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모델 경량화는 크게 경량화 알고리즘과 알고리즘 경량화로 나뉜다. 쉽게 말해 전자는 처음부터 가벼운 알고리즘 쓰기이고 후자는 학습된 모델을 가볍게 하기라고 할 수 있다.
분류 | 접근방법 | 연구 방향 | 키워드 |
---|---|---|---|
경량 알고리즘 연구 | 모델 구조 변경 | 잔여 블록, 병목 구조, 밀집 블록 등 다양한 신규 계층 구조를 도입하여 파라미터 축소 및 모델 성능을 개선 | ResNet, DenseNet, SqueezeNet |
합성곱 필터 변경 | 합성곱 신경망의 가장 큰 계산량을 요구하는 합성곱 필터의 연산을 효율적으로 줄임 | MobileNet, ShuffleNet | |
자동 모델 탐색 | 특정 요소(지연시간, 에너지 소모 등)가 주어진 경우, 강화 학습을 통해 최적 모델을 자동으로 탐색하는 연구 | NetAdapt, MNasNet | |
알고리즘 경량화 연구 | 모델 압축 | 가중치 가지치기, 양자화/이진화, 가중치 공유 기법을 통해 파라미터의 불필요한 표현력을 줄이는 연구 | Deep Compression, XNOR-Net |
지식 증류 | 학습된 기본 모델을 통해 새로운 모델의 생성 시 파라미터값을 활용하여 학습시간을 줄이는 연구 | Knowledge Distillation, Transfer Learning | |
하드웨어 가속화 |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뉴럴 프로세싱 유닛(NPU)을 통해 추론 속도를 향상시키는 연구 | ||
모델 압축 자동 탐색 | 알고리즘 경량화 연구 중 일반적인 모델 압축 기법을 적용한 강화 학습 기반의 최적모델 자동 탐색 연구 | PocketFlow, AMC |
합성곱 신경망은 처음으로 여러 개의 합성곱 층과 활성화 함수를 연속적으로 이어 붙인 알렉스넷을 시작으로 합성곱 층 이후에 다운 샘플링을 통해 통과하는 격자의 크기를 줄여 연산량과 변수가 많아 학습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후 ZF-Net, VGGNet을 거치면서 점차 필터의 크기가 줄어들어서 1x1 필터를 주로 사용하였다. 필터의 축소 이외에 단일 필터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필터를 병렬로 연결하는 인셉션(Inception) 모듈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Inception 모델 형태는 v1, v2, v3를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가 레즈넷(ResNet)과 같이 두 개의 연속적인 합성곱 층에 단위행렬의 추가를 위한 지름길(shortcut)을 더해 줌으로써 가중치들이 더 쉽게 최적화될 수 있는 잔여 블록(Residual Block) 형태로 개선되었으며, 점차 병목 구조(Bottleneck Architecture), 밀집 블록(Dense Block)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깊은 신경망의 문제는 층의 수가 늘어나면서 점차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레즈넷(ResNet)[1], [2]은 (그림 1)의 왼쪽과 같이 계층 (Weight layer)이 계속 쌓이는 경우, 최적의 H(x)를 찾는 문제에서 이를 (그림 1)의 오른쪽과 같이 문제의 정의를 바꾸어 출력과 입력의 차이(H(x)-x=F(x))를 목표로 하면, 출력은 F(x)+x가 된다. 결국, 지름길(x)을 통해 파라미터 없이 바로 연결되는 구조로 바꾸고, 연산량 관점에서 덧셈이 추가되는 형태로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나머지, 즉 잔여(Residual, F(x))를 학습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깊은 신경망에도 쉽게 최적화가 가능하며, 늘어난 깊이로 인한 정확도 개선 효과도 보게 된다.
ResNet은 Residual Network의 약자로 잔차 의 개념을 도입한 방법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Block의 개념과 Identity Mapping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Block은 layer의 묶음 이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Resnet에서는 2개의 Conv Layer를 하나의 Block으로 묶는것이다. 이러한 Block을 Residual의 이름을 따서 이를 Residual Block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런 Residual Block을 여러개를 쌓아간것이 ResNet의 구조인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Layer를 쌓을수록 늘어다는 Parameter의 갯수가 문제이다.
ResNet-34. 점설과 실선으로 된 부분을 잘 살펴보자.
위 그림의 예시인 ResNet-34는 Conv Layer가 34개가 있으며 16개의 Block으로 감싸져있다.
첫번째 Block의 Parameter 갯수를 살펴보면 3x3x64의 Convolution Layer가 2개가 있으므로 1.152K가 된다. 전체 Parameter의 갯수를 세어보면 21,282M이다.
