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System - 1. File

Ui Jin·2022년 5월 25일
3

Data Base

목록 보기
9/11

이전까지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즉, Postgre SQL과 같은 DB를 사용하는 방법과,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좋은 방법인지와 같은 Logical한 방법론들을 배웠었다.

여기서 부터는 이 데이터 베이스를 실제로 Phisycal하게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Storage Hierarchy

Data Base에 저장되는 Data들은 사용될 때에는 Main Memory에 올라오지만 평소에는 External Memory에 저장되어 보관된다.

위의 그림을 보면 External Memory는 구조적으로 CPU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CPU에서 External Memory로 Access하는데에 시간이 매우 많이 사용된다.

즉, 우리가 Data Base를 Physical하게 설계할 때, 이 Access의 횟수를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가 된다.

#I/O Complexity

이 External Memory에 접근하는 횟수를 측정하는 방법론 중 하나가 I/O Complexity이다.

알고리즘 시간에서는 우리가 짠 코드의 시간 복잡도를 측정하기 위해 Time Coplexity를 사용했다.

Time Complexity는 CPU와 RAM사이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횟수와 CPU의 Basic Operation 횟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했던 것이었다면,
I/O Complexity는 RAM과 External Memory사이에서 데이터 Block을 주고받는 횟수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Block, Page
CPU와 RAM은 Byte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했다.
하지만 RAM과 External Memory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정해진 Block(Page)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File Organization

우선 데이터 베이스는 External Memory에 저장되어 사용된다.
즉, 결국엔 실제 Data들은 Physical하게 Memory에 File의 형태로 저장되어 OS가 관리하게 된다.

1. File Structure

File은 OS가 External Memory의 Data를 관리하기 위해 만든 구조이다.
File은 위와 같은 구조로 저장된다.

1) Record: Sequence Of Field

Field를 우리가 저장할 Data라고 한다면 Record는 Field로 구성된 Data Set이다.

즉, 우리가 전에 보았던 Relational DataBase모델에서 Tuple과 Record는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2) File: Sequence Of Record

File은 위의 Record를 기본단위로 하는 Record들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우리가 이전에 보았던 Relational DataBase모델에서 Table과 File은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3) Block

우리는 file을 사용할 때 결국 RAM에 올려서 사용해야 한다. 즉, External Memory에 존재하는 Data를 Read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일정한 크기의 Record의 단위대로 Read하게 되는데 이 단위를 Block이라고 한다.

즉, Block은 Sequence Of Record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File은 Sequence Of Block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주 사용하는 I/O Complexity 약어

  1. N: Input File의 Record 개수
  1. M: Main Memory에 얼마나 탑재될 수 있는 Record의 개수
    (Main Memory의 Capacity)
  1. B: 하나의 Block에 탑재 될 수 있는 Record의 개수
    (Block Size)

주요 I/O Complexity


2. File Organization

이제 Record들이 어떻게 Organize되어야 File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지 I/O Complexity 관점에서 생각해보자

1) Fixed Length Records

(주의점)

  1. I/O Complexity는 불러와야 하는 Block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기억하자.
    (ex. 방법3의 Deletion은 Header가 위치한 Block과 삭제할 Record가 위치한 Block만 불러오면 된다.)

  1. 1~2번 방법의 Free Space는 마지막 Record의 뒤가 되고,
    3번 방법의 Free Space는 Free List에 속한 Record가 된다.

  1. 방법 3에서 만약 Header가 아닌 Free List의 마지막에 삭제할 Block의 Record 번호를 넣게되면 최악의 경우 O(N)의 I/O Complexity를 갖게 된다.

2) Variable Length Record

위의 Fixed Length Record일 경우와는 다르게 Variable Length Record일 경우 Record의 위치를 바로 결정할 수 없다.

즉, Fixed Length Record의 방법과 같이 Organization시킬 경우 Access할 때, 원하는 Record를 찾을 때 까지 모든 Block을 불러와야 하므로 최악의 경우 O(N/B)의 I/O Complexity를 갖게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의 그림과 같이 Record를 Organization시켜 보자.

(주의점)

1.(Block) Block에서 Entry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Record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채워진다.
(Free Space는 항상 연속되도록 유지한다.)


2.(Block) Block에서 Entry를 삭제할 때, 만약 삭제된 Record부분을 비워둔다면 Internal Fragment가 발생할 수 있다.
(공간이 존재하지만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


3.(Block) Block에서 Entry를 삭제할 때, Record를 하나씩 당겨와 채워넣더라도 새로운 Block을 가져올 필요가 없으므로 I/O Complexity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4.(File) 시간이 지나면 Entry간의 연결이 꼬여 Block간의 연결이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한번씩 Sequential Order를 Reorganize할 필요가 있다.

3) B+Tree File Organization

위에서 보았듯이 File을 Organization 하는 방법은 Heap, Sequential, Hash등 다양한 방법이 있었다.

이 때, B+ Tree를 활용할 경우 Record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된다.

B+ Tree의 작동 원리는 다음장을 참고하면 된다.
(해당 B+ Tree와 유일하게 다른 점은 Leaf Node에 pointer가 아닌 Record 자체가 들어간다는 점이다.)



File Access

우리는 위에서 Organized한 Fil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ain Memory에 올려야 한다.

이 때, 우리가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Main Memory에 올릴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I/O Complexity를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Data Block을 Memory에 올렸다 내렸다 하는 방법을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1. 용어

1) Buffer

Main Memory의 일부로, Disk에 존재하는 Data Block들을 복사하여 Memory에 올려 놓는 부분을 의미한다.

2. Buffer Manager

Buffer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2. Buffer 관리 전략

Disk의 메모리를 Buffer에 올리려고 할 때, Memory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통해 Buffer를 관리하게 된다.

(Victim이란? 원래 Buffer에 있던 Data Block중 지울 Data Block을 의미한다.)

이때, 이 Victim을 정하는 방법에 따라 I/O Complexity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더 나은 Victim을 정하기 위해,
상황(Query의 종류)에 따라 Victim의 선택 방법을 달리 사용하게 된다.

1) LRU (Least Recently Used)

1. 방법

최근에 사용되지 않았던 Block을 먼저 Victim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2. 상황

Temporal(Spatial) Locality아이디어에 의해 주로 OS에서 이 방법을 사용한다.

2) MRU (Most Recently Used)

1. 방법

가장 최근에 사용되었던 Block을 먼저 Victim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2. 상황

주로 Join연산을 할 때 사용하게 된다.


(예시)

Memory의 buffer용량이 Block 3개일 때, Relation rs를 Join한다고 한다고 생각해보자.

먼저 r의 Block 1개와 s의 Block 2개를 올린다.

이때, s에 join할 Block들이 더 남아 있다면 r의 Block은 유지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r은 가장 먼저 Buffer에 들어왔지만 Buffer에 유지시키고 가장 나중에 들어온 s의 Block을 바꾸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3)기타

1. 방법

위의 방법 외에도 기타 여러 정보들을 복합적으로 생각해 Victim을 정할 수 있다.

2. 예시

file Header는 자주 사용되지 않더라도 Main Memory에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profile
github로 이전 중... (https://uijinee.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