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통신 규격에 이요되는 다양한 Protocol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일전에 소개했던/잘 알려진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HTTP, SSH, TCP, UDP 등등)
프로토콜 하나하나 깊게 살펴보려면 너~~~무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간단한 특성만 정리해보았다.
분산형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동작
- 사용자 관리는 중앙집중식으로 수행
인증방법
- PAP, CHAP 등 다양한 방법을 지원
RADIUS 메세지
- 속성/값 쌍(Attribute/Value Pair)라 불리는,
- Type - Length - Value 형태로 인코딩되어 전달됨
수송용 프로토콜
- 통상 UDP에 의해 전달됨
-(인증,인가 : 포트번호 1812, 계정관리 : 포트번호 1813)
RADIUS 서버는 다른 RADIUS 서버에 대해 Proxy 클라이언트로 쓰여질 수 있음
표준 : 인증관련 RFC 2138, 과금관련 RFC 2139
- 1996년 IETF의 RADIUS Working Group에서 최초 표준화하여 RFC 2138로 문서화함
사용자는 RADIUS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서버에 접속 시도
서버는 PPP 프레임 등을 사용하여 ID 및 암호를 받음
UDP/IP 를 통해 ID 및 암호를 RADIUS 서버로 암호화된 Access-Request로써 전달
RADIUS 서버는 받아들인 User-Name Attribute(속성)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DB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함
- 다르면, 실패 이유를 Access-Reject 메세지를 해당 서버에 알려줌
- 맞으면, Access-Accept 메세지를 해당 서버에 알려줌
기존의 RADIUS를 발전시킴
- RADIUS 약점 보완 및 서버간 통신 지원
확장성이 좋은 차세대 인증 프로토콜
- 기존의 엑세스 인증 이외에도 로밍, Mobile IP (MIP) 등과 같은 이동성 지원
강화된 보안 기능
신뢰성 있는 전송계층 프로토콜 사용
강화된 장애복구 및 재전송 기능
향상된 세션관리 및 호환성 제공 등
RADIUS
- 프로토콜 구조 : 서버/클라이언트 (단방향)
- 전송계층 특성 : Connectionless (UDP)
- 종단간 보안 : 제공 안함
- 보안 기능 : 공유 비밀 키
DIAMETER
- 프로토콜 구조 : Peer-to-Peer (양방향)
- 전송계층 특성 : Connection-oriented (TCP 및 SCTP)
- 종단간 보안 : End-to-End 보안 기능 제공
- 보안 기능 : End-to-End(TLS), 전송계층(IPSec/TLS)
GPRS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ling Protocol, GTP)
GSM, UMTS 및 LTE 네트워크 내에서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 그룹
(GPRS :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망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서 확장된 개념의 2.5세대 이동통신 표준으로써, 무선 인터넷과 영상통신의 서비스가 추가된 개념 )
3GPP 아키텍처에서 GTP 및 Proxy Mobile IPv6 기반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포인트에서 사용됨
GTP-U
- GPRS 코어 네트워크 내에서 그리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IPv4, IPv6 또는 PPP 형식의 패킷일 수 있다.
GTP'
- GTP' (GTP prime)는 GTP-C 및 GTP-U와 동일한 메시지 구조를 사용
- GTP'만의 독립적 기능 : GSM 또는 UMTS 네트워크의 과금 데이터 장치 (CDF)에서 과금 게이트웨이 장치(CGF)로 과금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 대부분의 경우 이는 GGSN과 같은 많은 개별 네트워크 요소에서 과금 데이터를 네트워크 운영자의 과금 센터에 보다 편리하게 전달하는 중앙 컴퓨터까지를 의미
음성(오디오) 통화 세션,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세션, 게임 세션 등ㅇ VoIP 표준
ㅇ H.323 에 비하면 매우 단순하며, 호 설정이 간단
ㅇ 호(呼)의 설정,변경,종료를 위한 일종의 시그널링 기술임
ㅇ 텍스트 기반(text-based)의 응용계층 프로토콜
ㅇ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요청과 응답 구조로 동작 ☞ SIP 요청 응답 참조
ㅇ 주소방식은 URI 방식을 응용
ㅇ 세션 설정 후, 실제 데이터 스트림은, 주로 RTP 사용
ㅇ 사용자 이동성 (Personal Mobility) 제공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