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구조

Anna·2024년 6월 18일
0

[TIL]Android

목록 보기
19/34
post-thumbnail

1. Gradle

빌드를 하기 위한 설정 파일이다.

  • 프로젝트 수준의 build.gradle(Project:AndroidLab)
  • 모듈 수준의 build.gradle(Module:AndroidLab.app)

2. 매니페스트 파일


리소스 풀더

애플리케이션 리소스를 코틀린 코드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변화를 코드의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음.

drawable 이미지 리소스

layout UI구성에 필요한 XMLFLTHTM

mipmap 앱 아이콘 이미지

values 컬러, 문자열 들의 값으로 이용되는 리소스

👀 주의

res 하위의 폴더 명은 지정 된 폴더 명을 사용해야 함 (예 : values 이외 불가)

각 리소스 폴더에 다시 하위 폴더를 지정할 수 없음

리소스 파일 명에는 알파벳 대문자를 이용할 수 없음

(File-based resource names must contain only lowercase a~z, 0~9, or underscore(_))

👀 aapt도구

  • 애플리케이션 리소스를 컴파일하여 컴파일 된 리소스 (R클래스와 패키지 된 리소스 파일)을 생성
  • R.java
    • aapt도구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 된 파일
    • R클래스는 리소스를 kotlin 프로그램에서 접근하기 위한 리소스 ID를 정의

코틀린 소스 파일

소스 코드 파일

MainAcitivity.kt

package com.android.helloworld

  •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가장 먼저 선언하는 부분
  • 패키지명은 중복 되서 설치 안됨
  • 유니크한 이름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Activity의 서브 클래스로 하위 플랙폼 버전을 지원

override fun onCreate (savedInstanceState : Bundle?)

  •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호출하는 메소드로서 액티비티가 생성되는 순간에 딱 한 번 호출됨
  • 주로 액티비티와 관련된 변수 초기화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코드를 포함함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R.layout.activity_main이 가리키는 리소스를 이 액티비티의 콘텐츠뷰로 사용하겠다는 의미
  • R.layout.activity_main은 res/layout 폴더에 있는 activity_main.xml을 가리키는 정적 상수
    • R클래스에서 정의 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