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보안 아카데미 1기] 30일차 정리 (터널링, 모니터링, NAT)

Jin_Hahha·2024년 8월 5일
0
post-thumbnail

터널링

개념

  • 특정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하는 기술
  • 실제로는 여러 홉을 거쳐야 하는 경로를 마치 땅굴을 파서 한 번에 가는 것처럼 보이게 함
  • 캡슐화가 핵심 기술임

모니터링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모니터링 설정을 진행하면 모니터링에서 검사할 항목에 대한 값을 자동으로 갖고 모니터링을 시작함(단, DB와 같은 기타 추가 사항은 직접 설치해야 함)

  • 전산 자원의 중요성의 증대

    • 다양한 프로토콜, 물리적 기반의 논리적 토폴로지 존재
  • SNMP의 5가지 메시지

PRTG

  • 윈도우즈 기반 모니터링 프로그램
  • 연동된 기기의 Ping 신호 수신, 송신 빈도 수를 확인할 수 있음

Zabbix

  • 리눅스 기반 모니터링 프로그램
  • 연동된 기기의 전반적인 정보(동작 시간, 비트 송/수신율, Ping 송/수신 빈도, 기기의 물리적 부품 상태)확인 가능

Cacti

  • 리눅스 기반 모니터링 프로그램
  • PRTG와 유사하게 패킷 수신율을 확인할 수 있음
  • 각 항목 별로 그래프가 기본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그래프를 원하는 기간 또는 실시간으로 돌려볼 수 있음

3CDaemon

  • 윈도우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
  • SNMP를 통해 받은 기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기의 인터페이스 변경 로그를 실시간으로 기록
  • GUI를 기반으로 원하는 기기의 IP 주소를 입력하여 기기마다 따로 로그를 기록하거나 로그 기록을 중지하는 등의 행위를 별도의 명령어 없이 실행할 수 있음

MRTG

  •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기술로, 모니터링에 사용하기엔 너무 번거롭고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음

NAT

대략적인 흐름

  • NAT 기술을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외부 네트워크 기기에서 사설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기로 통신을 진행할 때, 외부 기기는 NAT를 담당하는 라우터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 기기 중의 하나와 mapping이 가능하게 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