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조사란Epidemiological Analysis (WHO)
최초의 역학조사 - 존스노우의 콜레라 사례 (위키피디아, 블로그 , 데이터, 영상)
1854년. 영국 소호 지구 부근 브로드 스트리트에서 발생한 총 사망자 616명. 3일만에 120명을 사망시킨 집단 콜레라 감염 사건.
존스노우는 사망자가 펌프 주변의 군집화되어 있다는 역학조사를 진행. 빅토리아 시대의 의사였음.
실제 영국 소호SOHO 위치 ( 존스노우의 이름을 딴 맥주집이 있음. )
잠시 19세기 중반 영국에 있다고 상상해보자, 위생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은 시대였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세균이라는 입자가 사람 몸에 들어와 죽음에 이르게한다는 사실이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
대다수의 사람들은 콜레라 질병이 공기로 전염된다고 생각함(미아즈마 이론). 주변에 가축 등을 키우지만 제대로된 하수처리가 되지 않아 악취로 공기로 가득했던 상황. 그래서 펌프를 진원지로 역학조사를 실시할 생각조차 못함.
그러나 존스노우는 콜레라를 알려지지 않은 세균이 물을 섭취하는 사람들에 의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된다는 이론을 세움. (세균 이론) 여기서 콜레라가 수인성 전염병이라는 가설을 세웠고 이를 증명하려고 했다.
(공통점 확인)사망자가 발생한 집들의 패턴을 분석했고, 대다수의 사망자들이 브로드 가에서 펌프 근처라는 사실을 발견
(행동분석) 펌프 근처의 물을 마시는 습관이 있기에, 펌프의 물이 원인이지 않을까 하는 합리적 의심을 함.
(특이점) 흥미로운 점은 펌프랑 가깝지만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곳이 있었음. 지역 양조장에서는 근로자들이 물대신 맥주를 마시는 것을 확인. 또 다른 한곳은 근처 작업장이었는데 자체적으로 물을 공급 받고 있어서였음
(특이점2) 반대로, 수원지로부터 몇 마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사망자가 생겼는데 해당 펌프에서 길른 물맛을 좋아해서, 멀리 떨어진 물을 길러다가 마셨음. 결국 그 물을 마신 가족들은 모두 사망하였음.
(액션 및 검증) 존 스노우는 위의 사실을 기반으로 지역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급수 펌프가 발병의 원인임을 알리고, 해당 사건 이후로 물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펌프의 손잡이 제거하면서 콜레라 사태는 종료됨. 나중에서야 펌프의 물이 콜레라에 감염된 아기 기저귀로 인해 인근 하수가 오염된 것이 밝혀짐.
(의의) 당시 화학적, 현미경 검사가 없었음에도 사망자의 패턴을 파악하고 가설을 검증하는 사건.
질병의 첫번째 역학적 분석-환경 요인에 의한 사례의 확산을 이해하고자 함
질병 데이터에 대한 최초의 지리적 분석-지도에 포인트를 표시하고 관계를 찾음
끝으로 우리가 알고 있던 지도는 사건이 종료된 이후에 만들어 진 자료.
How about performing some sort of statistical cluster analysis on the deaths data? Does it identify the correct pump as the source? 사망 데이터에 대해 일종의 통계적 군집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어떨까요? 올바른 펌프를 공급원으로 식별합니까?
What if the data were only provided in aggregated form? Lots of healthcare data is provided in that way today because of privacy concerns – but if the data had been provided aggregated to (for example) census output areas or a standard grid, would the right pump have been identified? 데이터가 집계된 형식으로만 제공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오늘날 개인 정보 보호 문제로 인해 많은 의료 데이터가 그러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해당 데이터가(예:)인구 조사 출력 영역 또는 표준 그리드에 통합되어 제공된 경우, 적합한 펌프가 식별되었는가?
블로그에 올라와 있는 자료로 시각화 해봄.
코호트 격리(Cohort Isolation)
란 감염 확진자가 발생한 의료 기관이나 시설을 통째로 봉쇄하는 조치를 의미한다.동일 집단
또는 지지자
등을 뜻한다. 사회학적으로는 특색이나 행동 양식을 공유하는 집단을 의미한다.코호스(Cohors)
에서 그 뜻이 파생됐다.기술역학 (인적변수people/시간적변수time/지역적변수place)
분석역학
실험역학 (지역사회실험/임상실험)
단순한 설사인지, 콜레라에 의한 것인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