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프로젝트 관리 국제표준 ISO 21500

agnusdei·2025년 7월 5일
0

Software Engineering

목록 보기
55/59

문제:

프로젝트 관리 국제표준 ISO 21500에는 관리 주제별로 단계별 수행 프로세스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다.
가. IS0 21500에서 범위 관리를 위해 기획 단계와 통제 단계에 수행하는 세부 활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나. 작업 분류 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정의, 주요 투입물, 작성 방법 등)
다.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통해 WBS가 범위 관리 외에 일정 관리, 의사소통 관리 등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사례를 제시하시오.


답안

I. ISO 21500 범위 관리 프로세스

가. ISO 21500의 범위 관리 세부 활동

1. 기획 단계의 범위 관리 세부 활동

활동설명주요 산출물
범위 정의(Define Scope)• 프로젝트와 제품/서비스의 세부 범위 정의
• 범위에 포함되는 것과 제외되는 것을 명확히 구분
•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범위 경계 설정
• 범위 명세서(Scope Statement)
• 범위 경계 정의서
WBS 작성(Create WBS)• 프로젝트 범위를 관리 가능한 작업 단위로 분할
• 전체 작업을 계층적 구조로 세분화
• 작업 패키지(Work Package) 수준까지 분해
• WBS
• WBS 사전(Dictionary)
• 범위 기준선(Scope Baseline)
활동 정의(Define Activities)• WBS의 작업 패키지를 구체적인 활동으로 분해
• 일정 수립을 위한 기초 활동 식별
• 활동 목록
• 활동 속성

2. 통제 단계의 범위 관리 세부 활동

활동설명주요 산출물
범위 통제(Control Scope)• 범위 변경 요청 관리
• 승인된 범위 기준선과 실제 수행 내용 비교
• 범위 변경의 영향 평가 및 승인 절차 수행
• 범위 잠식(Scope Creep) 방지
• 변경 요청서
• 범위 변경 분석서
• 업데이트된 범위 문서
작업 검증(Verify Deliverables)• 완료된 작업이 요구사항과 범위 명세서에 부합하는지 확인
• 공식적 인수 절차 수행
• 인수 확인서
• 검증 보고서

II. 작업 분류 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나. WBS 개요

1. 정의

  • 프로젝트 범위를 관리 가능한 작업 단위로 계층적으로 분할한 체계적 구조
  • 프로젝트 전체 작업을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구성요소 간 관계를 명확히 나타낸 도구
  • 최하위 수준의 작업 패키지(Work Package)는 일정 수립, 비용 산정,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가 됨

2. 주요 투입물

  • 프로젝트 헌장(Project Charter)
  • 범위 명세서(Scope Statement)
  • 요구사항 문서(Requirements Documentation)
  • 조직 프로세스 자산(Organizational Process Assets)
    • 과거 프로젝트의 WBS 템플릿
    • 교훈 데이터베이스(Lessons Learned)

3. WBS 작성 방법

  1. 하향식 접근법(Top-down)

    • 프로젝트 전체 목표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하위 작업으로 분해
    • 큰 그림에서 시작하여 세부사항으로 진행
  2. 상향식 접근법(Bottom-up)

    • 개별 작업을 식별한 후 관련 작업을 그룹화하여 상위 수준으로 통합
    • 세부사항에서 시작하여 큰 그림으로 진행
  3. 8/80 법칙

    • 작업 패키지는 최소 8시간(1일), 최대 80시간(10일) 내에 완료 가능해야 함
    • 너무 크거나 작은 작업 패키지를 피하기 위한 경험적 지침
  4. 100% 법칙

    • WBS는 프로젝트 범위의 100%를 포함해야 함
    • 상위 수준 요소는 모든 하위 요소의 합과 동일해야 함

4. WBS 구성 요소

  • 통제 계정(Control Account): 비용과 일정 통제를 위한 관리 지점
  • 작업 패키지(Work Package): WBS의 최하위 수준 작업 단위
  • 계획 패키지(Planning Package): 아직 상세히 계획되지 않은 작업
  • WBS 사전(WBS Dictionary): 각 WBS 요소에 대한 상세 정보 문서

