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gnusdei·2025년 9월 3일
0

ICT

목록 보기
92/143

AMI 구조도

     │   고객/가정  │
│(Smart Meter│스마트 계량기)│
└─────┬───────┘
      │ HAN (Home Area Network, 가정용 통신망)
      ▼
┌─────────────┐
│  지역 단위  │
│   FAN/DCU   │
│   FAN (Field Area Network, 지역망) │
│   DCU (Data Concentrator Unit, 데이터 집중 장치) │
└─────┬───────┘
      │ WAN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
┌─────────────┐
│    MDMS     │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계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
└─────┬───────┘
      │
┌─────────────┐
│   Billing   │
│   /CIS      │
│   CIS (Customer Information System, 고객 정보 시스템) │
└─────────────┘

설명

  1. Smart Meter: 집이나 가정, 공장 등에서 사용량 측정
  2. HAN: 가정 내 계량기와 스마트 기기를 연결
  3. FAN/DCU: 지역 단위 계량기 데이터를 모아 상위망으로 전송
  4. WAN: FAN 데이터를 유틸리티 회사 데이터센터로 전달
  5. MDMS: 데이터 저장, 검증, 분석
  6. Billing/CIS: 고객 요금 계산, 청구, 고객 관리

⚡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란?

  • 전기, 가스, 수도 같은 에너지 사용량을 자동으로 계량·수집·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계량 인프라 시스템입니다.
  •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방문해서 검침(검침원)이 했지만, AMI에서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AMI 구성 요소

  1. 스마트 미터(Smart Meter)

    • 전기/가스/수도 사용량을 디지털 방식으로 계량
    • 양방향 통신 가능 (데이터 전송 + 원격 제어)
  2. 통신 네트워크

    • HAN (Home Area Network): 집 내부 기기 연결
    • FAN (Field Area Network): 지역 단위 스마트 미터 집합 → 데이터 수집 장치(DCU)
    • WAN (Wide Area Network): FAN → 유틸리티 회사 데이터센터
  3. MDMS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 수집된 검침 데이터를 저장·검증·분석하는 백엔드 시스템

🎯 AMI의 주요 기능

  • 원격 검침: 사용자가 집에 없어도 자동으로 검침
  • 실시간 요금제: 시간대별 차등 요금(예: 심야 요금 할인) 적용 가능
  • 에너지 절약: 소비자가 자신의 사용량을 확인하고 절감 가능
  • 유틸리티 운영 효율화: 미납·전력 손실·불법 사용 탐지
  • 양방향 통신: 필요 시 유틸리티 회사가 원격으로 차단/재연결 가능

✅ 정리

AMI = 스마트 미터 + 통신망 +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합한 “지능형 원격 검침 인프라”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