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들으며 오늘 배운 내용에 대해 이해한 방식대로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어제 정리한 내용이지만 거기에 덧붙여서 정리를 진행해보기로 했다.
먼저 함수와 내장함수에 대해 어제 정리를 했었다.
오늘은 함수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먼저 코드블럭과 함께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python
def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함수 내에서 실행될 코드
# 다양한 코드로 함수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도와준다.
return 반환값 #우리가 출력하고자 하는 값
```
def: 함수를 정의하는 키워드
함수이름: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이름
매개변수: 함수에 전달하는 값을 받는 변수 (선택 사항)
함수 내부 코드: 함수가 수행할 작업을 적는 부분
return: 함수의 결과를 반환(선택 사항)
파이썬에서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이다.
마치 레시피와 같이 정해진 순서대로 명령을 실행하여 특정 결과를 만들어낸다.
위 코드블록을 통해 간략하게 설명해 두었다.
```python
def 인사(이름):
print("안녕하세요,", 이름, "님!")
인사("홍길동") # 함수 호출
```
위 코드블록을 통해 함수의 호출에 대해 짦막하게 적어 보았다.
위 코드를 실행시켜보면 우리가 '인사' 라고만 출력해줘도
자동적으로 안녕하세요 홍길동 님! 이라고 나온다.
매개변수는 함수가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변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마치 레시피에서 재료가 필요하듯이 함수도 특정 작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받아야 할 때 이때 사용되는 것이 매개변수이다.
식별자는 프로그래밍에서 변수, 함수, 클래스 등과 같이
프로그램 내의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붙이는 요소들을 말한다.
쉽게 말해, 사람에게 이름이 있듯이, 프로그램 안의 각 요소들에게
붙여주는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는 코딩을 할 때 많은 식별자를 사용해 함수로 사용하고 있다.
함수에서 식별자는 주로 함수 이름과 함수 내부의 변수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그냥 지나칠 수 있는 내용을 다시 복습하며 글을 적어보았다.
그나저나 요즘 chat.gpt 말고 Gemini의 도움을 받아 코딩을 진행중인데
이미지도 곧잘 만들고 chat.gpt엔진으로 구글이 만들어서 그런지
거의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