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보안 아카데미 1기] 27일차 정리 (Spanning Tree, PVST)

Jin_Hahha·2024년 7월 30일
0


Spanning-Tree Protocol

회선의 이중화 (Redundant)

  • L2 구간의 단일 경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회선을 이중화 하여 구성
  • 이중화는 더 많은 가동 시간을 허용
  • 하나의 회선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회선을 통해 통신 보장
  • LAN 구간은 End-Device가 연결되는 구간으로써 네트워크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간이기에 예측할 수 있는 직관적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

회선 이중화 문제점

  • Broadcast, Multicast 트래픽은 L2 스위치에 의해 Broadcast로 간주
  • 브로드와 멀티캐스트 프레임은 수신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Flooding
  • 이 과정에서 L2 스위치는 반복적으로 브로드/멀티캐스트 프레임을 전송
    • 무한한 flooding을 통해 PC의 CPU 리소스를 상당히 낭비함

이중화 문제점 해결법?

  • STP(Spanning Tree Protocol)
    • IEEE 802.1d에 정의
    • 스위치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blocking 실시
  •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 Configuration BPDU는 Root Bridge 선출에 사용
    • 스위치 및 스위치 포트 역할 결정에 사용
    • 스위치의 포트 동작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메시지
    • 2초 주기로 주고 받음 (Hello Time)
    • TCN(Topology Change Notification)
      • 스위치 기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변화가 감지될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BPDU의 한 종류

STP 필드

  • Root Bridge ID
    • 기본값, 32768 + VLAN.ID (default: 1)
    • 모든 스위치의 디폴트 VLAN의 ID는 1이므로 MAC 주소를 비교하여 낮은 순으로 Root가 될 우선순위를 먼저 가짐
  • Path Cost
    • Root Switch까지로 가는 누적 경로
  • Bridge ID
    • Root Switch로 가는 경로상 바로 직전 스위치의 스위치 ID
  • Port ID
    • 포트의 ID

주의사항

  • STP 기반으로 기본 값을 사용할 때, 최대 7개를 넘지 않아야 함
    • 기본 값은 MAX 7개가 있을 때 기준으로 만든 것
  • BPDU를 받고 계산하는 Delay는 1초를 넘지 않도록 함(Transit delay)
  • BPDU를 받고 다른 포트로 보내는데 1초가 넘지 않도록 함(BPDU delay)
  • BPDU가 케이블을 통해 상대방 스위치가 받는 시간은 1초를 넘기지 않도록 함(Msg Overestimate)

BPDU

  •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스위치로 구성된 LAN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STP 사용
  • STP를 적용하기 위해 BPDU 프레임을 주고 받은 후 Root Bridge 선출
  • 네트워크 루프 제거, 데이터 프레임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트리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Root Bridge 선출
  • Root Bridge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Bridge ID를 사용해야 함
  • 모든 스위치는 고유한 MAC 주소를 공장 출하 때부터 지니고 있음
  • Bridge ID = Bridge Priority (16비트) + MAC Address(48비트)로 구성
    • 16비트 우선순위는 다시 4비트
  • Root Bridge로 선택된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가 Foward 모드로 동작
  • 해당 역할을 하는 스위치를 Designated Switch라는 명칭을 받음

Root Bridge 선출 우선 순위

  1. 가장 낮은 Priority를 가진 스위치
  2. Bridge Priority가 모두 동일할 경우, MAC 주소가 낮은 스위치가 우선

STP가 동작하는 스위치 포트의 역할

  • 3가지 역할로 구분
    • 루트 포트(Root Port)
      • 루트 브리지와 가장 가까운 스위치의 포트 (정상 frame 수신 가능)
      • 각 스위치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음
    • 지정 포트(Designated Port)
      • 루트 포트가 아니면서 정상적으로 frame을 수신할 수 있는 포트
      • 스위치와 스위치를 이어주는 각 회선마다 하나씩 존재할 수 있음
    • 비지정 포트(Non Designated Port)
      • 정상적으로 frame을 수신할 수 없는 포트
      • Alternative Port라고도 함(RSTP 용어)
      • 루트 포트와 지정 포트가 모두 설정된 이후 남은 포트들로 구성됨
      • 자동으로 STP에 의해 논리적으로 닫힌 포트가 됨

속도 별 STP 경로 값

  • 기본적으로 값이 낮은 경로를 주 경로로 설정
  • 만약 Path Cost 값이 같을 경우, Bridge ID를 비교하여 값이 작은 스위치의 경로를 선택
  • 만약 Path Cost와 Bridge ID까지 모두 같은 경우, Port ID를 비교하여 더 낮은 포트 번호에 연결된 경로를 선택

PVST (Per-Vlan Spanning Tree)

개념

  • VLAN을 설정하고 각 VLAN마다 spanning tree 개념을 적용한 것
  • 이를 통해 각 VLAN마다 통신하는 경로를 따로 지정하여 분리할 수 있음

설정

  • 스위치에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VLAN마다 주요 통신 경로와 보조 통신 경로를 지정할 수 있음

참고 (설정 명령어와 동작 순서 표시)


RSTP

Spanning Tree Protocol 단점

  • STP 포트 전환, 포트의 역할과 상태를 전환하는 시간 동안에는 네트워크 통신이 불가능함

RSTP?

  • STP의 대표적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
  • 기존의 STP의 포트 전환 딜레이 시간을 짧게 줄인 기술

설정 명령어

전역 설정에서 >>>
spanning-tree rapid-port

참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