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는 수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숫자의 집합과 자리값 시스템을 이용하여 숫자를 나타냅니다. 주로 사용하는 진수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이진수 (Binary, 2진수): 0과 1 두 가지 숫자만을 사용하며,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본 단위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개요소프트웨어 생명주기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설계, 운영, 유지보수 등의 각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체계적 방법론입니다. 주요 개발 모델로는 폭포수 모델, 프로토타입 모델, 나선형 모델, 애자일 모델 등이 있습니다.특징: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스크럼(Scrum) 개요스크럼은 팀 중심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으로,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애자일 개발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팀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스크럼 팀은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 스크럼
XP(eXtreme Programming) 개요XP(eXtreme Programming)는 고객과의 소통을 극대화하고 개발 과정을 반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애자일 개발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고객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소규모 프로젝트에서
개발 기술 환경 파악개발 기술 환경 파악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미들웨어, 오픈 소스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개발 환경을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개발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요구사항 정의요구사항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요구사항은 소프트웨어가 해결해야 할 문제와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및 제약조건을 정의하며, 이를 통해 개발 및 유지보수에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도출, 분석, 명세, 확인하는 구조화된 절차입니다. 이 과정은 개발 대상에 대한 요구를 명확히 하여 프로젝트 실패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요구사항 도출정의: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번째 실제적 단계로, 사용자 요구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설계 및 구현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중요한 활동입니다.목적: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문서화하여 설계 및 구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도출, 분석, 명세, 확인하는 구조화된 절차입니다. 이 과정은 개발 대상에 대한 요구를 명확히 하여 프로젝트 실패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구사항 개발 프로
UML: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와 고객, 개발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정의된 표준화된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표준화 단체: OMG(Object Management Group)가 UML 표준을 지정.특징:객체지향 방법론의 장점들을 통합.개발자와 이해관계자
UML에서 관계는 사물(Things)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요소입니다. 관계는 시스템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관계의 주요 종류:연관 관계 (Association)집합 관계 (Aggregation)포함 관계 (Composition)일반화
UML 다이어그램은 사물(Things)과 관계(Relationships)를 도형으로 시각화하여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명확히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합니다. 목적: 다양한 관점에서 시스템을 가시화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히 돕는 도구. 구조적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정적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은 기능 모델링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과 외부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도식화하여 표현한 다이어그램입니다. 목적: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시스템의 전체 범위와 기능을 설명하며, 개발팀과 사용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활동 다이어그램(Activity Diagram)은 사용자 관점에서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의 처리 흐름을 순서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현한 UML 다이어그램입니다. 특징:하나의 유스케이스 안에서 또는 유스케이스 사이의 복잡한 처리 흐름을 명확히 표현. 순서도와 유사하며,
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객체들의 구조와 관계를 나타내는 UML의 대표적인 구조적 다이어그램입니다. 역할: 각 객체가 가진 속성(Attribute)과 동작(Method)을 정의. 객체 간 연관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은 시스템이나 객체들 간의 메시지 교환과 상호작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서대로 시각화한 UML 다이어그램입니다.역할: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명확히 표현.객체 간 메시지 전송 순서와 타이밍을 이해.동적 모델링의 주요 도구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Communication Diagram)은 시스템이나 객체들 간의 메시지 교환 및 연관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UML 다이어그램입니다.특징:메시지 전달 과정과 객체 간 연관 관계를 중점적으로 표현.시퀀스 다이어그램과 유사하지만, 관계의 시각적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은 객체가 이벤트에 의해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시각적으로 표현한 UML 다이어그램입니다.주요 목적:객체의 상태 변화 과정을 추적.이벤트 발생 시, 객체의 상태 전환을 이해.특정 이벤트 발생 시, 객체의 상태 변화를 명확히 표
패키지 다이어그램은 정적 모델링 중 하나로, 관련 있는 객체들을 묶어서 패키지로 관리하고, 패키지 간의 의존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UML 다이어그램입니다.패키지는 클래스보다 상위 개념으로, 클래스, 유스케이스, 인터페이스, 테이블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
소프트웨어 개발, 유지보수, 운영 등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법, 도구, 절차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표준화한 방법론.목적: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개념: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모듈화하여 개발. 목표: 이해하기 쉽고 검증 가능한 코드를 작성.
