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카푸치노'.split() # 문자열 자르기
>>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카푸치노']
분리된 문자열은 리스트(List)로 반환된다 → 인덱스로 특정 항목의 문자열을 반환할 수 있다!
'U 2'.split()[0] > 'U'
split() 인자로 구분 문자 지정 가능
coffee_menu = '에스프레소,아메리카노,카페라떼,카푸치노'
coffee_menu.split(',') # (,)기준으로 문자열 자르기
>>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푸치노']
phone_num = '1234-5678'
phone_num.split('-') # (-)기준으로 문자열 자르기
>> ['1234', '5678']
strip()
lstrip()
rstrip()
'aaaaPythonaaa'.strip('a') # a 삭제하기
>> Python
'aaaaPythonbbb'.strip('ba') # a와 b 삭제하기. 순서 상관없음
>> Python
str_lr = "000Python is easy to learn.000"
print(str_lr.strip('0')) # 0 삭제하기
print(str_lr.lstrip('0')) # 왼쪽 0 삭제하기
print(str_lr.rstrip('0')) # 오른쪽 0 삭제하기
>> Python is easy to learn.
Python is easy to learn.000
000Python is easy to learn.
name1 = '철수'
name2 = '영희'
hello = ' 안녕!'
print(name1 + hello)
print(name2 + hello)
>> 철수 안녕!
영희 안녕!
apple = ['아이맥','아이패드','아이폰']
' '.join(apple) # 공백으로 구분
>> '아이맥 아이패드 아이폰'
: 문자열 위치 찾기
ex = 'I love Python'
print('문자열 위치:', ex.find('Python'))
print('문자열 위치:', ex.find('love'))
print('문자열 위치:', ex.find('o'))
print('문자열 위치:', ex.find('Java')) # 존재하지 않는 문자열
>> 문자열 위치: 7
문자열 위치: 2
문자열 위치: 3
문자열 위치: -1
print('문자열 위치:', ex.find('Python', 0, 20)) # 문자열을 찾을 시작 위치, 끝 위치
print('문자열 위치:', ex.find('Python', 20)) # 문자열을 찾을 시작 위치
>> 문자열 위치: 7
문자열 위치: -1
: 문자열 개수 구하기
print('Python의 개수는?:', ex.count('Python'))
print('o의 개수는?:', ex.count('o'))
>> Python의 개수는?: 1
o의 개수는?: 2
str_b = '[Python] [is] [fast]'
str_b1 = str_b.replace('[', '') # 문자열에서 '['를 제거
str_b2 = str_b1.replace(']', '') # 결과 문자열에서 다시 ']'를 제거
print(str_b)
print(str_b1)
print(str_b2)
>> [Python] [is] [fast]
Python] is] fast]
Python is fast
string1 = 'Python is powerful. PYTHON IS EASY TO LEARN.'
print(string1.lower()) # 소문자로 바꾸기
print(string1.upper()) # 대문자로 바꾸기
>> python is powerful. python is easy to learn.
PYTHON IS POWERFUL. PYTHON IS EASY TO LEA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