5. WBS 표현 형식

  • 계층형(Hierarchical): 트리 구조로 표현
  • 들여쓰기형(Indented): 계층 수준을 들여쓰기로 표현
  • 조직도형(Organizational Chart): 조직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현

III. WBS의 다양한 활용 사례

다. WBS의 범위 관리 외 활용 사례

1. 일정 관리 활용 사례

  • 활동 순서 결정
    • WBS 구성요소 간 의존성 식별하여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작성
    • 예시: 대형 건설 프로젝트에서 WBS를 기반으로 기초공사→골조공사→마감공사 순서 결정
  • 주요 마일스톤 설정
    • WBS 주요 결과물 완료 시점을 마일스톤으로 설정
    • 예시: SW 개발 프로젝트에서 '요구사항 정의 완료', '설계 완료', '코딩 완료' 등 마일스톤 설정
  • 자원 할당 계획
    • 작업 패키지별 필요 자원 유형과 수량 결정
    • 예시: ERP 구축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교육' 작업 패키지에 강사 2명, 교육장 1개 할당

2. 의사소통 관리 활용 사례

  • 진척 보고 체계화
    • WBS 요소별 진행상황 보고로 이해관계자 의사소통 명확화
    • 예시: IT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서 WBS 기반 주간 보고 체계 수립으로 경영진에 진척률 명확히 전달
  • 책임 소재 명확화
    • WBS와 조직 분할 구조(OBS) 매트릭스로 책임 할당
    • 예시: 제품 개발 프로젝트에서 WBS 작업 패키지별 RACI(책임-승인-자문-통보) 매트릭스 작성
  • 이슈 추적 관리
    • WBS 요소별 이슈 관리로 의사소통 효율화
    • 예시: 글로벌 시스템 구축 시 WBS 코드 연계 이슈 추적으로 지역별 담당자 간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달성

3. 비용 관리 활용 사례

  • 상세 예산 수립
    • 작업 패키지별 비용 산정 후 상향식으로 총 예산 도출
    • 예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서 WBS 기반 예산으로 R&D, 생산, 마케팅 비용 통합 관리
  • 비용 성과 측정
    • WBS 요소별 계획 대비 실적 측정으로 성과 분석(EVM 적용)
    • 예시: 대규모 SI 프로젝트에서 WBS 기반 비용 성과지수(CPI)와 일정 성과지수(SPI) 산출

4. 품질 관리 활용 사례

  • 품질 검증 계획
    • 주요 WBS 결과물별 품질 기준 및 검증 방법 정의
    • 예시: 항공우주 부품 제작 프로젝트에서 WBS 작업 패키지별 품질 검사 항목 및 합격 기준 정의
  • 결함 추적 관리
    • WBS 요소별 품질 이슈 추적으로 품질 향상
    • 예시: SW 개발 프로젝트에서 WBS 모듈별 결함 데이터 수집 및 분석으로 취약 영역 파악

IV. 요약 및 결론

ISO 21500의 범위 관리는 기획 단계에서 범위 정의, WBS 작성, 활동 정의를 통해 프로젝트 범위를 명확히 하고, 통제 단계에서 범위 통제와 작업 검증을 통해 범위 변경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WBS는 프로젝트 범위를 관리 가능한 단위로 분할한 체계적 구조로, 프로젝트 관리의 핵심 도구입니다. 정의된 범위를 계층적으로 세분화하여 프로젝트 작업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투입물을 활용해 하향식, 상향식, 8/80 법칙, 100% 법칙 등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작성합니다.

WBS의 활용 사례는 범위 관리를 넘어 일정 관리, 의사소통 관리, 비용 관리, 품질 관리 등 프로젝트 관리 전 영역에 걸쳐 있습니다. 실제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WBS가 다양한 관리 영역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
DevSecOps ⚙️ + Pentest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