 구현하며 이를

우테코 프리코스 2주차 회고
이번 미션을 진행하며 설계 단계에서 도메인 모델을 기반으로 구조를 설계해보고 기능목록을 작성했다. 자동차 레이싱 게임이라는 모델을 정하고 거기서 객체들을 추출해서 사용했다. 그리고 객체들의 협력은 레이싱 게임의 통상적인 게임 규칙을 기반으로 설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