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과 Queue는 일종의 규칙
이다.
Stack과 Queue와 같은 것을 ADT(=Abstract Data Type) 즉, 추상적 자료구조 라고 한다.
ADT는 자료구조의 한 형태인데, 자료구조의 방법이 코드로 정의 된 것이 아니라 그 구조의 행동 양식만 정의된 것을 뜻한다.
즉, 규칙들만 잘 이해하면 직접 '스택' 그리고 '큐'라는 자료구조를 만들 수 있다.
스택이랑 큐는 배열 위에 어떤 규칙을 설정한 모습이다.
팬케이크가 쌓여있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팬케이크를 차곡차곡 쌓을 때, 방금 만든 팬케이크를 위에 쌓을 것이다.
팬케이크 더미를 줄이고 싶을 때는?
맨 위에 있는 팬케이크 부터 먹어치워야 된다.
팬케이크 더미를 줄이고 싶을 때는?
맨 위에 있는 팬케이크부터 먹어 치워야 한다.
즉, 스택은 배열이 수직으로 쌓여있는 것이다.
이 배열에서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이런 방식을 **"LIFO"** 이라고 한다.
**"Last In"** 마지막으로 쌓아올린 팬케이크가 **"First Out"** 가장 먼저 나간다는 뜻이다.
큐는 이해하기 쉽다.
줄 서있는 것(Queue)을 생각해보자.
가장 앞에 있는 사람이 가장 먼저 버스를 탈 것이다.
줄에 가장 뒤에 서서 기다린 사람은 버스에도 가장 마지막에 탑승하게 될 것이다.
즉, 큐는 배열인데 이 배열에서는 가장 먼저 '큐'에 입장한 요소가 가장 먼저 '큐'에서 나가는 요소가 된다.
이것을 "FIFO"라고 한다.
First in, First out
새로운 요소는 '큐' 맨 뒤에 추가되고
'큐'의 맨 앞에 있는 요소만 읽거나 삭제될 수 있다.
브라우저에서 뒤로가기를 누르면 '스택' 자료구조를 쓰는 것이다.
왜냐면 뒤로가기를 누르는 것은 웹페이지 히스토리 스택의 맨 위에서 한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이다.
"Ctrl + Z"로 되돌리기 하는 것 또한 스택이다.
유저가 하고있는 행동들을 스택에 차곡차곡 쌓다가 "되돌리기"를 누르는 순간 "스택"으로 가서 과거를 되돌릴 수 있는 것이다.
"큐"의 예시는 이메일 전달 혹은 푸쉬 알림 기능, 쇼밀몰에서 주문을 처리하는 방식, 콜센터의 백엔드가 될 수 있다. (전화 온 순서대로 상담을 처리하는)
스택(Stack) : LIFO 구조, 마지막에 저장된 것을 제일 먼저 꺼내게 된다.
위에 있는 데이터부터 저장 추출이 가능하다.
저장할 때(push) 순서와 추출할 때(pop) 순서가 반대
스택은 배열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 삭제 시 자리이동 필요
큐(Queue) : FIFO 구조, 제일 먼저 저장한 것을 제일 먼저 꺼내게 된다.
저장하는 순서대로 꺼낸다.
큐는 링크드리스트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 삭제 시 자리이동 필요X
메서드 | 설명 |
---|---|
beelean empty() | Stack이 비어있는지 알려준다 |
Object peek() | Stack의 맨 위에 저장된 객체를 반환. pop()과 달리 Stack에서 객체를 꺼내지는 않음 (비어있을 때는 EmptyStackException 발생) |
Object pop() | Stack의 맨 위에 저장된 객체를 꺼낸다. (삭제) (비었을 때는 EmptyStackException 발생) |
Object push(Object item) | Stack에 객체(item)를 저장한다. (추가) |
int search(Object o) | Stack에서 주어진 객체(o)를 찾아서 그 위치를 반환. 못찾으면 -1을 반환 (배열과 달리 위치는 0이 아닌 1부터 시작) |
Stack st = new Stack();
Stack은 클래스 이므로 객체 생성 가능
메서드 | 설명 |
---|---|
boolean add(Object o) | 저장된 객체를 Queue에 추가한다. 성공하면 true를 반환. 저장공간이 부족하면 lllegalStateException발생 (추가) |
Object remove() | Queue에서 객체를 꺼내 반환. 비어있으면 NoSuchElementExcepion 발생 (삭제) |
Object element() | 삭제없이 요소를 읽어온다. peek와 달리 Queue가 비어있을 때 NoSuch ElementException 발생 |
boolean offer(Object o) | Queue에 객체를 저장, 성공하면 true 실패하면 false를 반환 (추가) |
Object poll() | Queue에서 객체를 꺼내서 반환. 비어있으면 null을 반환 (삭제) |
Object peek() | 삭제없이 요소를 읽어온다. Queue가 비어있으면 null을 반환 |
Queue는 인터페이스이다.