개념: 기존에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코드, 모듈, 기능 등을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시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방법.목적:개발 시간 단축비용 절감실패 위험성 감소프로그램 복잡도 완화신뢰성, 성능, 효율성 향상합성 중심:기존의 모듈, 블록(부품)을 조립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비용 산정 기법은 크게 상향식과 하향식으로 나뉩니다.상향식:각 작업의 비용을 개별적으로 산정하여 전체 비용을 계산.세부적인 분석과 작업 분할을 통해 정확한 비용을 추정.하향식:전체 비용을 먼저 추정한 후, 이를 세부 작업별로 분배.과거 경험과 전문가의 판단을 바탕으로
상향식 비용 산정 기법은 각 작업 단위별로 비용을 산정한 후 이를 합산하여 전체 프로젝트 비용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이 방식은 정확성과 세부적인 분석이 강조됩니다.개념: 원시 코드의 라인 수를 기반으로 비용을 산정.과정:전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나누어 각 기능의 코드
수학적 산정 기법은 통계적인 공식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용을 자동으로 산정하는 기법입니다.과거의 유사한 프로젝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 모델을 만들어 적용합니다.경험적 추정 모형 또는 실험적 추정 모형이라고도 불립니다.제안자: 배리 보임(Barry Boehm).개념:
정의: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소작업들을 파악하고, 각 작업의 순서와 일정을 계획하는 과정.목적: 작업의 효율적 배분과 진행을 통해 프로젝트를 제때에 성공적으로 완료.프로젝트 일정 계획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개념: 프로젝트를 작은 관리 단위로 분할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결정은 프로젝트 관리 및 재사용 현황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와 적합한 개발 방법론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단계별 작업, 활동, 절차, 산출물을 정리하는 과정입니다.프로젝트 관리 및 재사용 현황 반영:프로젝트 특성과 재사용 가능한 요소를 기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수행되는 품질 관리와 프로세스 관리에 대한 국제적 규칙과 지침을 의미합니다.이 표준은 소프트웨어 개발, 운영, 유지보수 단계에서 일관된 품질과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정의: 국제표준
테일러링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상황이나 특성에 맞게 표준화된 개발 방법론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과정입니다.기성복처럼 하나의 표준화된 방식으로 모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따라서, 프로젝트 특성 및 요구사항에 맞게 맞춤형으로 개발 방식을 조정합니다.테일러링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본 틀입니다. 일정한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예시: 아파트의 기본 설계는 같지만, 각 세대 내부는 다르게 꾸밀 수 있는 것처럼, 프레임워크는 기본 구조를
데이터 저장소는 데이터를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논리 데이터 저장소:데이터 간의 연관성과 제약 조건을 바탕으로 논리적 구조로 조직화된 저장소.예: 데이터 모델, 스키마 설계.물리 데이터 저장소:논리 데이터 저장소를 실제 물리적 저장
정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과정.목적: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컴퓨터 시스템에서 관리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변환.활용 예시:쇼핑몰 회원 정보 저장.자동차 보험 정보 관리.은행 및 신용카드 회사
정의: 현실 세계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기 위해 단순화하고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목적:현실 세계를 체계적으로 표현.데이터 구조와 관계, 제약조건 등을 명확히 정의.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사용자와 설계자 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활용.비유:데이터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에서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구조, 속성, 관계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습니다.개체 (Entity) 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현실 세계의 대상체.특징:유형: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객체 (예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개념적/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는 방법.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를 통해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시각화하는 모델. 1976년 피터 첸(Peter Chen)에 의해 제안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2차원 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정의:데이터를 표(Table) 형태로 표현하고,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키는 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며,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다양한 키 유형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정의:데이터베이스에서 튜플(Tuple)을 식별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은 저장된 데이터가 현실 세계를 정확히 반영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약 조건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잘못된 데이터의 입력이나 데이터 손상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검색과 조작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은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입니다. 이 두 개념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질의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절차적 언어: 데이터를 어떻게 검색할 것인지 연산 순서를 명시적으로 기술.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중복과 불필요한 종속성으로 인해 테이블 조작 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현상.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 중 특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삽입 이상 (Insertion Anomaly)문제: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할 때 불필요하거나 알 수 없는 값
정규화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분해하여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이상 현상(삽입, 삭제, 갱신 이상)을 방지하는 과정.목적: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핵심: 테이블을 무손실 분해하여 함수적 종속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상 현상
