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특정 객체(사람, 장비, 차량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태를 관리하는 서비스.
주요 특징:
정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 또는 정보 제공을 하는 서비스.
주요 특징:
구분 | RTLS | LBS |
---|---|---|
목적 | 특정 객체의 정확한 위치 추적 및 상태 관리, 안전·운영 효율화 |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편의성 향상 |
예시 | 병원 내 장비 위치 추적, 물류 창고의 팔레트 관리, 공장 내 작업자 안전관리 | 지도 앱, 음식 배달 서비스, 근처 상점 정보, 위치 기반 광고 |
핵심 차이: RTLS는 운영·관리 목적 중심, LBS는 서비스 제공 목적 중심.
항목 | RTLS | LBS |
---|---|---|
위치 측정 방식 | 주로 실내 정밀 추적 필요 → UWB(Ultra Wide Band), RFID, BLE Beacon, Wi-Fi RTT | 주로 광역 위치 확인 → GPS, Cell-ID, Wi-Fi, BLE |
정확도 | 매우 높음 (10cm~1m) | 상대적으로 낮음 (수 m~수십 m) |
위치 갱신 빈도 | 실시간 (초 단위) | 비실시간 가능 (분 단위도 가능) |
인프라 요구 | 전용 태그, 리더기, 센서 설치 필요 | 기존 인프라 활용 가능 (GPS, 셀타워) |
데이터 처리 | 위치 추적, 이동 경로 분석, 경보 알림 | 위치 기반 추천, 정보 제공, 광고 타겟팅 |
분야 | RTLS | LBS |
---|---|---|
병원 | 장비, 의료 기기 위치 추적, 환자 모니터링 | 병원 근처 약국 안내, 길 찾기 |
물류/제조 | 창고 내 재고 위치, 공정 중 작업자 안전 | 배송 위치 확인, 경로 안내 |
스마트 시티 | 공공 자산 관리, 차량 흐름 모니터링 | 위치 기반 교통 정보, 관광 안내 |
RTLS
LBS
핵심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