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객체 타입 {…} 구문을 사용해 객체 리터럴 생성 시, 타입스크립트는 해당 속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객체 타입 또는 타입 형태를 고려함 → 값의 속성에 접근하려면 value.멤버 또는 value[’멤버’] 구문 사용 * 객테 타입의 선언 → 명시적 선언 → 객체 리터럴과 유사해보이나 필드 값 대신 타입 사용 * 별칭 객체 타입 → 타입스크립트...
1. 유니언 타입 유니언 : 값에 허용된 타입을 두 개 이상의 가능한 타입으로 확장하는 것 내로잉 : 값에 허용된 타입이 하나 이상의 가능한 타입이 되지 않도록 좁히는 것 → 유니언과 내로잉은 다른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불가능, 타입스크립트에서만 가능한 ‘코드 정보에 입각한 추론’ * 유니언 : 이거 혹은 저거라고 생각(두 개 이상의 옵션이 가능...
1. 타입의 종류 * 타입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다루는 값의 형태에 관한 설명 → 형태 : 값에 존재하는 속성과 메서드 + 내장되어 있는 typeof 연산자가 설명하는 것 의미 * 원시타입은 총 7개 → 계산된 초기값을 갖는 변수의 타입을 유추함 > null, und
초기 설정 및 Redux 부분을 타입스크립트로 변경 시 자바스크립트와 차이점이 무엇인지 작성하기 위함
typescript로 redux 부분 수정 후 컴포넌트에서 확인하기
▶ redux saga과 toolkit 그리고 next.js로 만든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일부 내용들은 typescript로 변환하여 만들어보고자 함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카테고리에서 filter로 적용하는 법을 알게 되어 복습함
이 글은 AWS 인스턴스가 오류가 생겨 중지 대신 삭제를 눌러 다 날려버린 사람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