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Cloud Practitioner_module3_global infra

안규원·2024년 8월 5일
0

Infra

목록 보기
10/23

글로벌 인프라


리전이라 부르는 대규모 그룹에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재난발생에 대비

  • 비즈니스 트래픽 수요 지점과 가까운 곳에 리전 구축
  • 각 리전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스토리지 및 기타 서비스 구비된 데이터센터 설치
  • 각 리전은 다른 리전과 격리됨으로써 데이터 유입되지 않음
  • 정부 규정 준수 요구사항 등으로, 리전에 저장된 데이터는 리전을 벗어나지 않음

지역 법률/국가 법령 등을 고려해 리전 선택

  • 규정 준수
  • 근접성: 지연시간
  • 기능 가용성: 가까운 리전에서 원하는 AWS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음
  • 가격: 일부 지역은 운영비용이 더 비쌈

가용 영역

리전 내의 단일 데이터센터 또는 그룹

  • 지연 시간이 짧을 정도로 충분히 가까움
  • 한 부분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다른 가용 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떨어져 있음
  • 한 리전의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AWS Outposts

마법사 및 자동화된 워크플로에 액세스하여 AWS 서비스에서 작업을 수행

엣지 로케이션


고객이 리전과 멀리 떨어진 도시에 있다면?
위성 점포를 만들어 대응(고객 로컬 설치, 데이터 복사본 캐싱)
사용자가 어디 있든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캐싱하는데 사용하는 사이트

CDN(콘텐츠 전송 네크워크
더 빠른 콘텐츠 전송을 위해 콘텐츠 사본 캐싱

Amazon CloudFront
데이터,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API를 짧은 지연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고객이 어디에 있더라도, 리전의 데이터를 엣지 로케이션으로 push

AWS Outposts
AWS가 사용자의 데이터센터 내부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소형 리전 설치
서비스 사용가능하지만 건물 내부에 격리됨

AWS리소스 프로비저닝


AWS의 모든 것은 API와 관련됨
API를 호출해 AWS 리소스 구성/관리

  • EC2 인스턴스 생성
  • Lambda함수 생성

AWS Management Console

browser based
학습하기 좋음

  • 테스트 환경
  • 청구서 확인
  • 모니터링
  • 기술과 무관한 리소스 사용

AWS CLI

수동 프로비저닝은 오류 발생할 수 있음
API 호출시 프로그래밍하는 도구
바로 자동화하기 좋지는 않음

머신의 터미널을 사용해 API 호출
Console의 시각적 호출과 다름
프로비저닝 작업을 스크립트해 반복
인적 오류 줄임
예약/다른프로세스의 트리거로 자동화

  • EC2 인스턴스 시작 후 특정 Auto Scaling 그룹에 연결

AWS SDK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리소스와 상호작용

  • C++
  • Java
  • .NET 등

AWS Elastic Beanstalk

EC2 기반 환경 프로비저닝 지원

  • 네트워크, 인스턴스, 규모 조정 구축을 위해 콘솔클릭/ 명령작성 하지 않음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원하는 구성을 제공하면,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환경 구축
환경 구성을 저장해 다시 배포 가능
개별적으로 프로비저닝/관리하는 번거로움 줄임

인프라가 아닌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할 수 있음

AWS CloudFormation

리소스 정의 코드형 인프라 도구. 인프라를 코드로 취급
JSON, YAML 텍스트 기반 문서를 사용해 선언적인 방식으로 AWS리소스 정의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분석, 머신러닝 등 다양한 리소스 지원

리소스 정의되면 CloudFormation이 템플릿을 구문 분석해 병렬로 정의한 리소스의 프로비저닝 시작

백엔드 AWS로 가는 호출과 API를 사용자 대신 관리

여러 사용자/ 리전에서 실행 가능하며 동일한 환경이 생성됨. 자동화된 프로세스이므로 오류 감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