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무중단 배포

중단 배포 및 다운 타임 위의 사전처럼 새로 개발한 V2 버전을 배포하기 위해선 먼저 실행 중인 V1 버전의 프로세스를 종료해야 한다. 로딩 과정을 거치고 V2 버전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유저가 다시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된다. > 위와 같은 배포 방식을 "중단 배포"라고 하며,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을 "다운 타임"이라고 한다. 무중단 배포 중단 배포의 경우, 새로운 버전으로 체인지하기까지 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다운타임) 이 방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은 상태로(Zero-downtime), 새로운 버전을 유저들에게 배포하기 위해 무중단 배포를 사용한다. 무중단 배포의 경우, 2대 이상의 서버가 확대되어야 하며

2022년 9월 1일
·
0개의 댓글
·

[Backend]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란? Load Balancer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의미한다. Load Balancer는 위치상으론 클라이언트와 서버풀 사이에 위치하며, 한 대의 서버로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 관리해 각각의 서버가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Load Balancer가 필요한 경우 > 당연하게도 여러 대의 서버가 있어야 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처리 시스템을 필요로 할 때 사용된다. 다시말해서 서비스 제공 초기 단계라면(아직 서버의 트래픽이 많지 않다면) 한 대의 서버로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load balancer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고 클라이언트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면, 기존 서버만으로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이 때 증가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의 방식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증가한 트래픽을 처

2022년 8월 3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