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수 및 관계해석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38/100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검색과 조작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은 관계 대수관계 해석입니다. 이 두 개념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질의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

정의

  • 절차적 언어: 데이터를 어떻게 검색할 것인지 연산 순서를 명시적으로 기술.
  •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연산자연산 규칙을 사용.
  • 결과는 새로운 릴레이션(테이블) 형태로 반환.

특징

  • 데이터베이스 내의 연산은 순서대로 수행.
  • 입력과 출력 모두 릴레이션 형태.

(1) 관계 대수의 종류

1) 순수 관계 연산자
  1. 셀렉트(Select)

    • 기능: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을 선택.
    • 기호: 시그마(σ).
    • 예시:
      σ(국어 점수 = 100)(학생)
      → 국어 점수가 100점인 학생의 데이터를 반환.
  2. 프로젝트(Project)

    • 기능: 특정 속성(열)을 선택.
    • 기호: 파이(π).
    • 예시:
      π(학번, 이름)(학생)
      →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과 이름만 반환.
  3. 조인(Join)

    • 기능: 두 릴레이션(테이블)을 공통 속성을 기준으로 결합.
    • 기호: ⋈ (내추럴 조인).
    • 예시:
      학생 ⋈ 학과
      → 학생 테이블과 학과 테이블을 학번을 기준으로 결합.
  4. 디비전(Division)

    • 기능: 두 릴레이션 간 특정 속성을 나눠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반환.
    • 기호: ÷.
    • 예시:
      학생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공학 학과를 다니는 학생 반환.

2) 일반 집합 연산자
  1. 합집합(Union)

    • 기능: 두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반환(중복 제거).
    • 기호: ∪.
    • 조건: 두 릴레이션의 차수와 도메인이 동일해야 함.
  2. 교집합(Intersection)

    • 기능: 두 릴레이션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튜플 반환.
    • 기호: ∩.
  3. 차집합(Difference)

    • 기능: 첫 번째 릴레이션에만 존재하는 튜플 반환.
    • 기호: -.
  4. 교차곱(Cartesian Product)

    • 기능: 두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 조합을 반환.
    • 기호: ×.

2. 관계 해석(Relational Calculus)

정의

  • 비절차적 언어: 데이터를 무엇을 검색할지 기술.
  • 데이터 검색 방법보다 결과에 초점.
  • SQL과 유사한 언어.

특징

  • 데이터를 정의만 하고 검색 과정은 시스템에 위임.
  • 표현 방식: 튜플 관계 해석도메인 관계 해석.

(1) 튜플 관계 해석(Tuple Relational Calculus)

  • 데이터 검색 조건을 튜플 변수로 정의.

  • 표현:

    { t | P(t) }
    • t: 튜플 변수.
    • P(t): 조건을 기술하는 논리식.
  • 예시:

    { t | t ∈ 학생 ∧ t.국어점수 = 100 }

    → 학생 테이블에서 국어 점수가 100점인 튜플 반환.


(2) 도메인 관계 해석(Domain Relational Calculus)

  • 데이터 검색 조건을 도메인 변수로 정의.

  • 표현:

    { (d1, d2, ...) | P(d1, d2, ...) }
    • d1, d2, ...: 도메인 변수.
    • P: 조건.
  • 예시:

    { (학번, 이름) | ∃ t (t ∈ 학생 ∧ t.학번 = 학번 ∧ t.국어점수 = 100) }

    → 학생 테이블에서 국어 점수가 100점인 학생의 학번과 이름 반환.


3.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의 차이

구분관계 대수관계 해석
언어 유형절차적 언어비절차적 언어
기능데이터를 어떻게 검색할지 기술데이터를 무엇을 검색할지 정의
목적연산 순서 명시원하는 데이터의 조건 명시
결과릴레이션(테이블) 형태로 반환릴레이션(테이블) 형태로 반환

4. 시험 대비 주요 포인트

  1.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의 정의 및 특징.
  2. 순수 관계 연산자일반 집합 연산자의 종류와 사용법.
  3. 관계 대수관계 해석의 차이점.
  4. SQL 질의문 작성 능력을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에 대응시켜 이해.

관계 대수와 해석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핵심이므로, 개념과 예시를 정확히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개의 댓글