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w

10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버그 수정 및 업데이트

커스포지에 애드온을 등록한 후 며칠이 지났다. 내가 사용하면서 발견한 버그들이나 불편한 점들을 개선하고 수정하여 업데이트하기도 했고, 사용자가 제보한 버그도 있었다. 10.1.0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10.1.5 까지 업로드한 상태. 10.1.1 테스트코드 삭제 및 메세지 수정 10.1.0 버전은 승인단계에서 제출했던 파일로 정식 등록됨과 동시에 10.1.1을 업로드했다. 검토하며 미처 지우지 못한 테스트코드를 삭제하고 출력되는 메세지를 좀 더 자연스럽게 변경하는 등 작고 사소한 부분들을 수정했다. 10.1.2 window 크기 변경 패널들은 window의 크기를 고정시켜 놓았는데 새 시즌은 네임드의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 공간이 모자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간이 모자르다면 내가 의도한 배치와 다르게 자동정렬될 수 있다. 조금 더 여유있게 패널의 크기를 조정하였다. LootHistory nilguard 추가 loothi

2023년 5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테스트 버전 배포와 새 시즌

어느정도 애드온의 형태를 갖추었고, 내가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들도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여러번 테스트했다. 이제 유저들에게 내 애드온을 배포해볼 차례였다. 테스트버전 배포 일단 테스트버전이라는 이름으로 간단하게 배포해보고 싶었다. 개발자들은 git에 익숙하지만 일반 유저들은 익숙할리 없었기에 단순 압축파일로 만들어 인벤 커뮤니티에 애드온 설명과 함께 배포했다. 조회수 4000, 추천수 80정도의 반응을 얻어내어 생각보다 많이 뿌듯했다. 사실 별 반응이 없었다면 업데이트를 멈추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코드에 문제가 있거나 사용 중 불편한 부분, 버그를 제보해 달라고 코멘트를 달았지만 관련한 반응은 전혀 없었다... 분명 버그가 있었을텐데? 아무튼 테스트버전을 무사히 배

2023년 5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ow EVENT, API

이전 글을 마지막으로 Ace3.0은 더이상 깊게 분석할 필요가 없었다.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애드온은 위 기능으로 충분했고 wow에서 제공하는 API, 트리거가 될 event 분석, lua의 문법에 적응하는 단계만 남았다. EVENT wow클라이언트에선 대부분의 행위가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마우스의 움직임, 키보드 키 하나하나가 모두 이벤트다. 당연히 모든 이벤트를 볼순 없다. 10초만 지나도 1만개가 넘는 이벤트가 쏟아져나온다. 수많은 이벤트들 중 내가 필요한 이벤트만 골라서 써야했다. wowwiki - Events A-Z) 와우위키의 이벤트 페이지 wowpedia - Events 와우피디아의 이벤트 페이지 [EventTracker](https://addons.wago.i

2023년 4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ce3.0 GUI - 위젯 추가하기

GUI명령을 이용해 window타입의 창을 띄워보았다. 이제 이 창에 내가 필요한 정보들을 출력해야 했다. 위젯을 생성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해보았다. Widget AceGUI-3.0 Widgets 해당 페이지에 기본적인 위젯의 타입들이 설명되어 있었다. Button, CheckBox, ColorPicker ...등 많은 타입이 있었다. 여러 타입들을 테스트 해보았고 지금 나에게 필요한건 단순한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는 Icon,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상자인 EditBox, 새로고침 혹은 초기화를 위해 설치할 Button정도가 있었다. 이전 포스트의 window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 수 있었다. 위젯별로 이벤트에 대한 callback을 설정할 수 있었다. 나는 editbox에 값이 입력되고 확인을 입력하면 동작하는 이벤트인 OnEnterPresse

2023년 4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ce3.0 GUI - 뭐라도 띄워보자

기초적인 애드온의 형태를 가지며 뭐라도 출력해보는걸 목표로 삼았다. 일단 틀부터 만들고 그 안에 들어갈 기능은 하나씩 천천히 구현하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드온 객체 만들기 기초적인 불러오기 과정은 지난 글처럼 작성했으며 Ace3 Getting Started 페이지를 참고해 애드온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진행해보았다. 일단 가이드에서 제시한 애드온 객체 생성 방법대로 생성해주었다. NewAddon의 두번째 매개변수로는 Console과 Event를 입력했다. 해당 라이브러리에 속한 위젯을 써야할 필요가 있었다. 기본 메서드와 HelloWorld! 가이드에서 설명한 3가지 메서드들만 간단히 정리했다. OnInitialize () - 애드온이 처음 로드될 때 OnEnable () - 애드온이 활성화될 때 OnDisable () - 애드

