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진 트리 모양 초원의 각 노드에 늑대와 양이 한 마리씩 놓여 있습니다. 이 초원의 루트 노드에서 출발하여 각 노드를 돌아다니며 양을 모으려 합니다. 각 노드를 방문할 때 마다 해당 노드에 있던 양과 늑대가 당신을 따라오게 됩니다. 이때, 늑대는 양을 잡아먹을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 당신이 모은 양의 수보다 늑대의 수가 같거나 더 많아지면 바로 모든 양을 잡아먹어 버립니다. 당신은 중간에 양이 늑대에게 잡아먹히지 않도록 하면서 최대한 많은 수의 양을 모아서 다시 루트 노드로 돌아오려 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의 경우(루트 노드에는 항상 양이 있습니다) 0번 노드(루트 노드)에서 출발하면 양을 한마리 모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1번 노드로 이동하면 당신이 모은 양은 두 마리가 됩니다. 이때, 바로 4번 노드로 이동하면 늑대 한 마리가 당신을 따라오게 됩니다. 아직은 양 2마리, 늑대 1마리로 양이 잡아먹히지 않지만, 이후에 갈 수 있는 아직 방문하지 않은 모든 노드(2, 3, 6, 8번)에는 늑대가 있습니다. 이어서 늑대가 있는 노드로 이동한다면(예를 들어 바로 6번 노드로 이동한다면) 양 2마리, 늑대 2마리가 되어 양이 모두 잡아먹힙니다. 여기서는 0번, 1번 노드를 방문하여 양을 2마리 모은 후, 8번 노드로 이동한 후(양 2마리 늑대 1마리) 이어서 7번, 9번 노드를 방문하면 양 4마리 늑대 1마리가 됩니다. 이제 4번, 6번 노드로 이동하면 양 4마리, 늑대 3마리가 되며, 이제 5번 노드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양을 최대 5마리 모을 수 있습니다.
각 노드에 있는 양 또는 늑대에 대한 정보가 담긴 배열 info
, 2진 트리의 각 노드들의 연결 관계를 담은 2차원 배열 edge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문제에 제시된 조건에 따라 각 노드를 방문하면서 모을 수 있는 양은 최대 몇 마리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info
의 길이 ≤ 17
info
의 원소는 0 또는 1 입니다.edges
의 세로(행) 길이 = info
의 길이 - 1
edges
의 가로(열) 길이 = 2edges
의 각 행은 [부모 노드 번호, 자식 노드 번호] 형태로, 서로 연결된 두 노드를 나타냅니다.def solution(info, edges):
answer = []
graph = [[] for _ in range(len(info))] # 연결 정보
check = [0] * len(info) # 방문 처리 리스트
# 연결 정보 초기화
for p, c in edges:
graph[p].append(c)
def dfs(p, sheep, wolf):
if sheep > wolf: # 양의 수가 늑대의 수보다 많다면
answer.append(sheep)
else: # 늑대의 수가 더 많다면, 종료
return
# 연결된 자식 노드 탐색
for nxt in graph[p]:
if not check[nxt]: # 자식 노드를 방문하지 않았을 경우
check[nxt] = 1 # 방문 처리
if info[nxt] == 0: # 양이라면
dfs(nxt, sheep + 1, wolf)
else: # 늑대라면
dfs(nxt, sheep, wolf + 1)
check[nxt] = 0 # 방문 해제
dfs(0, 1, 0)
return max(answer)
문제의 예시를 보면, 루트노드에서 자식노드로 갔다가 형제노드로 가는 방법도 가능하다.
하지만 위의 코드는, 자식노드에서 형제노드로 가는 경우의 수를 고려하지 않는다.
즉, 노드 p
에 연결된 자식노드인 nxt
를 재귀호출하고 다시 nxt
의 자식노드를 재귀호출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우리는 위의 코드에 형제노드로 갈 수 있는 코드를 추가해야한다.
_max = 1
def solution(info, edges):
graph = [[] for _ in range(len(info))] # 연결 정보
# 연결 정보 초기화
for p, c in edges:
graph[p].append(c)
# DFS
# 현재 정점, 양의 수, 늑대의 수, 이동 가능한 정점 리스트
def dfs(p, sheep, wolf, node_list):
global _max
# 양의 수가 더 많으면
if sheep > wolf:
_max = max(_max, sheep) # 최대 양의 수 갱신
else: # 늑대의 수가 더 많으면
return
# 이동 가능한 정점 리스트 갱신
node_list.extend(graph[p])
for node in node_list:
# 자기 자신이 아닌 정점 리스트로 호출
if info[node] == 0: # 양이라면
dfs(node, sheep + 1, wolf, [i for i in node_list if i != node])
else: # 늑대라면
dfs(node, sheep, wolf + 1, [i for i in node_list if i != node])
# DFS 호출
dfs(0, 1, 0, [])
return _max
위 코드는 형제노드로 가는 경우의 수를 추가했다.
node_list
는 현재 노드 p
에 연결된 자식 노드들을 담고있다.
node_list
안의 노드들을 탐색하면서, 양인지 늑대인지에 따라 경우의 수를 나눈다.
[i for i in node_list if i != node]
를 node_list
의 인자로 설정하여 재귀호출을 하는데,
이 코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node
를 재귀호출하므로 자기 자신(node
)은 빼라는 것이다.
만약 자기 자신도 node_list
에 추가한다면 무한루프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def solution(info, edges):
answer = [] # 모을 수 있는 '양의 개수'
check = [0] * len(info) # 0-index, 방문 처리 리스트
check[0] = 1 # 루트 노드 방문 처리
def dfs(sheep, wolf):
# 늑대 수가 양의 수보다 같거나 많다면
# 양이 모두 잡아먹힌다.(양 : 0마리)
# 즉, answer에 넣지 않아도 된다.
if sheep <= wolf:
return
else: # 양의 수가 늑대의 수보다 '더 많은' 경우
answer.append(sheep)
# 연결 정보를 확인한다.
for parent, child in edges:
# 부모 노드는 무조건 방문을 해야 자식 노드를 방문할 수 있다.
# 자식 노드를 이미 방문한 경우, 재방문은 안된다.
if check[parent] and not check[child]:
check[child] = 1 # 자식노드 방문 처리
if info[child] == 0: # '양'이라면?
dfs(sheep + 1, wolf)
else: # '늑대'라면?
dfs(sheep, wolf + 1)
# 다음 경우의 수를 위해
# 자식노드 방문 해제
check[child] = 0
dfs(1, 0) # 루트 노드는 항상 양이다.
return max(answer)
문제의 제한사항을 살펴보면 다음의 문구를 볼 수 있다.
✅ edges는 항상 하나의 이진 트리 형태로 입력이 주어진다.
이 말은 edges
를 가지고 굳이 연결 정보를 다시 만들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즉, 우리는 주어진 edges
를 통해서 DFS
를 수행하면 된다.
여기서 키 포인트는,
트리를 방문할 때 어떤 자식 노드를 방문하려고 한다면, 그 자식노드의 부모노드는 이미 방문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조건을 의미하는 것이 위의 코드에서 if check[parent] and not check[child]
이다.
나머지 코드는 성공 코드-#1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