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BI 킬 때마다 하면 좋은 습관 :
데이터 변환 창에 가서, 모든 컬럼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 중복 행 제거


1. Sku count = DISTINCTCOUNT(Historical_Inventory[SKU_number])
2. Inven Unit = sum(Historical_Inventory[ItemCount])
3. Unit per Sku = DIVIDE( [2. Inven Unit]
, [1. Sku count])
그냥 Sum을 하면, ItemCount와 PriceReg의 합계를 따로 구하기 때문에,
(ItemCount * PriceReg)의 합을 구하기 위해 SUMX 활용
4. Inven Cost = SUMX(Historical_Inventory, Historical_Inventory[ItemCount] * Historical_Inventory[PriceReg])
5. Inven Cost per Unit = DIVIDE([4. Inven Cost],[2. Inven Unit])
재고량 / 1개월당 판매량
여기선 SoldCount = 6개월당 판매량이므로, 6으로 나누어 1개월당 판매량을 구함
6. Month of Coverage = DIVIDE([2. Inven Unit],
DIVIDE(SUM(Historical_Inventory[SoldCount]), 6))
이건 영역

이건 누적 영역

누적 영역은 말 그대로 각 상품 타입의 영역이 다른 상품의 영역 위에 누적되어, y축은 누적된 전체 상품 개수를 나타냄. 즉,
각 지점의 y축 값 = 해당 연도까지 모든 상품 타입의 합계
따라서, 누적 영역은
누적이 아닌 일반 영역은
선택한 데이터(Cost or 재고량 or Month of Coverage 등)에 대해 영역 그래프 그려주는 인터랙티브 대시보드 만들어보기
STEP 1 : 선택지로 쓸 테이블(D_indicator) 생성하기

STEP 2 : D_indicator 테이블에서 새로운 측정값 생성하고, D_indicator의 indicator와 실제 테이블명 간을 대응시킬 DAX 구문 써주기
Switch_Indicator = switch(SELECTEDVALUE(D_indicator[Indicator])
, "SKU Count", [1. Sku count]
, "Inven Unit", [2. Inven Unit]
, "Unit per SKU", [3. Unit per Sku]
, "Inven Cost" , [4. Inven Cost]
, "Inven Cost per Unit", [5. Inven Cost per Unit]
, "Month of Coverage", [6. Month of Coverage])
STEP 3 : 슬라이서 추가하고, 값으로 D_indicator의 indicator 넣어주기
STEP 4 : 영역 그래프의 Y축에 STEP2에서 DAX로 만든 Switch_Indicator 넣어주기
먼저, 새 테이블 불러오기
데이터 변환 > 새 원본 > csv나 sql로 불러오기

열 추가 > 사용자 지정 열 로 두 테이블에 join key로 쓸 열을 만들어주기 (데이터 내용이 당연하겠지만 동일해야 함)

홈 > 닫기 및 적용으로 나가기,
모델 보기를 눌러보면, 조인이 자동으로 됐을 수도 있고 안 됐을 수도 있음

조인이 안 되었다면, 키로 쓸 컬럼을 드래그해서 조인할 테이블의 키 컬럼에 놓기

위에서 join한 테이블로 아래처럼 슬라이서를 넣어주었는데, 가장 앞에 와야할 S등급이 뒤에 있음.

이와 같이 슬라이서 내 정렬을 수정하는 방법 :
데이터 변환 > 열 추가 > 조건열 추가 에서 grade별로 인덱스 매겨주기

생성한 열의 타입은 정수로 바꿔주기, 닫기 및 적용
좌측 탭의 테이블 보기 > 슬라이서로 썼던 열 클릭 (여기선 sku grade) > 열 도구 > 열 기준 정렬 클릭 > index로 생성한 열 클릭 (여기선 grade index)

이렇게 하면, 슬라이서에서 index 기준으로 정렬되어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