Queue q = new Queue(); (X) --> 객체 생성 불가능
(1) Queue를 직접 구현
(2) Queue를 구현한 클래스를 사용
--> All Known Implementing Classes : Queue를 구현한 클래스 목록
AbstractQueue.. ArrayBlockingQueue.. LinkedList
우리는 LinkedList 를 사용하여 Queue를 만들자
Queue q = new LinkedList();
괄호가 입력되면 올바른 괄호이면 "YES", 올바르지 않으면 "NO"를 출력합니다.
(())() 이것은 괄호의 쌍이 올바르게 위치하는 거지만, (()()))은 올바른 괄호가 아니다.
첫 번째 줄에 괄호 문자열이 입력됩니다. 문자열의 최대 길이는 30이다.
첫 번째 줄에 YES, NO를 출력한다.
(()(()))(()
NO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올바른 괄호
public class Main{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tr) {
String answer = "YES";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for (char x : str.toCharArray()) {
//'(' 여는 괄호를 만나면 stack에 저장
if (x == '(') {
stack.push(x);
} else {
//stack에 '(' 여는 괄호가 존재해야 ')' 닫는 괄호를 꺼낼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는데, 비어있다면 조건에 성립하지 않아 "NO"를 리턴
if(stack.isEmpty()) return "NO";
//')' 닫는 괄호를 만나면 stack에서 꺼냄
stack.pop();
}
}
//stack에 아직도 '(' 여는 괄호가 있다면 "NO"를 리턴
if(!stack.isEmpty()) return "NO";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sc.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입력된 문자열에서 소괄호 ( )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를 제거하고 남은 문자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첫 줄에 문자열이 주어진다. 문자열의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
남은 문자만 출력한다.
(A(BC)D)EF(G(H)(IJ)K)LM(N)
EFLM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괄호문자제거
public class Mai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tr) {
String answer = "";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
* ** 내가 푼 코드
* '('만나면 stack에 넣고, ')' 만나면 stack에서 삭제하되 continu를 써서 for문으로 올라온다.
* 그리고 stack이 비어있다면 x를 answer에 추가한다.
*/
for (char x : str.toCharArray()) {
//'(' 문자라면 stack에 저장
if (x == '(') {
stack.push(x);
} else {
//')' 문자라면 stack에서 꺼내고 for문으로 다시 올라감
if (x == ')') {
stack.pop();
continue;
}
// stack에 '(' 문자가 저장된거 하나 없이 비어있다면 x 문자를 answer에 추가
if(stack.isEmpty()) answer += x;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kb.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괄호문자제거
public class Main{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tr) {
String answer = "";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
* ** 내가 푼 코드
* '('만나면 stack에 넣고, ')' 만나면 stack에서 삭제하되 continu를 써서 for문으로 올라온다.
* 그리고 stack이 비어있다면 x를 answer에 추가한다.
*/
// for (char x : str.toCharArray()) {
// //'(' 문자라면 stack에 저장
// if (x == '(') {
// stack.push(x);
// } else {
// //')' 문자라면 stack에서 꺼내고 for문으로 다시 올라감
// if (x == ')') {
// stack.pop();
// continue;
// }
// // stack에 '(' 문자가 저장된거 하나 없이 비어있다면 x 문자를 answer에 추가
// if(stack.isEmpty()) answer += x;
// }
// }
/**
* ** 강의 코드
* stack에 str 문자열을 문자배열로 바꿔 모두 push() 한다
* 단, '('의 짝궁인 ')'을 만나는 순간엔 최근 저장한 문자부터 차례대로 '('를 만날때까지 pop()으로 삭제한다
* stack에 저장된 나머지 문자들을 answer 문자열에 추가하여 리턴한다.