이제 Layer가 더욱 깊어지면 Parameter의 수는 더이상 컴퓨터가 감당할 수 없을 지경일지 모른다. 그래서 저자는 Bottleneck Block이라는것을 제안한다.
Basic Block(좌), BottleNect Block(우)
ResNet-34와 ResNet-50에서의 Block구조이다. ResNet-34에서의 Block은 2개의 Conv Layer가 들어가있으며 Parameter의 수는 3x3x256x256+3x3x256x256 = 39.3216M 이 된다.
반면 ResNet-50에서의 Block은 3개의 Conv Layer가 들어가 있으며 Parameter의 수는 6.9632M 이 된다. Parameter의 수가 무려 6배정도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Conv Layer를 자세히 보면 ResNet-34와는 다르게 3x3 Conv Layer의 앞뒤로 1x1 Conv Layer가 붙어있는데, 1x1 Conv Layer가 채널의 수를 조절하면서 차원을 줄였다 늘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부분이 마치 병목과 같다 하여 Bottleneck Block 라고 불리게 되었다.
기존 신경망 모델 구조의 여러 장점을 모아 덴스넷(DenseNet)[3]이 고안되었다. 기존 피처맵(feature map)을 더해 주는 게 아닌 쌓아가는 과정을 거치며 모델의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그림 2) 참조].
아울러, 이미지 판별 문제(Image Classification)의 경우, 맨 마지막 층의 하이 레벨 피처에서만 사용하던 것이, 덴스넷에서는 이전의 모든 층에서의 정보를 취득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다른 네트워크보다 굉장히 좁게 설계 가능해지고, 파라미터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것도 ResNet과 같이 Bottleneck 구조 사용)
스퀴즈넷(SqueezeNet)[4]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합성곱 필터인 3×3 필터를 1×1 필터로 대체함으로써 9배 적은 파라미터를 가지며, 1×1 합성곱을 이용하여 채널 수를 줄였다가 다시 늘리는 파이어 모듈(Fire Module)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늦은 다운 샘플링 전략을 통해 한번에 필터가 볼 수 있는 영역을 좁히면서 해당 이미지의 정보를 압축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그림 3) 참조].
모델 구조를 변경하는 다양한 경량 딥러닝 기법은 점차 채널을 분리하여 학습시키면서 연산량과 변수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연구로 확장되었다. 일반적인 합성곱은 채널 방향으로 모두 연산을 수행하여 하나의 특징을 추출하는 데 반해, 채널별(Depthwise)로 합성곱을 수행하고, 다시 점별(Pointwise)로 연산을 나누어 전체 파라미터를 줄이는 것과 같이 다양한 합성곱 필터를 설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점별 그룹 형태로 섞는 셔플 방법이 연구 진행 중이다.
모바일넷(MobileNet)[5], [6]에서는 기존의 합성곱 필터를 채널(Channel) 단위로 먼저 합성곱(Depthwise Convolution)을 하고, 그 결과를 하나의 픽셀(Point)에 대하여 진행하는 합성곱(Pointwise Convolution)으로 나눔으로써 한 예로, 필터의 가로, 세로 길이를 3이라고 할 때, 약 8~9배의 이득이 있게 하였다[(그림 4) 참조].
액셉션(Xception)이나 모바일넷(MobileNet)에 제안된 채널별(Depthwise) 개별 합성곱은 표현 성능은 그리 높지 않지만, 연산량을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셔플넷(ShuffleNet)[7], [8]에서는 점별 합성곱(Pointwise convolution) 시 특정 영역의 채널에 대해서만 연산을 취하는 형태로 설계하면 연산량을 매우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입력에서만의 정보 흐름만을 취하는 대신, 입력의 각 그룹이 잘 섞일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 핵심이다[(그림 5) 참조].
최근 들어, 강화 학습 기법이 적용된 다양한 응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모델 구조와 합성곱 필터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강화 학습을 통한 자동 탐색 기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신경망의 최적화는 MACs(Multiplier-Accumulators) 또는 FLOPs(Floating Operations Per Seconds)에 의존하였으나, 실용적인 방식인 Latency 또는 Energy Consumption 문제로 기준이 바뀌고 있다. 그에 따라, 추론에 최적화된 신경망을 자동 생성하거나 연산량 대비 모델의 압축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신경망을 생성, 훈련, 배포하는 과정을 크게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넷어탭트(NetAdapt)[9]는 주어진 Budget을 만족하는 최적의 결과를 얻고자 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 주어진 Budget을 여러 개로 나누어 한번에 일정 만큼씩 만족하는 조건을 점차 찾는 방식이다 [(그림 6) 참조].