반정규화는 성능 향상 및 효율성을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정규화 원칙을 위배하여 데이터를 통합하거나 중복시키고, 필요시 분리하는 작업.목적: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 및 운영 편의성 증대.정규화 후의 문제점:지나치게 분리된 테이블로 인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내의 다양한 데이터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관리하는 특별한 데이터베이스.DBMS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 구조, 객체의 속성, 사용자 정보, 무결성 제약 조건 등을 포함.내용:데이터베이스 객체 정보 (테이블, 인덱스, 뷰 등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 하나의 작업 단위가 완전히 수행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함 트랜잭션은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와 회복 작업(Recovery)에서 중요하게 다룸 트랜잭션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
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 위해 사용하는 구조.책의 목차와 같은 역할을 하며,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적 위치(포인터)를 제공합니다.비유:책의 목차를 통해 원하는 페이지를 찾아가는 것처럼, 인덱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데
뷰(View)란:사용자에게 제한된 데이터만 보여주기 위해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가상 테이블.물리적으로 저장되지 않으며, 필요한 순간에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성된 결과를 제공합니다.예: 학생 테이블과 학과 테이블이 있고, 사용자에게 학번, 이름, 학과만 보여주고 싶다면,
파티션(Partition)은:대용량의 테이블 또는 인덱스를 작은 논리적 단위로 나누는 작업.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테이블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데이터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법.데이터 처리:데이터 조회/수정 등 처리는 테이블 단위로 이루어짐.데이터 저장: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란: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사이트에 데이터베이스를 분산 배치하는 것을 의미.목적: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성능 최적화, 확장성 제공.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 양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크
데이터베이스 이중화는 시스템 오류나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여 여러 개로 관리하는 기술.목적:데이터 서비스의 연속성 보장.장애 발생 시 빠른 복구.복제된 데이터베이스는 항상 같은 상태를 유지.데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목적: 데이터 보호 및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여 데이터 무결성과 기밀성을 유지.정의: 평문 데이터를 암호문으로 변환하여 전송 중에 도청당해도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
정의: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데이터 복구를 위해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는 작업.목적:치명적 데이터 손실 방지.장애 발생 후 신속한 복구.데이터 무결성 유지.정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하는 모든 작업과 상태 변화를 기록하는 파일.역할:데이터베이스 복구의
정의: 데이터 저장 및 관리에 사용되는 기억 장소 또는 저장 장치.목적:대용량 데이터의 저장 및 효율적인 관리.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주요 역할:데이터 저장.데이터 접근 및 공유.서버와의 연결 기술 지원.스토리지는 서버와의 연결 방식에 따
논리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초기 단계로, 데이터 간의 관계 및 속성을 정의.물리 데이터 모델: 논리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테이블로 변환하여 데이터 저장 구조를 설계.목적: 엔티티, 속성, 관계 등을 실제 테이블, 컬럼, 키로 변환하여 구현 가능하도록 준비.
정의: 자료를 기억장치 공간에 저장하고, 자료 간의 관계 및 처리 방법을 연구·분석하는 학문.목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탐색 시간 단축.저장 공간 효율성.선형 구조: 순서가 존재.예) 배열(Array),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 리스
트리(Tree): 정점(노드)와 간선(링크)으로 구성된,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의 한 형태.특징:노드(Node):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링크(Link): 노드 간의 연결을 나타냄.사이클 없음: 특정 경로를 따라 출발점으로 다시 돌아올 수 없음.트리의 구조와 특성을
이진 트리(Binary Tree): 각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특징:각 노드의 자식 수가 0, 1, 또는 2개.레벨 i에서의 최대 노드 수는 (2^{i-1}).터미널 노드(자식이 없는 노드)의 수 (n_0)는 차수가 2인 노드의 수 (n_2)보다
통합 구현이란?프로그램 개발 시,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춰 개별적으로 개발된 모듈(부품화된 프로그램)을 하나로 통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작업.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 중계 모듈 등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는 과정.사용자
연계 메커니즘이란?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과 절차를 의미.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시스템과 데이터 변환 과정을 포함.이질적인 시스템 간 데이터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네트워크 환경이나 데이터 구조가 다를 경우,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연계 서버에서 각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발생 시점별 주요 원인:송신 시스템: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단계에서 오류 발생.연계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수신 시스템:연계 데이터를 로드(불러오는)
연계 데이터 전송 과정의 위험성:송신 시스템에서 수신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중간에서 데이터가 탈취되거나 변조될 수 있음.데이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보안 적용 필요.연계 데이터 보안 목표:데이터의 기밀성: 권한 없는 자가 내용을 읽지 못하도록 보호.데이터의
웹 프로그래밍 언어의 일부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HTML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태그(tag)를 정의할 수 있음.유연한 구조:사용자가 필요한 태그를 직접 정의 가능.트리 구조로 데이터가 상위-하위 태그 간 계층 관계로