*/
for (char x : str.toCharArray()) {
if (x == ')') {
//'(' 괄호가 아닐때까지 pop()으로 최근 저장한 문자부터 차례대로 삭제
while(stack.pop()!='(');
} else stack.push(x);
}
for(int i=0;i<stack.size();i++) answer+=stack.get(i);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kb.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str.toCharArray()를 for문 돌려 문자들을 stack에 차곡차곡 넣되, '('의 짝궁인 ')'를 만나면 stack에 저장된 문자들을 최근에 저장된 것부터 차례대로
'('가 나올 때까지 모두 pop()으로 삭제한다.
str.toCharArray()의 마지막 문자까지 for문을 돌리면 stack에 저장된 문자들을 문자열 answer에 추가하여 반환한다.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첫 줄에 자연수 N(5<=N<=30)이 주어집니다.
두 번째 줄부터 N*N board 배열이 주어집니다.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board배열이 끝난 다음줄에 moves 배열의 길이 M이 주어집니다.
마지막 줄에는 moves 배열이 주어집니다.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첫 줄에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5
0 0 0 0 0
0 0 1 0 3
0 2 5 0 1
4 2 4 4 2
3 5 1 3 1
8
1 5 3 5 1 2 1 4
4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크레인 인형뽑기(카카오)
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int[] moves) {
int answer = 0;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pos는 1~5 숫자 (moves는 8 크기의 배열)
for (int pos : moves) {
for (int i = 0; i < board.length; i++) {
//board 열의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시작해야하므로 pos-1
//인형이 발견되었을 때 (0이 아님)
if (board[i][pos - 1] != 0) {
//인형의 번호를 가져옴
int tmp = board[i][pos - 1];
//인형의 번호를 가져온 뒤, 해당 위치의 board의 배열의 값은 0으로 변경
board[i][pos - 1] = 0;
//stack이 비어있지 않으면서, 인형의 번호와 stack의 상단의 값과 동일하면
//answer는 +2 해주고, pop() 꺼내서 삭제
if (!stack.isEmpty() && tmp == stack.peek()) {
answer += 2;
stack.pop();
} else stack.push(tmp); //그 외의 경우엔 stack에 한 층씩 저장
//moves의 담긴 배열의 숫자들(=pos)을 가지고 하기 때문에 안쪽 for문 break
break;
}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int n = kb.nextInt();
int[][] board = new int[n][n];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board[i][j] = kb.nextInt();
}
}
int m = kb.nextInt();
int[] moves = new int[m];
for (int i = 0; i < m; i++) {
moves[i] = kb.nextInt();
}
System.out.println(T.solution(board,moves));
}
}
후위연산식이 주어지면 연산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만약 3*(5+2)-9 을 후위연산식으로 표현하면 352+*9- 로 표현되며 그 결과는 12입니다.
첫 줄에 후위연산식이 주어집니다. 연산식의 길이는 50을 넘지 않습니다.
식은 1~9의 숫자와 +, -, *, / 연산자로만 이루어진다.
연산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352+*9-
12
먼저 중위표기식과 후위표기식에 대해 알아보자
사람들이 계산할 때 사용하는 수식을 중위표기식이라고 하는데,
3*5와 같이 피연산자 사이에 연산자를 두는 방법이다.
이와달리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놓는 방법을 후위표기식이라고 한다.
위의 중위표기식을 후위표기식 35* 로 바꿀 수 있다.
후위표기식을 사용하면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 사람이 머리 속에서 왔다갔다 하는 계산 대신 왼쪽부터 순서대로 계산할 수 있어서 컴퓨터에게 시킬 수식으로 적합하다.
연산자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사칙연산(+, -, /, *)을 포함해 괄호, %, == 등 말 그대로 연산에 필요한 기호들을 의미한다.
피연산자는 연산자 이외의 연산이 되는 대상을 의미한다.
중위표기식을 연산자 순서에 따라 괄호로 묶고, 괄호안의 연산자를 괄호 뒤에 붙여주면 된다.
예를 들어, 중위표기식 A+B*C-D/E 를 괄호로 묶어보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후위식 연산(postfix)
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tr) {
int answer = 0;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 (char x : str.toCharArray()) {
//Character.isDigit(x) : x가 숫자이면 true, 아니면 false
if (Character.isDigit(x)) {
//x는 현자 문자이다.
