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간략 소개 : 함께 운동 경기를 할 인원을 모집하는 서비스순환구조가 되는건 좋지 않다고 하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다른 방안이 떠오르지 않았다.ERD 만 봤을 때 USER가 POST와 MATCH 두 엔티티 모두와 관계가 있는 것이 이상해보이는데 POST 를 등

구글 로그인 구현은 아래의 블로그를 굉장히 많이 참고했습니다!!! 너무너무너무너무 도움이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https://antdev.tistory.com/71도메인 계층 구조 나타내려고 드디어 tree도 설치하였다! 이번 소셜 로그인을 구현할 때 영

이번에는 구글 소셜 로그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름, 이메일, 프로필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때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구글 계정의 경우, 성별, 나이대, 성별/나이대 공개 여부 필드를 더 추가해야하므로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해서 로직을 두개로 나누었다. 현재까지 구현한 도메인 계층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번에 중점적으로 볼 것은 ...

모집글을 등록할 수 있는 api를 구현해본다.모집글에는 기본적인 title, content , category, (등록하는 사용자의) userEmail (➡️ 이건 토큰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 변경할 예정이다.) 이 필요하다.추가적으로 모집글 등록 시에 함께 생성해야
수정과 삭제는 예상대로 쉬웠다! 새로운 클래스 생성이 없으므로 패키지 계층 구조는 그대로니 스킵! 1. 모집글 삭제 ` 아 Jpa라는거.. 정말 달다 모집글 id를 전달 인자로 받아 JpaRepository 를 상속받는 PostRepository의 deleteByI

사실 상 메인 기능인 참가 신청 기능이다. 철저히 구분해서 구현하던 기능들이 이제는 이것저것 섞이기 시작하니까 이 메서드는 여기다가 두는게 나을까 저기다가 두는게 나을까.. 하는 고민이 생기기 시작하는 것 같다. 그리고 점점 비즈니스 로직 차원에서 다뤄야할 제약 조건들이 생기니 제법 재밌다 !! 🥹👍 경기 참가 신청 기능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원래 계획은 aws 프리티어도 얼마 안남았을텐데 그냥 프론트 쪽에서 스프링 application 런해서 사용하는걸루 하자.. 했는데역시나 쉬운 일이 아니었다. 어쩌면 걍 배포 한번 딱 해놓는게 오랫동안 힘들진 않을 것 같다...! 그래서 그냥 배포를 하게 됐다프론트엔드

경기 시작 30분 전부터 경기 리더 화면에서 QR 코드를 띄울 수 있다.참가 인원들은 이 QR 코드를 촬영하여 출석 체크를 한다.오픈 소스인 zxing 을 사용하였다. 코드가 간결해서 사용하기 쉬웠다!build.gradle 파일에 의존성을 추가해준다.if문부터 먼저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