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인턴의 온보딩 과제를 3일정도 수행했음.
하면서 힘든 부분에 관한 참고용을 기록을 해놔야겠다 싶어서 포스팅 시작!
과거 node.js 환경에서 Jest로 테스트를 해본 적은 있음, TDD도 연습해보고 그런데 Vite + TS환경에 이를 접목시키려다보니 정말;; 머리가 깨져 죽어버리는지 알았음.
그래서 나중에 참고용으로 올려놓을레..
https://dev.to/hannahadora/jest-testing-with-vite-and-react-typescript-4bap
https://dev.to/rubymuibi/jest-and-vite-cannot-use-importmeta-outside-a-module-24n3
위 블로그 링크 보고 하면 댐
컨피그 파일을 만지고 jest.setup.ts 파일도 만들고 등등 열심히 하다가 해외 형님 글 보고 성공함
너무 빙빙 돌아갔다 이말이야..
Next.js에서 썻던 라이브러리인데 여기서 적용하려니 뭔가 또 다르더라..
"vite-plugin-svgr": "^4.2.0" 라이브러리 설치하고 아래 파일 참고해서 하셈
사진보면 훅에 대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이건 Tanstack query 사이트가면 예시가 있음
진짜 어렵다 어려워..
toHaveClass 메서드를 쓸 때 최 상단의 import가 필요함
이는 jest.setup.ts파일을 만들어서 따로 셋업해줄 수 있음.
가장 처음 이닛이 될 때 실행하라해서 main.tsx에 넣어줬는데 맞는진 모르겠음 잘 되긴함
Sentry 홈페이지를 따르면 잘 되긴해씀
근데 난 error를 보내면 당ㅁ연히 Sentry에 로그가 찍힐 줄 알았는데 Sentry에서 제공해주는 메서드를 사용해야했음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