연계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검증하는 과정.연계 시스템 간 테스트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데이터 흐름, 처리 방식, 예외 상황 등을 분석하여 테스트할 케이스를 작성.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구축하는 작업. 운영 환경과 최대한 유사한 구조로 환경을 조성해야 함. 회사나 프로젝트에 따라 요구사항과 처리방식을 분석한 후,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결정함.클라이언트(Client): 사용
아키텍처란 구조(Structure)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관계를 나타냄. 소프트웨어의 설계도(평면도)와 같으며,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사용됨. 모듈,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등의 배치를 계획하고 관리함.모듈화(Mod
아키텍처 패턴이란 소프트웨어 설계 시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이나 지침, 표준 스타일을 의미함. 시스템 구조 설계를 위한 기본 윤곽을 제시하며, 각 컴포넌트 간의 역할과 관계를 정의함.레이어(Layered) 패턴 시스템을 여러 계층(Layer)으로 나누어
객체 지향은 현실 세계의 개체(사람, 자동차, 컴퓨터 등)를 객체(Object)로 간주하여, 마치 기계 부품을 조립하듯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 각 객체는 자신만의 속성(Attributes)과 행위(Methods)를 가지고 있음. 객체들을 조합하고 상호작용하게
객체지향 분석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객체, 속성(Attributes), 연산(Methods), 그리고 객체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모델링하는 작업입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객체, 클래스 멤버, 전체와 부분을 구분하여 분석합니다. 객체 지향 분석의 주요 목
모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기능 단위를 의미합니다. 모듈화는 소프트웨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템의 기능을 모듈 단위로 분리하는 작업입니다. 하나의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독립적인 부품처럼 관리합니다. 모듈 간의 독립성은 결합
단위 모듈이란 소프트웨어에서 한 가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기능 단위입니다. 단위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은 독립적으로 컴파일이 가능하며, 다른 모듈에 의해 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습니다. 단위 모듈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명세서 작성: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확히
공통 모듈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을 모아놓은 모듈입니다.예시:쇼핑몰 로그인 기능: 주문할 때나 홈페이지 진입 시 공통적으로 사용됨.금융 사이트의 보안 프로그램 설치: 여러 은행에서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보안 기능.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예:
데이터를 식별, 분류, 집계, 추출하기 위해 특정 규칙에 따라 부여된 기호입니다.사람들의 주민번호, 학번, 군번, 모델명 등이 모두 코드의 예시입니다.정보를 신속, 정확,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성되어 정보 처리 효율에 영향을 줌.식별 기능 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모듈 간의 관계나 인터페이스 설계 시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법과 예제를 정리한 것입니다.개발 중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여 개발 속도를 높이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킵니다.바퀴를 다시 발명하지 말라는 개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들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통합하여 제공하는 환경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편집, 컴파일, 디버깅, 테스트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비유: 원목 식탁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공구들이 모여 있는 공구함 코드 편집기 컴파일
서버 개발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탑재될 서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 요청·응답 처리, 아키텍처 모델 등을 포함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을 구현 서버 개발 시 사용되는 언어와 각 언어별 프레임워크| 언어
배치(Batch): 데이터를 일정 기간 동안 모아 한꺼번에 일괄 처리하는 방식 배치 프로그램: 사용자와 상호작용 없이 정해진 일정에 따라 여러 작업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프로그램학교 성적 처리: 각 과목 점수 입력 → 총점 계산 → 평균 및 석차 계산 → 장학금 수혜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개발할 시스템과 외부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해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명시한 것 시스템 인터페이스: 각각 독립된 시스템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방법 및 연동 방식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 시, 데이터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간 연동을 위한 요구사항이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요구사항 명세서를 검토하여 오류, 누락, 모순 여부를 점검 검토 후 승인된 요구사항은 개발 기준인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됨 검토 계획 수립:
송수신 데이터: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교환되는 정보 표준 형식에 맞춰 데이터를 규격화하여 주고받음 송수신 데이터 식별 과정에서 크게 3가지 항목이 식별됨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송수신 데이터 항목공통 코드송수신 시스템 간 연동을 위해 필요한 표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란 시스템 간의 연계 방법을 정의하여 문서로 작성하는 것 인터페이스 별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 방식,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등을 명확히 기술 주요 내용:시스템 연계 기술통신 유형데이터 처리 방식발생 주기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등 시스템 연계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시스템 간에 데이터의 일관성과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서로 다른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함 통역사처럼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중개하는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관계를 설정하는 것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연계 기능을 구현하는 것데이터 교환 시 표준 형식과 프로토콜을 사용해 오류를 줄이고 일관성을 유지EAI (Enterprise Appli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로 누구나 알아볼 수 있게 데이터 형식과 규칙을 정의한 것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동일한 기준에 따라 데이터가 해석되고 처리되도록 함예시: 우편 편지에서 받는 사람 주소는 우측 하단, 보내는 사람 주소는 좌측 상단에 표기하는
