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이다
언어를 배우는 것은 아주우 재밌다.
HTML을 배우면서 마크업랭기지와 아주 친해졌기 때문에
벨로그 작성이 한결 수월해졌다 ^.*
말로만 들었었지 어떻게 작동을 하는지
html에서 어떤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
이번 교육을 통해 알게 되었다.
Javascript는 HTML내에서 css와 같이 적용가능하다.
css는 stlye을 정의하는 문서라면
Javascript는 문서 내 기능이나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문서이다.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소프트웨어적 대상에게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명령을 내리고싶은 대상에게 자바스크립트 명령을 전달하면
다음 절자대로 작업이 이루어 진다.
입력 : 객체에게 작업 수행 명령 전달
처리 : 객체가 주어진 작업 수행
출력 : 객체가 작업수행결과 사용자 반환
*보통 Javascript는 html문서 body 아래쪽에 작성한다.
자바스크립트에는 다양한 객체 이름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사용자는 어떻게 사용하는지만 알고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다!
명령의 두가지 유형
사용 예시
객체.데이터
객체.기능()
window.alert('조심하세요');
window.alert('줄을 나눌때는 ;으로!');
/*조심하세요! 라는 문구를 알리는 창을 표시한다 */
/*줄을 나눌때는 ;으로 나눈다 */
/**/ = 스크립트 주석
콘솔(console)은 브라우저 디버깅 콘솔 접근 가능
window.console;
console
/* 위 두개는 동일하게 접근 가능 */
console.log(typeof 사용자가 원하는 값)
/* typeof = 원하는 값의 자료형이 뭘까용? */
/* 사용자는 자바스크립트 문법으로 표현될 수 있는 데이터를
넣어 명령 전달 가능!*/
/* 맥 기준 opntion + command * I 를 하면
볼 수 있는 개발자도구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숫자는 정수와 실수로 구분
정말 중요한 개념 변수!
쉽게 정의를 내리자면 '데이터에 붙이는 이름표!'
제약사항으로는
변수는 대입 연산자 사용
ex) a = b / a *= b 등~
let 변수이름 = 데이터; //변수 선언
변수이름 = 데이터; // 변수 초기화
//아래와 같이 사용 가능
let 변수이름 = 데이터1
변수이름 = 데이터2
변수이름 = 데이터3
/* 변수가 생성되고 나면 변수(변수이름)을 대신 사용 가능하다 */
변수가 존재하니 당연히 상수도 존재
상수란 수식에서 '변하지 않는 값'을 뜻함
const 상수이름 = 데이터;
//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필요 위와같이!
/* 네이밍 컨벤션은 변수와 동일! */
문자열도 다른 언어와 동일하게 사용가능
string!
문자열을 다양하게 사용 가능한데
예시로 대표적인건 prompt(값)
템플릿 리터럴
반환값이 존재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즉 표현식을 내장 할 수 있는 문자열 표현법
백틱(`)으로 가두고 ${} 플레이스 홀더를 이용
= 파이썬의 f-stiring 표현법과 유사하다!
const data1 = "데이터"
const str1 = `문자열 중간에 ${dat1} 삽입하기₩
console.log(str1)
// 출력값
문자열 중간에 데이터 삽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