//하지만 stack에 넣을 수 있는건 Integer이기 때문에 변환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5' 문자 5는 아스키코드로 숫자로 변환했을 때 53이기 때문에 x-48=5가 나오므로 문자 x에서 48을 뺀다.
stack.push(x - 48);
} else {
//x가 문자가 아니라면 연산자를 만난 상황
//pop()으로 삭제하면서 rt, lt에 해당 값을 저장
int rt = stack.pop();
int lt = stack.pop();
if(x=='+') stack.push(lt + rt);
else if (x=='-') stack.push(lt - rt);
else if (x=='*') stack.push(lt * rt);
else if (x=='/') stack.push(lt / rt);
}
}
answer = stack.peek();
//answer = stack.get(0);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kb.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 ) ’ 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든 ‘( ) ’는 반 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 ( ’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 ’ 로 표현된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000이다.
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
17
(((()(()()))(())()))(()())
24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ack;
//쇠막대기
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tr) {
int answer = 0;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for (int i = 0; i < str.length(); i++) {
//'('를 만나면 stack에 push()
if(str.charAt(i) =='(') stack.push('(');
else {
//')'를 만나면 stack에서 pop()
stack.pop();
//'(' 이전 값이 ')' 이면 stack의 size를 answer에 추가
if(str.charAt(i-1) == '(') answer += stack.size();
//'(' 이전 값이 '(' 이면 answer에 1 추가
else answer++;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kb.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str));
}
}
정보 왕국의 이웃 나라 외동딸 공주가 숲속의 괴물에게 잡혀갔습니다.
정보 왕국에는 왕자가 N명이 있는데 서로 공주를 구하러 가겠다고 합니다.
정보왕국의 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주를 구하러 갈 왕자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왕은 왕자들을 나이 순으로 1번부터 N번까지 차례로 번호를 매긴다.
그리고 1번 왕자부터 N번 왕자까지 순서대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며 동그랗게 앉게 한다.
그리고 1번 왕자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며 1부터 시작하여 번호를 외치게 한다.
한 왕자가 K(특정숫자)를 외치면 그 왕자는 공주를 구하러 가는데서 제외되고 원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다음 왕자부터 다시 1부터 시작하여 번호를 외친다.
이렇게 해서 마지막까지 남은 왕자가 공주를 구하러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8명의 왕자가 있고, 3을 외친 왕자가 제외된다고 하자. 처음에는 3번 왕자가 3을 외쳐 제외된다.
이어 6, 1, 5, 2, 8, 4번 왕자가 차례대로 제외되고 마지막까지 남게 된 7번 왕자에게 공주를 구하러갑니다.
N과 K가 주어질 때 공주를 구하러 갈 왕자의 번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 줄에 자연수 N(5<=N<=1,000)과 K(2<=K<=9)가 주어진다.
첫 줄에 마지막 남은 왕자의 번호를 출력합니다.
8 3
7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canner;
//공주 구하기
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k) {
int answer = 0;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for (int i = 1; i <= n; i++) queue.offer(i);
while (!queue.isEmpty()) {
for (int i = 1; i < k; i++) queue.offer(queue.poll());
queue.poll();
if(queue.size() == 1) answer = queue.poll();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int n = kb.nextInt();
int k = kb.nextInt();
System.out.println(T.solution(n,k));
}
}
현수는 1년 과정의 수업계획을 짜야 합니다.
수업중에는 필수과목이 있습니다. 이 필수과목은 반드시 이수해야 하며, 그 순서도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총 과목이 A, B, C, D, E, F, G가 있고, 여기서 필수과목이 CBA로 주어지면 필수과목은 C, B, A과목이며 이 순서대로 꼭 수업계획을 짜야 합니다.
여기서 순서란 B과목은 C과목을 이수한 후에 들어야 하고, A과목은 C와 B를 이수한 후에 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수가 C, B, D, A, G, E로 수업계획을 짜면 제대로 된 설계이지만
C, G, E, A, D, B 순서로 짰다면 잘 못 설계된 수업계획이 됩니다.
수업계획은 그 순서대로 앞에 수업이 이수되면 다음 수업을 시작하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수업계획서상의 각 과목은 무조건 이수된다고 가정합니다.
