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보안 아카데미 1기] 휴가 기간 보강 (GLBP, VTP, Windows Server Firewall)

Jin_Hahha·2024년 7월 30일
0
post-thumbnail

GLBP (Gateway Load Balancing Protocol)

상세 개념 및 설명 블로그

https://blog.naver.com/hcw83/221392208763

설정 과정 블로그

https://peemangit.tistory.com/24

개념

  • HSRP, VRRP를 좀 더 발전시킨 프로토콜 (CISCO 전용)
  • GW 이중화 및 별도의 설정 없이 load balancing
  • 하나의 가상 GW와 GLBP 프로토콜 라우터마다 가상의 MAC 주소를 할당(부하 분산)
  • GLBP Group 당 최대 4개의 가상 MAC 주소 사용 가능

동작 과정

  • 하나의 GLBP group에서 하나의 router가 AVG(Active Virtual Gateway)로 선출
  • AVG를 제외한 나머지는 AVF(Active Virtual Forwarder)로 설정
  • AVF 중에서도 standby를 하나 선출, 그 외에는 listen 모드
  • AVG가 다운되면 standby 상태의 AVF는 AVG로 변경
  • listen 상태의 AVF 중 standby 라우터 선출
  • priority 값이 높은 라우터가 AVG가 됨(default 100)
  • priority 값이 같다면? Interface IP addr이 높은 라우터가 AVG가 됨

AVG

  • AVF에 가상 MAC 주소 할당하는 역할
  • PC, Server 등 host에서 보내는 GW 주소에 대한 ARP 요청에 대해 AVF에 할당한 가상 MAC 주소들을 알려주어 자동으로 load balancing 형성

강의자료 (설정 명령어)


  • host dependent는 기기에 가상의 MAC 주소를 고정하여 계속 같은 주소를 할당받도록 설정하는 명령어
  • 즉,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기기는 늘 같은 MAC 주소를 받음



  • 각 명령어들에 대한 설명


show glbp

  • 라우터 설정 확인 명령어

show glbp brief

  • 현재 할당된 MAC 주소와 glbp 프로토콜에 따른 가상 MAC 주소와 Forwader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VTP (VLAN Trunking Protocol)

VTP 개념 간단 정리 블로그

https://light-touch-fish.tistory.com/19

VTP 설정 블로그

https://slrspdla1.tistory.com/44

개념

  • 트렁크 포트로 연결된 스위치끼리 VLAN을 동기화하는 기술
  • 3가지의 모드 존재
    • Server
      • vlan 생성 및 삭제 기능을 지님
      • 스위치의 기본 설정
      • Domain이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
    • Client
      • 서버로부터 vlan 정보 수신, vlan 생성 삭제 불가능 (오직 정보 수신만 가능)
    • Transparent
      • 독립적인 vlan 생성 및 삭제 가능 / Server에서 오는 vlan의 정보를 전달만 할 뿐, 동기화하지 않음

유의사항

  • 반드시 두 스위치를 연결하는 포트의 모드는 트렁크 모드여야 함
  • 트렁크 모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만 VLAN 정보가 동기화 됨
  • 패스워드 설정 -> 도메인 설정 -> 모드 설정 순서로 설정해야 안전
  • 1개 이상의 서버 또는 Transparent 모드가 있어야 VTP 설정 가능
  • VTP-DOMAIN과 PASSWORD가 모두 일치해야 동기화 가능
  • Server로 사용하고 싶은 스위치가 있다면 REVISION NUMBER를 높게 설정해야 함
  • 만약 토폴로지에 2개의 Server로 설정된 스위치가 있다면, REVISION NUMBER가 더 큰 스위치가 Server의 역할을 함

설정



윈도우즈 방화벽

참고 자료


윈도우즈 서버

IIS를 통한 http, ftp 설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