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코드에서는 먼저 Contact 객체를 생성하고, 이후에 givenName 및 phones를 따로 할당했습니다.수정된 코드에서는 Contact 객체를 생성할 때 바로 값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또한, 전화 번호는 List<Item> 형태여야 하는데,
In Dart and Flutter, add and addAll are methods used for adding elements to a collection like a List or a Set. Here's how they differ:The add method i
여기서 body: 다음에 child: 를 붙여서 사용하면 안 되고 body: Column으로 바로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A와 B의 차이가 뭘까?child: 의 유무이다.child의 경우 단일 자식이어야만 할 때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서,C와 같이 Container의 단일 자식으로 Column을 사용하려면 Column을 사용해야 한다.
style의 경우 Icon, Text 에서 사용 가능하다.따라서 위의 코드를위와 같이 바꿀 수 있다.여기서 왜 코드가 점점 길어지는지 느낄 수 있었다.
const를 사용하면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따라서 children: const\[] 를 사용할 경우,onpressed: (){}와 같이 값이 변할 가능성을 열어주면 안 된다.따라서 위 코드에서 children에서 const를 빼니 정상 작동했다.
padding padding은 여백을 조절한다. 따라서 위 코드에서 EdgeInsets.all(8.0)을 EdgeInsets.all(40.0) 으로 바뀌주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전 (8.0) 후 (40.0) mainAxisAlignment mainA
shell로 zsh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zshrc를 수정해야 한다.에서 i를 누르고 편집 모드로 들어가서 아래의 항목을 추가한다.여기서 처음에 PATH = "$PATH:\[flutter bin path]로 사용했다가 띄어쓰기를 하면 안 된다는 점을 알았다.띄어쓰기
mac m1에 vmWare를 설치했고, 이렇게 오류가 나왔다.처음에는 한글 폰트가 안 깔려있는 줄 알았고, 그냥 간편인증으로 실행하려고 했는데 오류가 발생했다.구글링 했을 때, 나온 답은 위와 같았다.아래의 방법을 통해서 해결했다.기본 언어 설정에 들어가서지역 설정을
Shell의 한글 뜻은 껍데기이다.예전에 GUI가 발달하지 않았을 때 Shell만 사용하는 것을 껍데기만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고 한다.command interpreter로서 Shell에는sh(Bourne shell)bash(Bourne Again shell)zs
프로그래머스 달리기 경주입력을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완전히 이해하지는 않았다.여기서 split() 괄호 안에 아무것도 적지 않을 경우 \\n, 를 기준으로 나눈다.나는 여기서 split(" ")을 통해서 space를 기준으로 나누려고 했다.근데 여기서 나누고 보니 마지
clang: error: no such file or directory: 'MyString.cpp'clang: error: no such file or directory: 'big_integer.cpp'오랜만에 c++ 파일을 컴파일 하려고 ⌘+R을 눌렀는데 저렇게 에러
이렇게 되면 컴파일 되고 a.out이 생긴다. 으로 실행하면 끝이렇게 하면 {$filename}으로 compile이 된다.이것도 가능하다\-o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몰라서 g++ -help를 통해서 찾아봤다.기능은 아래와 같다.\-o <file> Write out
python에서 처음 본 조건문이다.dfs를 공부하다가 알게되었는데,신기했다.여기서 if not visited_dfs\[i] and graph\[v]\[i]의 경우1과 0을 넣어서 비어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했다.그래서 방문하면 1을 넣었는데,1이 아니라 0인 경우 방문해
버튼을 2가지로 만드는 방법이 신기했다.하나는 전역변수처럼 같이 count가 올라가고하나는 지역변수처럼 다른 것으로 여겨진다.MyButton이라는 함수를 <MyButton />으로 사용한다.(이게 객체라서 가능한 것인가?)또 <img src=''>를 넣는 것
React ch02를 공부하면서 지금은 teminal을 어떻게 잘 사용하는지랑 React를 어떻게 하면 더 잘 관리할지 공부했다. 0️⃣ iTerm 이번에 느낀 사실인데 iTerm을 잘 쓰면 생산성이 확실히 올라갈 거 같다. 파일을 생성하고 create-react-ap
보통 일기를 적을 때는 tistory를 사용한다.근데 개발 관련 글을 읽을 때 scroll indicator가 있는 게 너무 읽는 사람에게 편해보였다.google에 page scroll indicator를 검색했고, 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얻을 수 있었다. $\\ra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