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자형숫자형 - 정수(int), 실수(float)논리형(bool) - True, False변수는 일일이 숫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등호(=)를 이용해 변수에 자료를 넣을 수 있다.변수 c를 사용하지 않아도 print( a + b )로 같은 값을 출

문자형숫자형 - 정수(int), 실수(float)논리형(bool) - True, False리스트 생성: 대괄호 \[]를 이용해 생성한다.인덱스의 범위: 0부터 n-1까지 리스트 더하기와 곱하기리스트 중 일부 항목 가져오기리스트명start : end : stepstart

단일 조건과 그 외의 조건 - if ~ else여러개의 조건 - if ~ elif ~ elsefor 변수 in range(stop):for 변수 in range(start, stop):for 변수 in range(start, stop, step):start, step

% 를 이용한 형식 및 위치 지정출력 위치 지정숫자 형식 지정 엔터로 입력할 수 있다.

x : 입력값, 입력변수, 파라메타, 인자(argument)y : 리턴값 전역변수 (global variable) : 함수에 상관없이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지역변수 (local variable) : 하나의 함수 안에서만 사용되는 변수리턴값이 있는 경우리

역할 : 다수의 함수와 공유 자료를 묶어서 객체 생성구성 : 멤버(member) + 생성자유형 : 사용자 정의 클래스, 내장 클래스 : class에서 정의한 함수객체 메소드 (instance method) : object.method() 호출, (self) 기본 인수

분리된 문자열은 리스트(List)로 반환된다 → 인덱스로 특정 항목의 문자열을 반환할 수 있다!split() 인자로 구분 문자 지정 가능 strip()lstrip()rstrip() : 문자열 위치 찾기: 문자열 개수 구하기replace(기존 문자열, 바꿀 문자열, 바꿀

모듈을 사용하면 코드 작성과 관리가 편리하다.작성된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다.2018년은 평년이고 2020년은 윤년인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