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생체인식(Biometric Recognition)

agnusdei·2025년 9월 17일
0

ICT

목록 보기
134/143

1. 생체인식(Biometric Recognition)의 개요

(1) 정의

  • **생체인식(Biometric Recognition)**은 사람의 고유한 신체적(Physiological) 또는 행동적(Behavioral)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을 식별(Identification)하거나 인증(Authentication)하는 기술이다.
  • 신체적 특징: 지문(Fingerprint), 얼굴(Face), 홍채(Iris), 망막(Retina), 정맥(Vein) 등
  • 행동적 특징: 음성(Voice), 서명(Signature), 걸음걸이(Gait), 키보드 타건 습관(Keystroke Dynamics) 등

(2) 특징

  • 고유성(Uniqueness): 동일한 특징을 가진 사람이 거의 없음
  • 불변성(Permanence): 시간이 지나도 크게 변하지 않음 (단, 노화·상해 등 영향 있음)
  • 편재성(Universality): 대부분 사람에게 존재
  • 수집 용이성(Collectability): 기술적으로 쉽게 측정 가능해야 함
  • 위변조 난이성(Resistance to Circumvention): 위조나 도용이 어려워야 함

(3) 활용 영역

  • 보안 인증(Security Authentication) → 스마트폰 잠금, 출입통제
  • 법의학(Forensics) → 범죄 수사, 신원 확인
  • 금융(Finance) → 비대면 계좌 개설, 결제 인증
  • 공공 서비스 → 여권/출입국 심사, 행정 서비스

2.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의 개요

  • 얼굴 인식은 비접촉식(Non-contact), 자연스러운(Natural) 인증 방법으로 사용자 편의성이 높음.

  • 일반적인 처리 단계:

    1. 얼굴 탐지(Face Detection)
    2. 전처리(Preprocessing: 정규화, 정렬, 잡음 제거)
    3.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
    4. 비교/분류(Matching & Classification)

3. 얼굴 인식 알고리즘의 종류

기술 발전 단계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음.

(1) 전통적 방법 (Handcrafted Feature 기반)

  1. Eigenfaces (주성분 분석 PCA 기반)

    • 얼굴 이미지를 고차원 벡터로 변환 후,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통해 주요 특징 벡터(Eigenvector)를 추출
    • 장점: 구현이 간단, 계산 속도 빠름
    • 단점: 조명 변화, 표정, 각도 변화에 취약
  2. Fisherfaces (선형 판별 분석 LDA 기반)

    • 선형 판별 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을 이용하여 클래스 간 분산을 최대화하고 클래스 내 분산을 최소화
    • Eigenfaces보다 분류 성능이 향상되지만 여전히 환경 변화에 취약
  3. Local Binary Pattern (LBP) 기반

    • 각 픽셀 주변의 밝기 패턴을 이진화하여 지역 패턴(텍스처) 특징 추출
    • 조명 변화에 상대적으로 강인
    • 단점: 고차원 데이터 발생, 잡음에 민감

(2) 3차원(3D) 얼굴 인식

  •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활용하여 2차원 조명, 각도 문제 극복
  • 특징: 눈·코·입 윤곽의 3D 형상 정보 활용
  • 장점: 포즈 변화, 조명 변화에 강인
  • 단점: 장비 비용(3D 카메라) 높음

(3)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반 방법

  1. Sparse Representation Classifier (SRC)

    • 얼굴 이미지를 희소 벡터(Sparse Vector)로 표현하여 분류
    • 잡음 및 가려짐(Occlusion)에 강함
  2.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반

    • 얼굴 특징 벡터를 커널 기반 분류기로 학습
    • 데이터셋 크기가 클 경우 한계 존재

(4)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 방법

최근 얼굴 인식의 주류 기술.

  1. DeepFace (Facebook, 2014)

    •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기반 최초 상용 수준 얼굴 인식 모델
    • 얼굴 정렬 + 9계층 신경망 구조
  2. FaceNet (Google, 2015)

    • 삼중항 손실 함수(Triplet Loss Function)를 사용하여 임베딩 공간(Embedding Space)에서 얼굴 간 거리를 최소/최대화
    • L2 거리 기반 얼굴 비교
  3. DeepID 계열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4~2016)

    • 다중 신경망 학습을 통해 특징 임베딩 생성
    • 얼굴 데이터셋(CASIA-WebFace 등)에서 높은 성능
  4. ArcFace (2018)

    • Additive Angular Margin Loss를 도입하여 각도 기반 얼굴 임베딩 강화
    • 대규모 공개 데이터셋에서 최고의 성능 기록

4. 비교 정리

구분알고리즘장점단점
전통적PCA/Eigenfaces계산 단순, 빠름조명·포즈 변화 취약
전통적LDA/Fisherfaces클래스 구분 강화데이터셋 한계 존재
전통적LBP조명 강인성고차원, 잡음 민감
3DDepth 기반포즈/조명 강인비용 높음
기계학습SRC, SVM잡음 강인성대규모 학습 시 한계
딥러닝DeepFace, FaceNet, ArcFace높은 정확도, 실시간 인증 가능대규모 데이터와 고성능 장비 필요

5. 결론

  • 생체인식은 디지털 신뢰성 보장을 위한 핵심 보안 기술이며, 그 중 얼굴 인식은 비접촉식·편의성 측면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음.
  • 전통적 알고리즘은 환경 변화에 취약하지만 계산이 단순하고 연구의 초석 역할을 했음.
  •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은 현재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잡았으며, ArcFace, FaceNet과 같은 임베딩 기반 방법이 상용 서비스(예: 모바일 인증, 출입통제, 결제)에 활용되고 있음.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