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S (Unmanned Aircraft System)

agnusdei·4일 전
0

ICT

목록 보기
78/96

✈️ UAS (Unmanned Aircraft System)

1. 정의 (Full Form)

  • UAS = Unmanned Aircraft System (무인 항공 시스템)
  • 단순히 **비행체(UAV: Unmanned Aerial Vehicle)**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비행체 + 지상 통제 장치 + 통신 링크 + 운영 인력까지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의미.

👉 즉, UAV가 "기체 자체"라면, UAS는 "기체 + 운용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


2.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및 표준화 정의

  • ICAO는 UAS를 공식 용어로 사용.
  • UAV, Drone은 비공식적·대중적 표현.
  • 특히 안전·운항 규제 차원에서 UAS라는 용어가 선호됨.

3. UAS 구성 요소

UAS는 크게 4대 요소로 구분됨.

  1. 무인 항공기 (UAV, 기체)

    •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드론, 고정익/회전익/혼합형 모두 포함.
  2. 지상 통제 장치 (GCS: Ground Control Station)

    • 조종사(원격 조종자)가 위치한 장비.
    • 비행 계획 수립, 실시간 제어, 임무 데이터 모니터링 수행.
  3. 데이터 링크 (Communication Link)

    • UAV ↔ GCS 간 양방향 통신.
    • 주파수: VHF/UHF, C-band, Ku-band, LTE/5G 등 다양.
    • 영상 전송, 텔레메트리, 제어 신호 포함.
  4. 운영 인력 (Crew)

    • 원격 조종자(RPA Pilot), 관제 인력, 데이터 분석자 등.
    • ICAO에서는 조종사가 기체 안에 있지 않아도 항공기 운항 규정이 적용됨.

4. UAV vs UAS vs RPAS 차이

용어Full Form의미특징
UAVUnmanned Aerial Vehicle무인 항공기(기체 자체)하드웨어 중심
UASUnmanned Aircraft SystemUAV + 제어 + 통신 + 운영 인력 포함한 전체 시스템ICAO 공식 용어
RPAS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원격 조종 항공 시스템조종사가 항상 존재하는 운항 개념 강조
Drone(별도 약어 아님)대중적 표현기술적 정의 없음

5. UAS의 특징

  • 통합 시스템적 관점: 단순한 기체가 아닌, 안전하고 규제 가능한 운항 체계.
  • 항공법 적용 대상: ICAO는 UAS를 항공기로 간주 → 민간항공 규제(등록, 운항 승인, 공역 관리) 적용.
  • 군사/민간 활용: 군사 정찰·공격, 민간 택배·측량·재난 구조 등 광범위.

6. 활용 분야

  1. 군사: 정찰, 감시, 전자전, 타격 (MQ-9 Reaper, Global Hawk 등).
  2. 상업: 드론 배송, 농업 방제, 측량·지도 작성.
  3. 공공안전: 산불 감시, 해양 수색 구조, 재난 대응.
  4. 스마트시티: 교통 관리, 건물 검사, 환경 모니터링.

✅ 정리

  • **UAS (Unmanned Aircraft System)**은 단순 기체(UAV)가 아니라, 운영 전체 체계를 포함한 공식적·국제적 용어.
  • ICAO, FAA 등 항공 규제 기관에서는 UAV 대신 UAS 또는 RPAS를 사용.
  • 드론(Drone)은 대중적·비공식 용어이며, 법적·기술적 문서에서는 잘 쓰이지 않음.
profile
DevSecOps ⚙️ + Pentest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