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를 풀면서 사용한 개념이나 새롭게 알게된 개념
참고자료 출처: 설명 아래 기재
parseFloat()
함수는 문자열을 분석해 부동소수점 실수로 반환한다.
parseInt()
는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함수이다.
parseInt(string, n)
string을 n진법일 때의 값으로 바꿔준다. n은 2부터 36까지 입력할 수 있다.
입력하지않으면 10으로 처리한다.
소수 부분은 버린다.
0x로 시작하면 16진법으로 처리한다.
설명 출처: https://www.codingfactory.net/11026
Math.sign()
는 어떤 수의 부호를 반환한다. 그 수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0인지 나타낸다.
이 함수의 반환값은 1, -1, 0, -0, NaN 5가지가 있다.
split()
메서드는 string 객체를 지정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문자열로 나눈다.
join()
메서드는 배열의 모든 요소를 연결해 하나의 문자열로 만든다.
👉 실제 코드카타 문제
reverse 함수에 정수인 숫자를 인자로 받습니다. 그 숫자를 뒤집어서 return해주세요.
💡 풀이
const reverse = x => {
return parseFloat(String(x).split('').reverse().join('')) * Math.sign(x);
}
x는 숫자이므로 우선 문자열로 만들기 위해 String
전역 객체를 사용해주었고 그 후에 배열로 만들어 숫자를 뒤집어서 다시 join()
을 통해 합해주었다.
parseFloat()
를 사용해준 이유는 '0123'과 같은 결과를 '123'으로 만들어주기 위해서이고 , Math.sign()
을 통해서 음수일 경우에 마지막에 -1을 곱해줄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
Set
객체는 자료형에 관계없이 원시값과 객체 참조 모두 유일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add()
메서드는 Set
개체의 맨 뒤에 주어진 value의 새 요소를 추가한다.
결과는
중복 값이 없는 1,2,3,4 만 저장되는데 이는 add()
메서드를 쓸 때도 같다.
배열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가능하다.
또한, size
접근자 속성은 Set객체의 원소의 수를 반환한다.
위의 예제에서 s.size
를 해주면 4가 나온다.
Array.from()
메서드는 유사 배열 객체나 반복 가능한 객체를 얕게 복사해 새로운 Array
객체를 만든다.
특히 Set
객체와 함께 써주면 중복되지 않는 문자열만 골라서 배열로 만들 수 있다.
설명 출처: M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