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페이지를 꾸미려고 작성하는 코드
html과 같은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도 아니고, 마크업 언어도 아닌
stylesheet 언어이다.
css는 html 문서에 있는 요소들에 선택적으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css는 어떤 기준으로 어떤 요소들을 선택해서 어떻게 적용시키는 것일까?
오늘은 '어떤 기준으로 어떤 요소들을 선택하느냐에 대한 해답'인 명시도에 대해 다뤄보았다.
웹브라우저가 셀렉터의 구조를 파악하여 구체적인 정도를 기반으로 적용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vs code에서는 명시도를 바로 볼 수 있다.
css에서 셀렉터 위를 호버하면 작은 창이 뜨는데, 그 창 속에
명시도 (0,0,0)가 나타난다.
.red
선택자에 color
와 border-color
가 적용되지 않는다. 왤까?.red
를 .colors .red
나 .colors.item.red
로 바꿔주면 적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Ex.2
/*아래는 위 css의 적용대상이 되는 html 마크업이다 */
<h1 class=wow wow2>contents</h1>
위 상황에서는 .wow:hover
가 나타나지 않는다. 왜일까?
:hover
또한 클래스 취급해서 명시도가 같다는 것이다..wow:hover
셀렉터를 끝으로 내려서 .wow:hover
가 맨 끝에 오는 선언으로 만들면 된다.!important
h1 { color: blue !important; }
!important
끼리 있다면: 그 중 명시도가 더 높은 것이 우선된다.<h1 style="color: blue;"> content </h1>
#h1 {property: value;}
.class {property: value;}
a[href="https://veamcamp.com"]
:hover {property: value;}
::before
h1 {property: value;
*
글 사이의 간격(행간)을 조정하는 속성
initial value: normal, inheritance: yes
line-height: normal
일 때: 한 줄의 높이가 폰트 종류에 종속적이다.line-height: 1;
: 폰트 사이즈와 줄 높이가 같아진다.img
에는 되도록 class
선언을 권장: 워낙 img
를 쓸 일이 많음:has
가상클래스div:has(:hover) {property: value;}
의 의미div
에 hover
했을 때 property가 적용된다.::before
overflow: hidden
border-radius
값을 header
랑 footer
에 각각 준 사람 바로 저에요^^overflow: hidden;
을 주게 되면 자식 요소가 부모 요소 밖으로 넘쳐 흐른 것을 숨겨준다.<nav>
<ul>
, <li>
를 사용했었으나,<nav>
이다.background-image
고정하기background-attachment: fixed;
하면 고정된다.오늘 처음 CSS가 어떤 단어의 약자인지 알게 되었다 ㄷㄷㄷㄷ
아니... 진짜.... 왜 이때까지 찾아볼 생각을 안했지?ㅋㅋㅋㅋ
가끔 마우스를 잘못 뒀을 때 선택기 특이성 창이 코드를 가릴 때가 있어서 에잉 성가셔! 했었는데
왜 적용이 안되나 볼 때... 아주 유용하겠다고 생각하자마자 써먹게 되었다 ㅎㅎ
오늘 과제에서 코드에 문제가 없는데! 적용이 안되어서 이상하다 생각하고
혹시몰라 확인해봤더니 정말 명시도가 같아서.. 순서에 따라 아래에 적은 값이 적용이 되어서
내가 원했던 윗 값은 적용이 되지 않은 것이었다 ㄷㄷㄷㄷ
오늘 안배웠으면 진짜 평생 모를뻔........
그리고 overflow: hidden
이 자식!!!!!
배경 이미지 고정하는 속성도!!!!
드디어 알게되어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행복한 하루였다.
오늘 적은 것 외에도 짤막짤막하게 많은 것들이 나왔었는데,
뭔가 길게 설명을 안해주신 것을 보아하니
아... 지금 내 수준에서는 그렇게 깊게 안파도 되는 아이구나...(나의 이해도가 딸리니까)하는 생각에
정말 깊게 파지 않았다.
이러면 안되는데...........................
사실 오늘 정리한 것도 머리에 넣기 힘들었기 때문에..
정말 필요한 날에......다시 공부를.......
이러면 안되지만.......................
어쨌든
끝~!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