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Sim

ad_official·2025년 2월 21일
0

[AD] dataset

목록 보기
8/12

NAVSIM vs LimSIM 시뮬레이터 비교 분석

분류NAVSIMLimSIM
기본 아키텍처비반응형 시뮬레이션 (Pre-recorded Log 기반)반응형 멀티에이전트 시스템 (실시간 상호작용)
시뮬레이션 유형Open-Loop (주변 객체가 자율차의 행동에 반응하지 않음)Closed-Loop Reactive (에이전트 간 실시간 상호작용 구현)
병렬 처리 능력대규모 배치 처리 (단일 노드에서 500+ 시나리오 동시 실행)Kubernetes 클러스터 지원 (1,000+ 차량 병렬 처리)
주행 정책 평가PDM Score 기반 메트릭 (충돌/주행 영역/진행 방향 준수 등 5개 항목)실시간 안전성 검증 (CBF 기반 제어 + LLM 상황 판단)
데이터 처리오프라인 데이터셋 재생 (nuScenes 기반)실시간 센서 융합 (Camera+LiDAR+Radar 동기화)
하드웨어 연동소프트웨어 기반 검증 전용HIL(Hardware-in-the-Loop) 지원 (NVIDIA DRIVE AGX Orin 연동)
최적화 기술정적 자원 할당 (고정된 컴퓨팅 리소스)AoI(Area of Interest) 기반 동적 리소스 관리 (주변 50m 고해상도 처리)
시나리오 커스텀Python API를 통한 제한적 시나리오 생성Drag-and-Drop 시나리오 에디터 + V2X 시그널 인젝션 기능
학습 프레임워크Imitation Learning 전용 (인간 운전자 데이터 재현)Hybrid Learning (강화학습 + 인간 시연 데이터 + 물리 기반 모델)
안전성 검증사후 메트릭 계산 (시뮬레이션 종료 후 통계 분석)실시간 CBF(Control Barrier Function) 기반 안전 필터링
커뮤니티 지원CVPR 2024 대회 주최 (463개 팀 참여)GitHub 기반 오픈소스 생태계 (기업/학계 협력 프로젝트)
시각화 도구기본 Bird's Eye View 시각화3D 멀티뷰 렌더링 (LOD Level 5 단계 조절)
성능 벤치마크100차량 기준 72 FPS (비반응형 특성 활용)100차량 기준 58 FPS (반응형 처리로 인한 오버헤드 존재)
장점• 대규모 테스트에 효율적
• 재현성 높은 평가 체계
• 빠른 배치 처리
• 현실적 상호작용 구현
• 실시간 안전 검증
• 확장성 높은 아키텍처
단점• 환경 반응성 부족
• 하드웨어 연동 불가
• 제한적 커스터마이징
• 높은 컴퓨팅 리소스 요구
• 학습 곡선 가파름
• 설정 복잡성
적용 사례• 주행 정책 벤치마킹
• 대규모 알고리즘 검증
• V2X 협력 주행 개발
• 위기상황 대응 테스트
• HIL 통합 검증

주변 agent

  • LimSim 시뮬레이터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개발과 테스트를 위해 설계된 플랫폼으로, 주변 에이전트(차량, 보행자 등)의 모델링과 반응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주변 에이전트 모델링

시나리오 영역 내부의 차량 (주변 차량)

  • 시나리오 영역 내의 차량들은 정밀한 동적 상호작용을 위해 “PDP 프로세스”(Prediction, Decision-making, Planning)를 사용합니다.
    • 이 과정에서 그룹 기반 MCTS(몬테카를로 트리 탐색)와 같은 기법을 통해 각 차량이 다른 차량과 상호작용하며 의사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시나리오 영역 외부의 차량

  • 시나리오 영역 밖의 차량들은 전통적인 미시 교통 흐름 모델(예: car-following, lane-changing 모델 등)을 기반으로 제어되며, 주로 고정된 로그나 규칙에 따라 움직입니다.

1.1 인간과 유사한 행동 모델링

  • HumanSim:
    • LimSim은 HumanSim이라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인간과 유사한 주행 행동을 모델링
    • 이 프레임워크는 대형 언어 모델(LLM)을 사용하여 에이전트의 행동을 제어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인간과 유사한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 다양한 상황 고려:
    • HumanSim은 운전 스타일, 성격 특성, 갑작스러운 상황 등을 고려하여 에이전트의 행동을 결정
    • 이를 통해 실세계 시나리오를 더욱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1].

1.2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 다양한 에이전트 유형:
    • LimSim은 차량, 보행자 등 다양한 유형의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각 에이전트는 고유의 동적 모델, 관찰, 안전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4].
  • 계층적 학습 프레임워크:
    • 각 에이전트는 고수준의 결정/제어기, 참조 제어기, CBF 네트워크, CBF 기반 제어기로 구성된 학습 프레임워크를 통해 모델링됩니다.
    • 이 프레임워크는 안전성을 우선시하며, 인간의 고수준 결정을 학습

2. 반응형 vs 비 반응형

2.1 반응형 에이전트

  • CtRL-Sim:
    • LimSim은 CtRL-Sim이라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반응형 에이전트를 생성
    • 이 프레임워크는 반환 조건화된 오프라인 강화 학습을 사용하여 에이전트의 행동을 제어하며, 주변 환경의 변화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3][7].
  • 안전성과 반응성:
    • LimSim의 에이전트는 주변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여 충돌을 피하고, 차선을 유지하며, 속도 제한을 준수하는 등의 안전한 행동을 보입니다[4].

2.2 비 반응형 에이전트

  • 로그 재생:
    • 일부 시뮬레이션에서는 기존의 로그 데이터를 재생하여 에이전트의 행동을 재현
    • 이러한 에이전트는 주변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지 않으며, 미리 정해진 궤적을 따릅니다[3][7].

결론

  • LimSim 시뮬레이터는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모델링하고, 반응형 에이전트를 생성하여 자율주행 시스템의 테스트를 더욱 현실적으로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HumanSim과 CtRL-Sim 프레임워크를 통해 에이전트는 주변 환경의 변화에 반응하며, 안전성을 우선시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 그러나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비 반응형 에이전트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로그 데이터를 재생하여 에이전트의 행동을 재현할 때입니다.

여러 ego agent deploy?

  • LimSim은 시나리오 영역 내에서 ego 차량과 주변 차량을 구분하고,
    • 각 차량에 대해 개별적인 제어 알고리즘(PDP: Prediction-Decision-making-Planning)을 적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custom 주행 policy를 ego 차량에 적용하여 여러 대를 병렬로 시뮬레이션하고, 상호작용 및 누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
ad_official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