2023년 3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ce3.0 불러오기

C를 처음 배울 때 HelloWorld를 띄웠던것처럼 뭐라도 띄워보는것부터 시작하고 싶었다. 이름은 Hisop Raid Gold Tool. 줄여서 HRGT로 대충 작명했고 (Hisop Auction Helper, HAH로 변경하였다) 간단한 ui를 출력할 수 있는 lua파일도 작성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는 내 lua에서 Ace3를 찾을 수 없었다. 이전의 간단한 명령어들은 이렇게만 해도 됐는데... 불러오기 Ace3를 불러오는 방법부터 알아내야했다. -> .toc파일엔 내가 작성한 lua파일만 적혀있었다. 헤더에 선언이 되어있지 않았으니 당연히 클라이언트는 Ace3를 찾을 수 없었다. HRGT.toc xml파일을 toc파일 내에 등록해주었다. 처음엔 빌드에 필요한 파일만 찾아서 선언해주려고 했다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xml파일의 형태를 따르는 것으로 결정했다. HRGT.xml 기본적인 Ui는 블리자드에서 제공하는 ui를 사용하며, 'Script'명령으

2023년 3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기본 구조 파악

애드온 구성 파일 애드온은 크게 두가지의 파일로 이루어져있다. 실제 코드가 들어있는 .lua, 이 코드를 와우 클라이언트와 이어주는 .toc .xpm형태도 사용이 가능하나 내가 만드는 단계에선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다. (GUI를 만들때 도움을 주는 X11 Pixmap Graphic, 비트맵 이미지 파일) GUI 와우의 GUI는 대부분 'Frame'이라는 객체로 이루어져있고 UIParent에 포함되어있다. Frame을 처음 선언할 때 부모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UIParent를 부모로 가지게 된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조상으로 UIParent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wowpedia addon 개발 튜토리얼 공식사이트가 아닌 팬페이지임에도 애드온 개발의 기초가 꽤나 자세하게 정리되어있어 배

2023년 3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어떤 애드온을 만들건데

애드온을 개발해보자고 생각한지 몇달이고 지난듯 하다. 데드라인이 정해져있는 프로젝트가 아니기도 했고, 다른 일들을 처리하느라 애드온 개발에 쏟을 시간이 부족했다. 앞으로도 남는 시간에 건드리게 될듯하다.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뜻... 정확히 뭘 만들건데 저번 포스트를 작성할때도 막연히 거래에 대한 애드온을 만들어봐야지 하는 생각만 했다. 이번엔 어떠한 기능을 하는 애드온을 만들고싶은지 명확하게 정해보았다. 와우에는 레이드라는 컨텐츠가 존재한다. '공격대'를 모아 고난이도의 던전을 클리어하는 컨텐츠로 난이도가 어려운만큼 좋은 아이템을, 다수의 사람이 모인만큼 많은 아이템을 드랍한다. 그런데 이 아이템을 어떻게 나눌까? 현재 게임에서 가장 대중적인 방식은 '골드 파티'라 부르는 방식으로 리더가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가 공개 경매를 진행해 판매한다. 이후 약속한 공략시간이 지난 뒤 모인 돈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이 역시 유저들이 만든 방식이기에

2023년 3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와우 애드온 개발을 해보자

왜 만드는데? 나는 게임을 즐겨한다. 좀 많이 즐겨한다... 그 중 와우는 꽤 오래 즐겼다. 와우는 타 게임과 다르게 유저가 커스텀한 애드온을 허용하며 유저들은 허용된 API내에서 받은 데이터를 이용해 애드온을 만들어 배포하고 사용한다. 언제까지 남이 만들어주는것만 사용할까 나도 한번 만들어보자, 공개적으로 배포할만한 애드온을 한번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문법을 사용할까? 와우 애드온 개발에는 Lua라는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는데 C와 C++과 굉장히 유사한 문법으로 문법 자체는 빠르게 배울 수 있었다. 문제는 따로 있었다. 게임사에서 배포하는 API들의 용도와 GUI에 쓰이는 프레임들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전혀... 전혀 모른다. 한국어로 된 자료는 전무하다시피 하며 외국 포럼들을 뒤져서 어떤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 천천히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래서 뭐 만들게? 거창한 애드온을 만들 생각은 없다. 일단 GUI를 띄우고 데이터를

2023년 2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OW 계승품 시스템으로 빗대어본 NFT 시장

비부 아저씨가 쓴, 전송 불가능한 nft에 대한 생각. https://vitalik.eth.limo/general/2022/01/26/soulbound.html 소울바운드 WOW 게임에는 ‘계승품(Soulbound)’이라는 시스템이 있는데, 말 그대로 계정에 마치 영혼처럼 귀속되어 유저의 레벨이 올라가면 계승품 또한 레벨이 올라간다. 유저가 강해지기 위해서는 계속 게임에 참여해서 렙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돈을 받고 렙업 노가다를 대신 해주는 전문가들고 있고, 타 유저의 아이디를 구매하기도 한다. 이렇듯 불안

2022년 2월 1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