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이므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참고문서(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Learn/JavaScript/First_steps/Variableslet 의 경우 두번째 줄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JS의 데이터 타입 가볍게 살펴 보기변수에 아래와 같이 숫자를 대입하면 된다.변수에 문자열을 할당할 때는 ' ' (아포스트로피, 작은 따옴표) " "(쿼테이션 마크, 큰 따옴표) 를 사용하고 둘의 차이는 없다.codesandbox의 ⚙설정을 누르고 .prettier
두 값의 합을 return하는 함수를 작성해보자위의 출력문처럼 문자열을 조합할 때 '+'를 사용하는데 ES6 의 템플릿 리터럴 (Template Literal)이라는 문법을 사용하면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변수들은 ${ } 로 감싸주고 문자열과 변수들은 \` 로 묶
객체에는 여러 종류의 값을 넣을 수 있다. 변수와 문자열뿐 아니라 함수도 넣을 수 있다.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다.여러 개의 값을 선언할 때 구분을 위해 꼭 쉼표를 시용해야한다.키 값으로는 문자열, 숫자, 함수 등이 올 수 있다.키 값에는 띄어쓰기가 있으면 안되는데 띄
get과 set을 사용하여 객체의 특정 값을 조회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getter 함수는 특정 값을 조회 할 때 설정한 함수를 실행하고 연산된 값을 리턴한다.함수 이름 앞에 get 키워드를 붙이면 된다.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b 값을 변경하고 나서 sum 함수를
배열에는 숫자, 문자열, 객체등을 함께 넣을 수 있다.숫자로만 이루어진 배열문자열로만 배열객체로만 이루어진 배열숫자, 문자열, 객체로 이루어진 배열배열의 각 항목에 접근하기 위해 숫자 index를 사용한다.배열의 index는 0부터 시작한다..push를 이용하여 항목
◼ for of ◼ for in
◼ forEach
◼ Map
◼ indexOf ◼ findIndex ◼ find
◼ filter
◼ slice ◼ splice
◼ pop ◼ push ◼ shift ◼ unshift
◼ concat ◼ join
◼ reduce
◼ 프로토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