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객체명={
키 명: "값",
"키 명": 값,
키 명: function 함수명 (파라미터 목록){
함수 실행문;
}
};
this
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을 주의해야한다.const dog = {
name: '바둑이',
age : 9,
sound: '멍멍',
say: function say() {
console.log(this.sound);
}
};
console.log(dog.name);
console.log(dog.age);
dog.say();
출력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둑이
9
멍멍
다음은 아래 코드를 리뷰한 것이다. 이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const fastcampus={
Address =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364 미왕빌딩 15층"
Number = "02-501-9396"
E-mail address ="help@fastcampus.co.kr"
};
A: 이 코드는 fastcampus객체에 대해 작성한 코드야
B: Address와 Number 키에 대한 구분이 없어. Address의 값 뒤에 ;를 붙여야돼
C: E-mail address처럼 키 값에 공백이 있으면 안돼. 'E-mail address '라고 작성해야해
D: 키와 값 사이에는 = 이 아니라 : 를 사용해야해
정답 및 해설
정답: B
해설: 객체를 작성할 시 주의 해야할 부분들에 대한 문제입니다. 객체의 키 값을 구분하기 위한 기호는 , (쉼표)입니다
const userA = {
name: "홍길동",
age: "9"
};
function printUser(user) {
const text = `${user.name}의 나이는 ${user.age}입니다.`;
console.log(text);
}
printUser(userA);
위의 코드의 text
선언 부분을 보면 객체의 값에 접근할 때 마다 매번 user.
을 작성한 것을 볼 수 있다. 비구조화 할당 문법을 사용하면 해당 줄을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const { name, age } = userA;
const text = `${name}의 나이는 ${age}입니다.`;
아래의 코드가 비구조화 할당 문법으로 작성한 것으로 객체에서 값들을 추출해서 새로운 상수로 선언해 주는 것이다.
const { name, age } = userA;
또한, 아래와 같이 printUser함수의 파라미터 부분에서도 비구조화 할당을 할 수 있다.
function printUser({ alias, name, ac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