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g-Table은 현재 Router에 저장된 패킷을 어느 경로로 보낼지 결정하는 일정의 경로 정리표
열람 방법
현재 Router의 Port에 등록된 IP 주소의 목록과, 연결 상태 등을 표시
앞서 언급한 Packet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것은 Routing Protocol에 의해 결정
LAN 구간은 Switch to Router
Router 이전까지의 단계를 지칭(같은 네트워크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음)
WAN 구간은 Router 이후의 구간
Router에서의 Output이 발생한 이후의 구간(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IP의 대역이 바뀌었으므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이라 볼 수 있음)
LAN 환경에서는 CSMA/CD 방식으로 통신이 진행
Wireless 환경에서는 CSMA/CA 방식으로 진행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DST IP는 PC0 의 사설 IP
위의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
결론, 무선 라우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사설 IP는 외부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인식할 수 없음
무선 라우터의 NAT 과정을 통해서만 실질적 통신이 가능
이는 무선 라우터의 Internet 구간과 연결된 포트의 공인 IP까지만 Server가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
그렇기에 무선 라우터에는 NAT 기술이 필수적
무선 기기 간 연결을 위해서는 라우터에 등록된 SSID를 기기에서 정확히 입력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