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개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현행 시스템의 구성과 제공 기능, 시스템 간의 전달 정보, 사용되는 기술 요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네트워크의 구성 등을 파악함
- 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업무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 조직 내에 있는 모든 정보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업무에 속하는 단위 업무 정보 시스템들의 명칭, 주요 기능들을 명시한다.
- 현행 시스템의 기능은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 주요 기능과 하부 기능, 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한다.
- 현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 형식, 프로토콜, 연계 유형, 주기 등을 명시한다.
-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주고받는지 통신 규약은 무엇을 사용하는지, 연계 유형은 무엇인지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 현행 시스템의 아키텍쳐 구성은 기간 업무 수행에 어떠한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한 아키텍처 구성도로 작성한다.
- 아키텍처가 단위 업무 시스템별로 다른 경우에는 가장 핵심이 되는 기간 업무 처리시스템을 기준으로 표현한다.
- 소프트웨어 구성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별로 업무 처리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들의 제품명, 용도, 라이선스 적용 방식, 라이선스 수 등을 명시한다.
- 시스템 구축비용 면에서 소프트웨어 비용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사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라이선스 적용 방식의 기준과 보유한 라이선스의 파악이 중요하다.
- 하드웨어 구성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들이 운용되는 서버의 주요 사양과 수량, 그리고 이중화의 적용 여부를 명시한다.
- 서버의 이중화(운용 서버의 장애 시 대기 서버로 서비스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운용 서버의 자료 변경이 예비 서버에도 동일하게 복제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는 기간 업무의 서비스 기간, 장애 대응 정책에 따라 필요 여부가 결정된다.
- 현행 시스템에 이중화가 적용된 경우 대부분 새로 구성될 시스템에도 이중화가 필요하므로 이로 인한 비용 증가와 시스템 구축 난이도가 높아질 가능성을 고려해야한다.
- 네트워크 구성은 업무 시스템들의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서버의 위치,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네트워크 구성도로 작성한다.
- 네트워크 구성도를 통해 서버들의 물리적인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
-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발생 원인을 찾아 복구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