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호이론] 5. Rudiments of Number Theory and Algebra

aliceshard·2023년 4월 8일
0

Number Theoretic Preliminaries

Euler Totient Function

ϕ(n)=n(pn)p1p\phi(n) = n \prod_{(p|n)} {{p-1}\over{p}}

Irreducible Polynomials and Extension Fields

Irreducible over R

만약 f(x)=g(x)h(x)f(x)=g(x)h(x) 꼴로 표현되지 않을 때, f(x)f(x)는 irreducible 하다고 한다.

f(x),g(x),h(x)R[x]f(x), g(x), h(x) \in \mathbb{R[x]}

Field extension

만약 Field K\mathbb{K}가 Field F\mathbb{F}의 subset이라면, F\mathbb{F}K\mathbb{K}의 extension field라 한다.

예를 들어, C\mathbb{C}R\mathbb{R}의 extension field이다.

  • 여기서 한가지 재밌는 성질이 유도되는데, 만약 GF(2)GF(2)에서 임의의 irreducible한 polynomial이 있을 때, 그 해를 α\alpha라고 하자. 여기서 더 높은 차원의 Field Extension이 유도가 된다.

    GF(2)GF(pm)GF(2) \rightarrow GF(p^m)
  • irreducible polynomial은 차수별로 다 테이블로 정리가 되어있다. 교재를 보면 될 것.

Galois Fields

Characteristic

특정 Field 원소 하나만 갖고 덧셈을 반복했을 때 0이 나오는 최소값을 characteristic이라고 한다.

  • 모든 Binary extension fields(GF[2m]GF[2^m])는 다 characteristic이 2이다.
  • 모든 필드의 characteristic은 반드시 0이거나 소수여야 한다.
  • 따라서 유한 필드 GF(q)GF(q)는 언제나 pp개의 필드 원소를 갖고 있게 된다.
  • 또 따라서, 모든 Zp\mathbb{Z}_p는 모두 GF(q)GF(q)의 갈루아 필드이다.
  • 또 여기서, GF(p)GF(q)GF(p) \subseteq GF(q)를 만족하는 GF(p)GF(p)는 ground field라 불린다.

Order of field

  • 그룹의 order는 그룹을 이루는 원소의 개수로 정의된다.
  • 모든 유한 필드 GF(q)GF(q)는 반드시 소수의 제곱수의 order를 갖게 된다.

Ground field

임의의 필드 GF(pm)GF(p^m)이 있을 때, GF(p)GF(p)를 ground field라 한다.

  • 만약 characteristic이 pp인 필드 내에서 두 원소 x,yx, y를 뽑는다고 할 때,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x+y)p=xp+yp(x+y)^p=x^p+y^p
  • 특히, GF(2m)GF(2^m)에 대해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x+y)2=x2+y2(x+y)^2=x^2+y^2

Cyclic structure (Multiplicative structure)

  • ord(β)ord(\beta) 는 어떤 갈루아 필드 원소 β\beta를 몇 번이나 곱해야 11로 돌아오는지를 나타낸다.

    앞서 봤던 Characteristic과 비슷하지만, 여기서는 덧셈이 아니라 곱셈에 대해서 정의된다.

  • Primitive element는 이 원소만을 활용해서 모든 element를 만들 수 있는 원소로, GF(q)GF(q)에 대해서 q1q-1인 경우는 언제나 primitive element이다.

  • 따라서,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ord(β)(q1)ord(\beta)|(q-1)
  • 따라서,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βs=1iiford(β)s\beta^s=1\quad iif\quad ord(\beta)|s
  • 따라서,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만약 ord(α)=sord(\alpha)=s, ord(β)=tord(\beta)=t, (s,t)=1(s,t)=1이면, ord(αβ)=stord(\alpha \beta)=st 이다.

  • 따라서,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만약 ord(α)=t,β=αiord(\alpha)=t, \beta=\alpha^i 이면, ord(β)=t/(i,t)ord(\beta)=t/(i,t)이다.

  • 필드 F\mathbb{F}에서 정의된 degree dd의 polynomial은 항상 최대 dd개의 해를 갖고 있다.

  • 갈루아 필드 GF(q)GF(q)에 대해, 만약 t(q1)t|(q-1)을 만족하는 t가 있다면, GF(q)GF(q) 내부에는 ϕ(t)\phi(t)개 만큼의 order tt 원소가 있다.

  • 갈루아 필드 GF(q)GF(q)에는 ϕ(q1)\phi(q-1)개의 primitive elements가 있다.

  • 갈루아 필드 GF(q)GF(q)에 있는 모든 원소는 xqx=0x^q-x=0 방정식을 만족한다. 게다가, 이 방정식의 모든 해 집합은 그 갈루아 필드 원소들과 정확히 같다.

Splitting field

Splitting field(분할체)는 어떤 polynomial f(x)F[x]f(x)\in \mathbb{F}[x]의 해를 갖고 있는 가장 작은 확장 필드를 말한다.

  • 모든 갈루아 필드 GF(q)GF(q) 내부의 모든 원소는 반드시 다음 방정식의 해가 된다.
    xqnx=0x^{q^n}-x=0

Subfields of Galois fields

  • An element, βGF(qm)\beta \in GF(q^m) lies in GF(q)GF(q) if and only if βq=β\beta^q=\beta.
  • GF(qk)GF(q^k) is a subfield of GF(qj)GF(q^j) if and only if kjk|j.

Irreducible and Primitive polynomials

  • irreducible한 mm차 polynomial f(x)GF(p)[x]f(x) \in GF(p)[x]는 반드시 xpm11x^{p^m-1}-1을 나눌 수 있다.
  • irreducible한 mm차 polynomial f(x)GF(q)[x]f(x) \in GF(q)[x]에 대해 mkm|k를 만족한다면, 다음이 만족된다.
    f(x)(xqkx)f(x)|(x^{q^k}-x)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