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솔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으로 git에 brach를 만들며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처럼 git을 다루어봤는데, 생각보다 헷갈리고 실수 해서 코드가 날아가버리는 상황도 나오기도 했다. 정리를 좀 해두어 다음 프로젝트 진행시에 조금 더 체계적으로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대충 정리하면 이런 구조를 가진다. 배포용은 말 그대로 파일이 업로드 되자마자 실제 웹에 반영이 되는 파일이다. 핫픽스는 배포용 파일에 오류가 생겨서 빠르게 수정이 필요할 때 만드는 파일이다. dev는 배포하기 전에 개발자들이 만들어둔 파일을 모아두는 공간이다. feature은 개발자들이 코드 작업을 하는 공간이다.
git은 로컬 스토리지와 github로 나눌수 있는 데 이것을 따로 정리하자고 하니 더 복잡해질 것 같아서 시간 순서대로 해야할 것을 정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우선은 내가 시작하고 싶은 branch에서 파일을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git clone <url>
그 다음 해당 branch에 새로운 branch를 로컬 환경에서 만들어주어야 한다.
git switch -c <branch 이름>
이러면 새로운 branch가 만들어지면서 해당 branch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로컬 환경에서만 만들어진것임으로 주의하여야 한다.
코드를 다 작성 한 후 github에다가 내가 만든 branch를 pull request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git add .
git commit -m "코드 설명 작성"
git push origin <branch 이름>
코드를 터미널에 한 줄씩 입력하면 github에 해당 branch 가 생성이 되고, pull request페이지로 가서 pull request를 진행하면 된다.
pull request가 완료 되면 github 에서 해당 branch를 삭제 해주는 것이 좋다.
그다음 로컬 리포지토리도 해당 상태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우선 새로 만들어낸 branch가 아닌 원래 branch로 이동을 하고
git switch <원래 branch 이름(주로 main이나 dev)>
머지를 이용해 원래 branch와 새 branch를 병합시겨준 뒤에
git merge <branch 이름>
새로운 branch를 제거해주면 된다.
git branch -d <브랜치 이름>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 이런식으로 하면 되겠다는 것은 이제 알았는데, 여러 사람이 작업을 할 때 이 git branch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나중에 팀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좀 부딪혀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가치 있는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