설계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능별로 기술하는 것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 과정에서는 구현 절차와 방법을 명확히 정리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각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확인 컴포넌트가 어떤 기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고 처리하는 작업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주로 데이터 통신과 엔티티(개체)를 활용한 방법이 사용됨 데이터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송수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음 주로 사용하는 기술: AJAX, JSON,
인터페이스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것 주요 보안 적용 영역: 네트워크 영역 애플리케이션 영역 데이터베이스 영역데이터가 전송되는 구간에서 보안 기능을 적용 주요 목적: 데이터 탈취 및 변조 방지 주요 프로토콜
구현된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과정 인터페이스 검증 시 사용되는 도구: 구현 검증 도구 감시 도구인터페이스의 단위 기능, 시나리오 기반으로 통합 테스트를 수행 테스트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 검증 진행 JUnit Java 기반의 단위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돕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사용자와 시스템이 데이터 입력, 출력, 제어를 수행하며 서로 소통하는 방식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 TV: 리모컨
UI(User Interface) 설계 도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디자인 및 개발 도구를 의미 UI 설계는 건축에서 설계도를 만드는 과정과 유사 UI를 설계한 후 개발자와 디자이너 간 협업 및 피드백을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 UI 설계의
소프트웨어 품질이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하는지에 따라 결정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많을수록 소프트웨어 품질이 높다 요구사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품질이 낮다고 평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의 총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할수록 품질이
UI 설계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UI를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과정UI 설계를 문서화한 것을 UI 설계서라고 함UI 설계의 목표: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검증UI를 개발하기 전에 구조와 흐름을 정리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간의 원활한 협업을 위해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개발하는 학문사람이 시스템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최종 목표: 최적의 사용자 경험(UX) 제공UX (사용자 경험)는 사용자가 시스템, 제품, 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프로그램 개발 후 오류 및 결함을 찾아내고, 정상 동작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 목적: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품질이 높은 소프트웨어 제공🔹 모든 프로그램은 잠재적인 오류(버그)를 포함하고 있음🔹 100% 완벽한 소프트웨어는 존재
테스트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정적 테스트와 동적 테스트로 구분됩니다.테스트를 어떤 기준으로 수행하는지에 따라 명세 기반, 구조 기반, 경험 기반으로 나뉩니다.누구의 시각에서 테스트하는가에 따라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 따라 테스트의 유형이 다르게 적용됩니다.이를 테스트 레벨(Test Level)이라고 하며, V-모델을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마다 진행되는 테스트의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V-모델이란?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왼쪽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단위 테스트(Unit Test)가 완료된 후,각 모듈을 결합하여 오류를 찾는 과정을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ing)라고 합니다.📌 목적: 단위 테스트에서 검증된 개별 모듈들이 통합되었을 때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증 모듈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중요한 개념인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테스트 시나리오(Test Scenario), 테스트 오라클(Test Oracle)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정의: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정확하게 구현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 항목 입력 값, 실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스트 자동화 도구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정의: 사람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테스트 절차를 자동화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테스트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테스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Bug, Defect)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함 관리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결함의 정의: 소프트웨어가 예상한 결과와 다르게 동
소프트웨어 성능 분석은 애플리케이션이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 빠르게 많은 기능을 처리하는지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성능의 정의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여 최대한 빠르게 많은 기능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복잡도는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의 복잡성을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기준입니다.복잡도가 높으면 코드 실행 속도가 느려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복잡도의 정의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조와 동작이 얼마나 복잡한지 나타내는 정도 복잡도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은 소스 코드 최적화, 리팩토링, 성능 모니터링을 통해 소프트웨어 실행 속도 및 효율성을 향상하는 과정입니다.✔ 성능 저하 원인을 분석하고,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소스 코드 최적화란? 비효율적인 코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