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서버 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

agnusdei·2025년 8월 3일
0

ICT

목록 보기
40/96

0. 문제
서버 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 기술의 개요와 사용 시 장단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서론: 정의 + 배경 + 출현 이유

정의:
서버 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란 하나의 물리적 서버(Hardware)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가상 서버(가상 머신, Virtual Machine)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또는 가상 머신 모니터(VMM: Virtual Machine Monitor)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배경:
전통적인 서버 운영 방식에서는 하나의 물리 서버에 하나의 운영체제(OS)를 설치하여 단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리소스 활용률이 낮고, 유지보수 비용이 높으며, 확장성 및 이중화에 제약이 존재했다.

출현 이유:
비효율적인 서버 자원 활용, 물리적 공간 및 전력 소모 증가, 신속한 서비스 배포 요구 등으로 인해 **리소스 통합(Resource Consolidation)**과 비용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로서 서버 가상화가 대두되었다.


2. 본론: 구성 요소 + 기술 원리 + 장단점 + 실무 적용 방안

① 구성 요소 및 기술 원리

구성 요소설명
하이퍼바이저(Hypervisor)가상 서버를 생성·관리하는 핵심 소프트웨어로, Bare-metal형(예: VMware ESXi, Microsoft Hyper-V)과 호스트형(예: Oracle VirtualBox, VMware Workstation)으로 구분됨
가상 머신(VM)독립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논리적 서버 단위
가상 리소스(Virtual Resource)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 물리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할당함

기술 원리: 하이퍼바이저가 물리 자원을 추상화하여 VM에 동적으로 할당하고, 각 VM은 독립적인 OS 환경을 통해 별도의 서버처럼 동작한다.


② 장점

항목설명
자원 효율성 향상물리 자원의 활용률이 증가하고, Idle 상태의 리소스를 다른 VM에 재할당 가능
유지보수 효율성VM 단위 백업·복구, 클론,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통해 운영 중단 없이 관리 가능
비용 절감서버 수 감소에 따른 전력, 냉각, 설치 공간 등의 운영비 절감
유연한 확장성서비스 수요 변화에 따라 VM 수를 동적으로 조절 가능
격리성 보장하나의 VM 장애가 다른 VM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Fail-safe 구조 가능)

③ 단점

항목설명
성능 오버헤드하이퍼바이저를 통한 중간 계층 처리로 인해 물리 서버 대비 성능 저하 발생 가능
복잡성 증가초기 아키텍처 설계 및 자원 할당 최적화에 대한 고급 기술 요구
보안 취약성하이퍼바이저 취약점 또는 VM 간 사이드채널 공격 가능성 존재
라이선스 비용상용 가상화 솔루션(예: VMware vSphere)의 경우 고비용 발생 가능
자원 경합 문제다수 VM이 동시에 자원을 사용할 경우 성능 저하 우려 있음

④ 실무 적용 방안

  • 데이터센터 통합: 기업의 레거시 서버를 가상화하여 서버 수를 줄이고 통합 관리
  • Dev/Test 환경 분리: 개발·테스트 환경을 빠르게 복제·삭제 가능하여 애자일(Agile) 개발에 유리
  • 재해복구(Disaster Recovery): VM 단위 백업 및 재배포 기능을 활용한 고가용성 구성
  • 클라우드 전환 기반: VMware, KVM 기반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의 전제 조건

3. 결론: 어린이버전 요약

서버 가상화는 하나의 컴퓨터 안에 여러 개의 가짜(가상) 컴퓨터를 만들어서, 더 똑똑하게 쓰는 기술이에요. 덕분에 공간도 아끼고 전기도 절약할 수 있어요. 하지만 너무 많이 쓰면 느려질 수 있고, 처음 설치할 때는 어려울 수도 있어요. 그래서 잘 설계해서 쓰는 게 중요해요.


profile
DevSecOps ⚙️ + Pentest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