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필요한 선택자(Selector)의 과용과 연산 기능의 한계구문(Statement)의 부재 등CSS 문법과 굉장히 유사하지만,표준 CSS 보다 훨씬 많은 기능이 있어 편리함선택자의 중첩(Nesting)조건문반복문다양한 단위(Unit)의 연산전처리기를 웹에서 동작시키기
자바스크립트의 sort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arameter로 정렬 조건 함수를 넣어줘야 한다.여기서 a는 b보다 앞에 있는 값인데 return 값이 양수인 경우 순서를 변경한다.따라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return a - b를 해주면 된다.devel
파라미터의 형태가 다양한 함수를 만드는 것을 Function Overloads 라고 한다.Function Overloads | TypeScript documentation(https://www.typescriptlang.org/docs/handbook/2/fu
이미 설정되어 있는 타입에서 특정 속성만 사용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함interface에서는 사용 불가능DataType을 정의할 때 : 대신 ?:를 사용하면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속성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특정 속성만 선택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
아래의 함수는 Person type을 파라미터로 받는다.하지만 Person은 User과 Admin의 Union Type이다.따라서 변수 person에 occupation/role 속성이 포함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if('role' in person) {} 조건문
infile = open('phone.txt', 'r')book = infile.read()print('-' 20)print(book)print('-' 20)
쇼핑몰 주문 페이지에서 항상 상품 이미지를 수직 중앙 정렬하고 싶어서, resize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order의 window 높이 등을 고려하여 top 값을 계산하여 설정하도록 구현하였다.그런데 다른 페이지에서도 이 resize 이벤트가 계속 실행되면서 오류가
-> package.json 파일 생성 필요한 라이브러리들 설치 express: 서버를 만든다. express 서버에 DB를 올림. mongoose: mongo DB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cors: 프론트, 백 통신에 문제 없도록 dotenv: 설치한 환경
http, web socket 모두 프로토콜이다.프로토콜: 소통을 하기 위해 약속한 방식일상생활에서 아주 많이 사용 됨단방향 통신. 즉,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만 서버에서 대답함연결에 지속성이 없음: 서버에서 응답하면 연결이 끊김양방향 통신.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
React에서 calc()를 썼는데 적용이 되지 않았다. Chrome에서는 -webkit-calc를 써야 적용이 된다고 한다. 참고 자료 [도라미도라미div 3개 레이아웃 만들기(calc() 사용법) - TISTORY](https://ddorang-d.tistory
\[Youtube]\[코딩알려주는누나] 코딩에 진심인 사람을 위해 준비한 리액트 타입스크립트 | 실제 회사에서 쓰는 레벨 ver 내용을 정리한 문서입니다.React TypeScript 프로젝트를 생성했다면 .tsx 파일들과 tsconfig.json 등이 보일 것이다.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