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자료구조의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료구조를 우리가 배워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알고리즘 테스트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문제해결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문제에는 제한시간이 존재한다.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자료구조를
조건새로운 페이지로 접속할 경우 prev 스택에 원래 있던 페이지를 넣고 next 스택을 비웁니다.뒤로 가기 버튼을 누를 경우 원래 있던 페이지를 next 스택에 넣고 prev 스택의 top에 있는 페이지로 이동한 뒤 prev 스택의 값을 pop 합니다.앞으로 가기 버
그래프의 각 꼭지점, 즉 vertex라고 하는 이 정점을 탐색하는 데엔 여러 방법이 있다.그래프를 탐색한다는 것은 모든 정점들을 한번 씩 방문하여 데이터를 탐색한다는 말이다.그런데 그래프의 데이터는 배열처럼 정렬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원하는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모든 정
트리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것을 트리순회라고 한다. 트리구조는 계층적 구조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모든 노드를 순회하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전휘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 트리구조에서는 노드를 순차적으로 조회할 때 항상 왼쪽에서 오른쪽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트리순회는 왼쪽에서 -> 오른쪽으로!! 전위순회 전위순회는 위에서 아래로 탐색을 ...
의사코드란 코드를 작성하기 전 우리의 언어로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논리를 먼저 작성하는 것이다.의사코드를 작성하기 전, 문제를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이해한 뒤 컴퓨팅 사고로 전환하여 의사코드를 작성한다.시간단축디버깅에 용이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르는 사람과도 소통이 가능컴퓨터
완전 탐색 알고리즘이란, 이름과 같이 정말로 완\~\~~전 무식하게 모든 요소를 다 탐색해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뜻이다.원래는 브루트 포스는 암호학에서 사용되었던 용어라고 한다. 모든 경우의 수를 다 탐색해서 기어코 해킹을 하겠다는 인간의 도전의식이 담긴 알고리즘이라고
구글은 관련성이 높은 검색 결과를 정리해두고 원하는 정보를 찾도록 제시해준다.우리가 구글에서 정보를 찾을 때 구글내부에선 어떤 동작이 일어날까? 어떤 필터링을 거쳐, 데이터를 어떻게 정렬하고, 우리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보여줄까? 데이터 정리하기: 정렬 알고리즘데이터
문제 설명가위는 2 바위는 0 보는 5로 표현합니다. 가위 바위 보를 내는 순서대로 나타낸 문자열 rs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rsp에 저장된 가위 바위 보를 모두 이기는 경우를 순서대로 나타낸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제한 사
가위 바위 보문제 설명가위는 2 바위는 0 보는 5로 표현합니다. 가위 바위 보를 내는 순서대로 나타낸 문자열 rs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rsp에 저장된 가위 바위 보를 모두 이기는 경우를 순서대로 나타낸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
문제 설명첫 번째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numer1, denom1, 두 번째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numer2, deno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두 분수를 더한 값을 기약 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자와 분모를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
문제 설명외과의사 머쓱이는 응급실에 온 환자의 응급도를 기준으로 진료 순서를 정하려고 합니다. 정수 배열 emergenc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응급도가 높은 순서대로 진료 순서를 정한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제한사항중복된 원소는
머쓱이는 구슬을 친구들에게 나누어주려고 합니다. 각 구슬은 모두 다르게 생겼습니다. 머쓱이가 가지고 있는 구슬의 개수 balls와 친구들에게 나누어 줄 구슬 개수 shar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balls개의 구슬 중 share개의 구슬을 고르는 가능한 모든 경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