신경망 아키텍처 탐색을 위해 모바일 환경에서 탐색 알고리즘의 메인 보상 함수에 속도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여 정확도와 속도 간의 균형을 이루는 모델을 탐색하는 방식으로 기존 나스넷(NasNet)보다 2.4배 빠르게 실행되는 모델을 찾을 수 있다. 엠나스넷(MNasNet)[10]은 기존 모델 아키텍처 학습과 샘플링을 위한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한 컨트롤러, 모델을 만들고 훈련시켜 정확도를 얻는 트레이너, 실제 모바일폰에서 추론 엔진을 수행하여 얻은 추론 지연 시간을 통해 다(多) 목표 최적화 문제를 만들고 보상 함수가 포함된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파레토(Pareto) 최적 솔루션을 찾는 방식이다[(그림 7) 참조].
알고리즘 경량화 연구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하거나 합성곱 연산의 다양한 변이, 모델 자동 탐색과 같은 경량 알고리즘의 연구와 달리, 기존 알고리즘의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거하거나, 파라미터의 공통된 값을 가지고 공유하거나, 파라미터의 표현력을 잃지 않으면서 기존 모델의 크기를 줄이는 연구 분야이다. 주로 모델 압축(Model Compression) 및 지식 증류(Knowledge Distillation) 연구와 가속화(Acceleration)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 신경망이 가지고 있는 가중치(Weights) 중 실제 추론을 위해 필요한 값은 비교적 작은 값들에 대한 내성을 가지므로, 작은 가중치값을 모두 0으로 하여 네트워크의 모델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다. 이후의 연구는 가중치 가지치기(Weight Pruning) 후에 재훈련 과정을 통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신경망을 세밀하게 조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중치를 통한 접근 방법 이외에 채널을 선별하여 중복(불필요한) 채널에 대한 가지치기를 통해 모델을 압축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그림 8) 참조], [11].
양자화와 이진화는 기존의 신경망의 부동 소수점 수를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양자화(Quantization)의 경우 특정 비트 수만큼으로 줄여서 계산하는 방식이다[(그림 9) 참조]. 가령, 32비트 소수점을 8비트로 줄여서 연산을 수행한다. 이진화(Binarization)는 신경망이 가지고 있던 가중치(Weights)와 층 사이의 입력을 부
호에 따라서 -1 혹은 +1의 이진(Binary) 형태의 값으로 변환하여, 기존의 Floating Point를 사용하는 신경망들에 비해 용량과 연산량을 대폭 압축시키는 기술이다[12].
가중치 공유(Weight Sharing) 기법은 낮은 정밀도에 대한 높은 내성을 가진 신경망의 특징을 활용해 가중치를 근사하는 방법이다. 기존 가중치값들은 근사한 값(코드북)을 통해 가중치들을 공유하는데, 코드북과 그 값에 대한 인덱스만을 저장하는 구조이므로, 실제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근사화하는 방식은 가중치들의 유사도에 기반하는데, 주로 K-Means 또는 Gaussian Mixture Model[13]을 활용한다.
지식 증류(Knowledge Distillation)[14] 기술은 앙상블(Ensemble) 기법을 통해 학습된 다수의 큰 네트워크들로부터 작은 하나의 네트워크에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론 중의 하나이다. 다수의 큰 네트워크들인 전문가(Experts, Teacher) 모델에서 출력은 일반적으로 특정 레이블에 대한 하나의 확률값 만을 나타내지만, 이를 확률값들의 분포 형태로 변형하여, 숙련가(Specialist, Student) 모델의 학습 시에 모델의 Loss와 전문가 모델의 Los를 동시에 반영하는 형태로 숙련가 모델을 학습에 활용한다[(그림 10) 참조].
일반적인 지식 증류 기술의 연구는 모델 압축 기술과 같이 신경망을 간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만, 반대로 현재 훈련된 네트워크보다 더 큰 네트워크로의 지식 전이(Knowledge Transfer) [15]를 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지식 전이 기법 중에서 더 깊거나 더 넓은 네트워크를 만들 때 정보를 완벽히 동일하게 전달하는 연산(Operation) 방법도 가능하다.
