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는 자외선(UV) 영역에서 빛을 방출하는 특수한 레이저로, "엑시머"라는 불안정한 이합체(excited dimer)를 사용하여 빛을 발생.
주로 아르곤-플루오린(ArF), 크립톤-플루오린(KrF) 등의 가스를 사용하며, 짧은 파장의 고에너지 자외선 광을 생성합.
짧은 파장(193nm 또는 248nm)으로 매우 정밀한 에너지를 전달.
엑시머 레이저 실리콘 결정화(Excimer Laser Annealing, ELA) 과정:
-
비정질 실리콘 박막 준비: 비정질 실리콘(원자 구조가 불규칙적이어서 전기적 특성이 낮고, 고성능 전자 소자를 만들기 어려움) 박막을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증착.
-
엑시머 레이저 조사: 엑시머 레이저의 짧은 펄스는 매우 국소적이고 빠르게 에너지를 전달하여 실리콘을 순간적으로 녹임.
-
재결정화: 레이저에 의해 실리콘이 녹은 후, 냉각이 이루어지면서 실리콘은 결정 구조를 형성(비정질 실리콘 -> 다결정 실리콘 또는 단결정 실리콘).
-
결과물: 다결정 실리콘은 전자 이동도가 높아져 전기적 성능이 크게 개선. 이를 통해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성능이 향상되며, 특히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백플레인(backplane) 제작 가능.
-
주요 응용 분야: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OLED 디스플레이:다결정 실리콘 TFT(박막 트랜지스터).
태양광 패널
실리콘 결정 유형
- 비정질 실리콘 (Amorphous Silicon, a-Si)
- 구조: 비정질 실리콘은 원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결정을 이루지 못한 상태. 장기적인 원자 배열이 없고, 구조가 불규칙.
- 특성: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낮아서 전기적 특성 안좋음.
제조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여 주로 저가형 디스플레이와 태양전지에 사용.
빛을 잘 흡수하는 특성 때문에 태양광 패널이나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사용되지만, 전기적 성능이 떨어져 고성능 반도체 소자에는 적합하지 x.
- 응용: 저가형 디스플레이, 태양광 패널 등
- 다결정 실리콘 (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 구조: 다결정 실리콘은 여러 개의 결정립(grain)이 모여 있는 구조. 각 결정립은 단결정처럼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지만, 결정립 간 경계가 존재하여 완전히 일관된 결정 구조를 갖고 있지 x.
- 특성:전자 이동도가 비정질 실리콘보다는 높지만, 단결정 실리콘보다는 낮다.
제조가 비교적 쉬워 대규모 생산에 적합하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나 태양광 패널에서 널리 사용.
결정립 경계가 존재해 전기적 성능이 단결정보다는 떨어지지만,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OLED의 트랜지스터 제작에 적합.
- 응용: 고성능 디스플레이(TFT-LCD, OLED), 태양광 패널
- 단결정 실리콘 (Monocrystalline Silicon, mono-Si)
- 구조: 단결정 실리콘은 원자들이 매우 규칙적이고 일관되게 배열된 구조로, 전체가 하나의 큰 결정체입니다. 이 구조는 전기적 특성이 매우 우수.
- 특성:전자 이동도가 매우 높아 고성능 반도체 소자나 태양광 패널에 사용.
제조 비용이 높고 공정이 까다로우나,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소자에 필수.
결정 구조가 매우 안정적이고, 전기적 특성도 가장 뛰어나므로 CPU, 메모리 칩 같은 고성능 전자 소자의 기판으로 사용.
- 응용: 고성능 반도체(프로세서, 메모리), 고효율 태양광 패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