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분석] CH 1. 공공 데이터를 통한 시장 동향 이해해보기 : 관계와 조인

이진호·2024년 10월 28일
0

tableau의 조인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로 만듬 (SQL의 조인(내부 조인, 외부 조인 등)과 비슷함)
  • 테이블 간 공통 필드를 기반으로 병합함
  • 조인은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므로, 결합 후의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 경우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중복되는 데이터 발생 가능

tableau의 관계

  • 논리적 결합으로,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인 관계만을 설정하여 필요할 때 데이터가 동적으로 결합됨
  •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집합에 따라 데이터가 동적으로 결합됨
  • 관계는 결합하는 테이블의 데이터 양이 많아도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불러오기 때문에 성능에 영향을 덜 미침
  • 서로 다른 granularity(세부 수준)에서 데이터를 결합할 때 관계를 사용하면 세부 수준이 일치하지 않아도 동적으로 결합이 가능해짐

관계 사용 예시

관계로 묶은 테이블들을 대시보드에 올리고, 필터를 사용하면 그 유용함을 바로 알 수 있음
즉, A 테이블+B 테이블+C 테이블을 관계로 묶은 후,
A 테이블에 필터를 적용하고,
A 테이블, B 테이블, C 테이블을 모두 대시보드에 올리면
A 테이블의 필터만으로도 모든 테이블의 값을 필터링해서 볼 수 있음

그 전에, 대시보드에서 간단한 설정이 하나 필요함
대시보드로 가서, 필터 영역 클릭 > 오른쪽 화살표 클릭 > 워크시트에 적용 클릭 > 관련 데이터 원본을 사용하는 모든 항목 클릭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