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Virtual LAN)

agnusdei·2025년 8월 5일
0

ICT

목록 보기
43/143

0. 문제

VLAN(Virtual LAN)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1. 서론

1.1 정의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은 물리적 위치와 관계없이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에서 여러 개의 독립된 네트워크처럼 작동하게 하는 기술이다.

1.2 배경 및 출현 목적

초기 이더넷 환경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하나로 구성되어, 네트워크 확장 시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증가와 보안 문제가 발생.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 네트워크 분할 개념인 VLAN이 등장함.

1.3 VLAN의 필요성

  • 트래픽 분리: 부서별 네트워크 분리
  • 보안성 향상: 접속 제어 및 데이터 격리
  •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 물리적 위치와 무관한 논리 그룹 구성

2. 본론

2.1 VLAN 구조 및 동작 원리

▶ VLAN 기본 구성도

[PC1]-+                    +--[PC3]
      |                    |
   [Switch]--- VLAN1 ------+  
      |                    |
      +--- VLAN2 --------[PC2]

▶ 핵심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VLAN IDVLAN 식별 번호 (04095, 일반적으로 14094 사용)
Access Port단일 VLAN에 연결되는 포트
Trunk Port여러 VLAN을 태그하여 전달하는 포트 (802.1Q 기반)
VLAN Tagging프레임에 VLAN ID를 추가 (IEEE 802.1Q)

2.2 VLAN의 종류 및 특징

유형설명사용 예시
Static VLAN관리자가 포트별 VLAN 수동 지정기업 내부 부서별 네트워크 분리
Dynamic VLANMAC 주소/정책 기반 자동 VLAN 할당BYOD 환경, NAC(Network Access Control)
Voice VLAN음성 트래픽 전용 VLANIP 전화(VoIP) 품질 보장
Private VLAN(PVLAN)VLAN 내에서 서브 분할보안 강화, 호스트 간 격리 필요 환경

2.3 장단점

항목장점단점
보안부서 간 트래픽 격리VLAN 설정 실수 시 보안 위험
효율성브로드캐스트 도메인 감소VLAN 간 통신 시 라우터 필요
확장성논리적 네트워크 재구성 용이구성 복잡도 증가

2.4 타 기술과의 비교

구분VLAN서브넷
분류 기준데이터링크 계층(L2)네트워크 계층(L3)
통신 방식프레임 기반패킷 기반
사용 목적트래픽 격리, 유연한 구성IP 주소 기반 경로 제어

2.5 실무 적용 방안

적용 분야적용 방안
기업 내부망부서별 VLAN 구성 + ACL(Access Control List)로 접근 제어
캠퍼스 네트워크트렁크 포트 + VTP(VLAN Trunking Protocol)로 중앙 관리
보안 네트워크PVLAN + DHCP Snooping + Dynamic ARP Inspection 적용
무선 네트워크SSID별 VLAN 분리로 사용자 그룹별 트래픽 격리

2.6 최신 트렌드

  • SDN 기반 VLAN 자동화: OpenFlow로 네트워크 분할 자동 구성
  • VXLAN(Virtual Extensible LAN): L2 오버레이 네트워크로 데이터센터 간 VLAN 확장
  • EVPN(ethernet VPN): MPLS 환경에서 VLAN 기반 멀티테넌시 구현
  • Zero Trust 연계: 사용자 인증 기반 VLAN 할당 (동적 NAC)

3. 결론

3.1 어린이 버전 요약

“VLAN은 학교 반처럼 네트워크 안에서 사람들을 그룹으로 나누는 거예요. 같은 반끼리는 말할 수 있지만, 다른 반은 선생님(라우터) 허락 없이는 말 못 해요.”

3.2 요약표

구분내용
정의논리적 네트워크 분할 기술 (L2 기반)
동작VLAN ID로 트래픽 구분, 포트별 Access/Trunk 지정
장점보안성, 트래픽 제어, 유연성
단점구성 복잡, VLAN 간 통신 제약
실무부서망 분리, VoIP 전용망, NAC 연계
트렌드SDN, VXLAN, EVPN, Zero Trust 연계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