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01101001011010100110100101101110
post-thumbnail

이전에 대칭키,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에 관한 글을 작성한 적이 있었다. 대칭키 공개키가 어떤건지는 알겠는데, 실제 통신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궁금했었다. HTTPS 통신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방식을 확인하고 기본 동작에 대해 이해해보자 ❗️

2022년 11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dis] 1️⃣ Redis는 데이터베이스인가?

Redis(레디스)는 BSD 라이센스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이자 인메모리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목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캐시/메시지브로커/스트리밍엔진과 같은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2년 8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x-www-form-urlencoded와 application/json의 차이 (HTTP Content-Type)

postman에서 http test를 하다보면 body type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이는 Header의 Content-Type과 연결된 것으로, 주로 사용하는 x-www-form-urlencoded와 json의 차이를 간단하게 살펴보려 합니다

2022년 7월 23일
·
0개의 댓글
·

동적으로 추가 요소를 더해 확장할 수 있는 Decorator Pattern

데코레이터 패턴은 GoF의 디자인패턴 중 하나로, 객체에 추가 요소를 동적으로(런타임에) 더할 수 있는 패턴입니다. 새로운 요소가 필요할 때 마다 객체를 새로 정의하거나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유연하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2022년 6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Effective Kotlin: 변수의 스코프를 최소화하라

코틀린에서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설정하는 것이 좋으며, var보다는 val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2년 6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otlin Koans] Named arguments/Default arguments

Kotlin Koans로 코틀린 문법 연습하기

2022년 5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otlin은 왜 void 대신 Unit을 쓸까 👀

Unit은 java의 void와 대응되는 wrapper class로, toString을 제외한 어떠한 메서드도 구현되어 있지 않습니다.만약 함수가 반환해야 할 값이 없다면 return type을 Unit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2022년 3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TO의 사용성과 매핑 전략에 대해

DTO를 왜 사용하는지, 그리고 계층 간 통신을 위해 어떤 전략을 두어 활용할 지 알아봅니다.

2022년 3월 1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021년 회고 -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싶은)수

이제 개발자가 되었으니 1년에 한 번씩 회고를 써보면 어떨까 한다

2022년 2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의존성의 끝이 도메인을 향하게 하자

육각형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잘 활용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은 객체지향 원칙 SOLID 중 S(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D(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입니다.

2022년 1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계층형 아키텍처 쓰면 왜 안되는데요❓

이 글은 육각형 아키텍처를 갓 접해보고 개발해본 입장에서 작성하기에, Controller-Service-Repository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계층형 아키텍처에 익숙해진 사람들과 DDD를 모르는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2022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otlin In Action 2장 - 코틀린 기초

함수/변수/클래스/enum/when/if/iteration/try-catch과 같은 코틀린의 다양한 요소들을 알아본다.

2022년 1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otlin In Action 1장 - 코틀린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얼마 전 썬, 제키와 함께 코틀린 스터디를 시작했다. 사실 책의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내용이 너무 많을뿐더러 글쓰는 것과 정리하는 데 부담감을 가지게 될 것 같다.그래서 공부할 때는 책을 가볍게 읽으면서 사소한 궁금증, 같이 얘기하고 싶은 이슈

2022년 1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otlin 처음 시작하기 ❗️

코틀린을 처음 알게된 건 우아한형제들의 '어디가서 코프링 매우 알은 체 하기'라는 세미나 때문이었는데, 그때는 필요성도 실용성도 잘 체감하지 못했었다.하지만 서버 개발자의 길에 입문하면서 코틀린에 관심이 생겼고, 왜 서버 개발 언어의 흐름이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넘어갔는

2022년 1월 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