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A 암호화, 많이 들어보셨죠?RSA는 1970년대에 만든 사람 3명의 수학자 이름 앞자를 따온 암호화 이론 입니다.수학자가 개발한 만큼, 수학에 기반한 암복호화 기술인 것을 알 수 있죠.정확하게는 소인수분해가 어려운 점을 이용 합니다.아휴, 이번 글 읽고 싶지 않죠
SSL 은 공인인증서 입니다.우리가 온라인에서 신분을 증명할때 사용하는 그것과 거의 같습니다.이제 웹사이트는 SSL 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한데요.이것은 다름아닌 웹사이트를 만든 사람(회사)이 진짜 존재하고, 도메인 주인이 맞는지 확인 하는 것입니다.그러니까 여러분이 아임
이 글은 2편으로 나뉘어 게재하며, 1편에서 이어지는 글 입니다.지난 1편에서 우리는 프롬프트의 조합으로 GPT에 문맥을 전달하여, 그 문맥 내에서 답변을 제한 시키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와 동시에 프롬프트 길이의 한계점이 있지만 결국 해결방법이 있고, 그 것을 2편
이 글은 2편에 걸쳐 나누어 게재될 예정입니다.OpenAI의 ChatGPT가 광풍을 불던 2023년 초, 아임웹도 빠르게 AI를 활용하려고 내부에서 여러가지 실험을 하고 있었습니다.여러 아이디어 중, 아임웹 가이드를 학습한 AI 챗봇이 채택되어 빠르게 구축을 했습니다.
아임웹 엔지니어링에서는 기술 부채를 없애고 모던 스택을 도입 하기 위해 아임웹 서비스 전체를 점진적으로 MSA (Micro Service Architecture)로 재개발을 하고 있습니다.MSA에 사용할 백엔드 언어를 선택 할 때 오직 성능만 본다면 단연코 go 를 선
인터넷에서 도메인이 없다면 전부 숫자를 외워야 합니다. IP주소를 써야 하기 때문이죠.그래서 IP주소 대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이름이 필요합니다.그것이 바로 도메인 입니다.14.169.188.13 같은 것은 외우기도, 이해하기도 어렵지만imweb.me 는 쉽죠. 이
IP 주소 뒤에 /24 /16 같은 숫자를 보신적이 많죠?이 슬래시(/)뒤에 숫자가 붙으면 CIDR(사이더) 표기법을 사용한 것입니다.IP주소는 점으로 나뉜 4 영역으로 되어 있는데, 각각의 자리는 0~255까지 올 수 있습니다. 즉, 256 글자중 1가지, 딱 1바이
캡쳐, 스크린샷은 화면에 보이는 부분을 이미지로 저장 하는 것입니다.웹사이트 스크린샷은, 브라우저에 보이는 웹사이트의 이미지를 저장 하는 것이죠.뭐 어려운 기술인가요? 아니오. 누구나 할수 있습니다.스크린샷을 만드는 과정을 한번 생각해봅시다.브라우저로 웹사이트를 엽니다
저는 make 명령어를 매우 자주 사용 합니다.이 명령어는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닌 빌드 도구 입니다.여러 명령들을 서술해두고 골라서 실행 할 수 있고, 명령간 의존성을 정의 할 수있기 때문에 요즘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make 명령어는 Makefile 을
Intel 천지였던 PC 분야에 ARM이 광풍을 불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이에 개발자도 변화를 감지 하고 대응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을 정리 했습니다.그동안 암묵적으로 대부분의 서버 환경이 Intel 기반 이므로 달리 묻지 않고 사용 했습니다.하지만, 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