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환경 구축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62/100

개발 환경 구축 (Development Environment Setup)


1. 개발 환경 구축의 개요

  •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를 구축하는 작업.
  • 운영 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구조로 환경을 조성해야 함.
  • 회사나 프로젝트에 따라 요구사항처리방식을 분석한 후,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결정함.

2. 개발 환경의 주요 요소

1) 하드웨어 환경

  • 클라이언트(Client): 사용자 측의 장치로, PC나 스마트폰 등이 해당.
  • 서버(Server):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여러 종류의 서버가 있음.
서버의 종류 및 역할
  1. 웹서버 (Web Server)

    • 클라이언트의 HTTP/HTTPS 요청을 직접 받아 정적 데이터를 제공.
    • HTML, CSS, 이미지 파일 등의 관리와 전달 담당.
  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 동적 서비스 제공 역할 수행.
    • 웹서버와 DB 서버, 또는 파일 서버 간 인터페이스 역할 담당.
    • 동적 화면 구성(예: 쇼핑몰 필터링 기능 등)을 처리.
  3. 데이터베이스 서버 (DB Server)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가 설치된 서버.
    •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며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
  4. 파일 서버 (File Server)

    • 비정형 데이터(예: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를 저장하고 관리.
    •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지 않은 파일들을 저장하는 역할.

2) 소프트웨어 환경

  •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크게 시스템 소프트웨어개발 소프트웨어로 나뉨.
시스템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OS): Windows, Linux, macOS, iOS, Android 등.
  • 서버 소프트웨어: 웹서버, WAS, DBMS 등.
개발 소프트웨어
  •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들.
주요 개발 소프트웨어
  1. 요구사항 관리 도구

    • 요구사항을 수집, 분석, 추적하는 소프트웨어.
  2. 설계/모델링 도구

    • 설계 및 모델링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3. 구현 도구

    • 개발 언어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도구.
  4. 빌드 도구

    • 소스 코드의 빌드, 배포, 라이브러리 관리를 지원.
  5. 테스트 도구

    • 모듈들이 요구사항에 맞게 구현되었는지 테스트하는 도구.
  6. 형상 관리 도구

    •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
    • 예) Git, Subversion.

3. 개발 환경 구축 절차

  1. 요구사항 분석: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을 결정.
  2.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선정: 성능, 편의성, 라이센스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품 선정.
  3. 개발 환경 구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개발에 필요한 설정을 완료.

4. 웹 서버의 주요 기능

  • HTTP/HTTPS 지원: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지원. HTTPS는 보안 기능이 추가된 버전.
  • 통신 기록 (로그 관리): 요청과 응답 과정의 기록(log)을 남겨 분석 가능.
  • 정적 파일 관리: HTML, CSS, 이미지 등의 정적 데이터를 관리.
  • 대역폭 제한: 네트워크 트래픽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응답 속도를 조절.
  • 가상 호스팅: 하나의 서버에 여러 도메인을 연결하여 운영.
  • 인증(Authentication): 클라이언트가 합법적 사용자인지 확인.

5. 개발 언어 선정 기준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할 언어를 여러 기준에 따라 선정.
  • 적정성, 효율성, 범용성, 유지보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6. 시험 대비 요점

  • 개발 환경 구축의 절차 및 요소를 이해할 것.
  • 서버 종류와 역할, 소프트웨어 환경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억할 것.
  • 웹 서버의 기능개발 언어 선정 기준을 파악해 둘 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