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인 말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즉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Request, Response 구조를 가지며 클라이언트가 Request(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이에 해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호작용하는데 사용되는 웹 아키텍쳐 모델이며 자원(resorce)을 주고 받는 웹 상에서의 통신 체계에 있어서 범용적인 스타일을 규정한 아키텍쳐이다.Application P
Cookie 가. Cookie란? >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으로 브라우저는 이 데이터 조각을 저장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재요청 시 쿠키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나. Cookie의 목적
어떤 프로토콜, 도메인, 포트로 보낼지 파싱한다.https://www.naver.com:443https는 프로토콜www.naver.com은 URL(도메인)443은 포트번호를 의미한다.물론 포트번호는 평상시에 입력안해도 자동으로 들어감HSTS(HTTP Stric
브라우저란?? 브라우저란 흔히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Chrome, Safari, Firefox 등을 말하며 MDN에서는 웹에서 페이지를 찾아서 보여주고 사용자가 하이퍼링크를 통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하고 있음. 렌더링이
스택이란 쌓다라는 의미로,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자료구조를 말함. 데이터가 순서대로 쌓이고 가장 마지막에 쌓인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로 LIFO(Last In First Out)이다.스택에서 삽입 연산은 push(), 삭제 연산은 pop()이라고 한다.
SQL과 NOSQL을 간단히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는 동기식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을 수행한다.동기동기란?한 작업이 실행되는 동안 다른 작업은 멈춘 상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는 것으로 자바스크립트는 동기식 언어이다. 예를들어 식당에서 한명 한명 계산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과
Webpack이란??웹팩이란 번들러이다.번들러는 필요한 의존성을 추적하여 해당하는 의존성들을 그룹핑 해주는 도구번들링을 알기위해서는 모듈(Module)을 알아야 함.모듈(Module)이란 유지보수 및 가독성의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의 기능별로 각각의 파일들을 구성하는 것
CORS란 Cross-Origin-Resource-Share의 약자로 다른 출처 간의 리소스 공유를 위한 정책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CORS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