필수과목순서가 주어지면 현수가 짠 N개의 수업설계가 잘된 것이면 “YES", 잘못된 것이면 ”NO“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첫 줄에 한 줄에 필수과목의 순서가 주어집니다. 모든 과목은 영문 대문자입니다.
두 번 째 줄부터 현수가 짠 수업설계가 주어집니다.(수업설계의 길이는 30이하이다)
첫 줄에 수업설계가 잘된 것이면 “YES", 잘못된 것이면 ”NO“를 출력합니다.
CBA
CBDAGE
YE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canner;
//교육과정 설계
public class Mai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need, String plan) {
String answer = "YES";
Queue<Character> queue = new LinkedList<>();
for(char x : need.toCharArray()) queue.offer(x);
for (char x : plan.toCharArray()) {
if(queue.contains(x)) {
//queue에 plan의 글자가 들어 있으나, 순서에 어긋난다면
if(x != queue.poll()) return "NO";
}
}
//queue에 문자들을 다 꺼내야 YES인데, 한 자라도 남아있다면 NO
if(!queue.isEmpty()) return "NO";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String need = kb.next();
String plan = kb.next();
System.out.println(T.solution(need,plan));
}
}
메디컬 병원 응급실에는 의사가 한 명밖에 없습니다.
응급실은 환자가 도착한 순서대로 진료를 합니다. 하지만 위험도가 높은 환자는 빨리 응급조치를 의사가 해야 합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응급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의 진료순서를 정합니다.
• 환자가 접수한 순서대로의 목록에서 제일 앞에 있는 환자목록을 꺼냅니다.
• 나머지 대기 목록에서 꺼낸 환자 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가 존재하면 대기목록 제일 뒤로 다시 넣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진료를 받습니다.
즉 대기목록에 자기 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가 없을 때 자신이 진료를 받는 구조입니다.
현재 N명의 환자가 대기목록에 있습니다.
N명의 대기목록 순서의 환자 위험도가 주어지면, 대기목록상의 M번째 환자는 몇 번째로 진료를 받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대기목록상의 M번째는 대기목록의 제일 처음 환자를 0번째로 간주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첫 줄에 자연수 N(5<=N<=100)과 M(0<=M<N) 주어집니다.
두 번째 줄에 접수한 순서대로 환자의 위험도(50<=위험도<=100)가 주어집니다.
위험도는 값이 높을 수록 더 위험하다는 뜻입니다. 같은 값의 위험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M번째 환자의 몇 번째로 진료받는지 출력하세요.
5 2
60 50 70 80 90
3
6 3
70 60 90 60 60 60
4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canner;
//응급실
class Person{
int id; //처음 대기목록 상에서 순서번호
int priority; //위험도
public Person(int id, int priority) {
this.id = id;
this.priority = priority;
}
}
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m, int[] arr) {
int answer = 0;
Queue<Person> queue = new LinkedList<>();
for (int i = 0; i < n; i++) {
//초기 대기열을 Person 객체로 queue에 저장
queue.offer(new Person(i, arr[i]));
}
while (!queue.isEmpty()) {
//queue에 저장된 맨 앞의 Person을 꺼내 tmp에 저장 (queue에선 삭제됨)
Person tmp = queue.poll();
//맨 앞의 Person을 꺼내고 난 나머지 queue를 반복문 돌림
for (Person x : queue) {
//queue의 요소를 반복문 돌리면서 tmp보다 큰 priority가 발견되면 tmp를 다시 queue 뒤에 저장
if (x.priority > tmp.priority) {
queue.offer(tmp);
tmp = null;
break;
}
}
//반복문 돌리는 동안 tmp의 priority보다 큰 priority가 queue에 없기에
//tmp가 대기열 중 가장 큰 숫자(위험도가 가장 높은)이므로 answer에 +1 한다.
//만약 tmp의 id가 m번째 환자의 숫자와 같다면 answer를 리턴
if (tmp != null) {
answer++;
if(tmp.id == m) return answer;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대기 목록에 있는 환자수
int n = kb.nextInt();
//m번째 환자
int m = kb.nextInt();
int[] arr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arr[i] = kb.nextInt();
}
System.out.println(T.solution(n,m,ar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