벡터/행렬 연산을 병렬 처리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TPU(Tensor Processing Unit), On-Device AI 응용 추론을 위한 전용 VPU(Visual Processing Unit) 프로세스 및 GPU Cluster 기반 가속기 등의 연구 개발이 주요 IT 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량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칩셋 또는 USB 스틱 형태로 임베디드 장치에서 추론 연산 가속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텔에서는 모비디우스를 통한 뉴럴 컴퓨트 스틱, 엔비디아에서는 젝슨 TX2, 구글에서는 엣지 TPU가 개발 중이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신경망 처리를 위한 모바일 AP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화웨이의 기린, 애플의 A12칩, 삼성의 액시노스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향후에는 신경망 전용 프로세서가 장착된 다양한 경량 디바이스에서 추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량 딥러닝 알고리즘의 모델 설계를 자동화하기 위하여 합성곱 연산, 커널 크기, 필터 크기, 층(Layer)의 개수 등 다양한 탐색 공간을 통한 다양한 모델을 설계하는 것과 유사하게, 알고리즘 경량화도 모델 압축 기법의 네트워크 가지치기, 가중치 양자화 등의 탐색 공간을 통한 자동화 연구가 진행중이다.
텐센트(Tencent)의 포켓플로(PocketFlow)[16]는 하이퍼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통해 기존의 경량 알고리즘인 모바일넷(MobileNet)에 모델 압축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17]는 정확도와 지연시간을 모두 고려한 강화학습 기반의 모델 압축 기법을 자동 탐색하는 기법도 소개되고 있다[(그림 11) 참조].
이러한 경량 알고리즘의 자동 탐색(NAS: Neural Architecture Search 또는 AutoML: Automated Machine Learning)에 그치지 않고 모델 압축 자동 탐색(AutoMC: Automated Model Compression)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1] K. He et al.,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in Proc. IEEE Conf. Comput. Vision Pattern Recognition, Las Vegars, NV, USA, June 2016, pp. 770–778.
[2] K. He et al., “Identity Mappings in Deep Residual Networks,” in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Springer, 2016, pp. 630–645
[3] G. Huang et al., “Densely Connected Convolutional Networks,” in Proc. IEEE Conf. Computer Vision Pattern Recognition, Honolulu, HI, USA, July, 2017, pp. 2265-2269.
[4] F.N. Iandola et al., “SqueezeNet: AlexNet-Level Accuracy with 50x Fewer Parameters and < 0.5MB model size,” arXiv:1602.07360, 2016.
[5] A.G. Howard et al., “MobileNets: Efficien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Mobile Vision Applications,” arXiv:1704.04861, 2017.
[6] M. Sandler et al., “MobileNet V2: Inverted Residuals and Linear Bottlenecks,” arXiv:1801.04381, 2018.
[7] X. Zhang et al., “ShuffleNet: An Extremely Efficien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Mobile Devices,” arXiv:1707.01083, 2017.
[8] M. Ningning et al., “ShuffleNet V2: Practical Guidelines for Efficient CNN Architecture Design,”
arXiv:1807.11164, 2018.
[9] T.J. Yang et al., “NetAdapt: Platform-Aware Neural Network Adapt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arXiv:1804.03230, 2018.
[10] M. Tan et al., MnasNet: Platform-Aware Neural Architecture Search for Mobile,” arXiv:1807.11626, 2018.
[11] S. Han, H. Mao, and W.J. Dally, “Deep Compression: Compressing Deep Neural Network with Pruning, Trained Quantization and Huffman Coding,” arXiv:1510.00149, 2015.
[12] M. Rastegari et al., “XnorNet: ImageNet Classification Using Binar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rXiv:1603.05279, 2016.
[13] K. Ullrich, E. Meeds, and M. Welling, “Soft Weight-Sharing for Neural Network Compression,” arXiv:1702.04008, 2017.
[14] G. Hinton, O. Vinyals, and J. Dean, “Distilling the Knowledge in a Neural Network,” arXiv:1503.02531, 2015.
[15] T. Chen, I. Goodfellow, and J. Shlens, “Net2Net: Accelerating Learning via Knowledge Transfer,” in Int. Conf. Learning Representation (ICLR), May 2016.
[16] J. Wu, J. Hou and W. Liu, “PocketFlow : An Automated Framework for Compressing and Accelerating Deep Neural Networks,”. in Proc. Neural Inf. Process. Syst. (NIPS), Montreal, Canada, Dec. 2018.
[17] Y. He et al., :AMC: AutoML for Model Compression and Acceleration on Mobile Devices,” in Proc. Eur. Conf. Comput. Vision (ECCV), Munich, Germany, Sept. 2018, pp. 784–800.
[18][https://www.xnor.ai/](https://www.xnor.ai/)
[19][https://hyperconnect.com/](https://hyperconnect.com/)
https://ysbsb.github.io/model_compression/2021/10/15/model-compression-guide.html
https://repository.kisti.re.kr/bitstream/10580/15591/1/(기술)딥러닝 모델 경량화 기술 분석.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